[include(틀:다른 뜻1, other1='임곡주공아파트 - 안양역' 구간을 운행하는 3-1번 마을버스, rd1=안양 마을버스 3-1)] [include(틀:폐선)] [[파일:안양3-1.pn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안양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안양시 일반시내버스 3-1번}}} || ||<-2><:>기점||<:>경기도 군포시 부곡동(군포공영차고지)||<-2><:>종점||<:>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철산역)|| ||<|2><:>종점행||<:>첫차||<:>04:40||<|2><:>기점행||<:>첫차||<:>05:50|| ||<:>막차||<:>22:10||<:>막차||<:>23:25|| ||<-2><:>평일배차||<:>40분||<-2><:>주말배차||<:>60~80분|| ||<-2><:>운수사명||<:>[[삼영운수]]||<-2><:>인가대수||<:>8대[* 주말에는 3~4대로 운행]|| ||<-2><:>노선||<-4><:>[[군포공영차고지]] - 군포시평생학습원 - 율곡주공.소월아파트 - [[산본역]] - 군포시청 - 산본래미안 - [[금정역]] - 성결대학교.[[명학역]] - [[안양1번가]] - 안양여중.고교 - 박달2동주민센터 - 빛가온초교 - (→ [[광명역]]2번출구 → [[광명역]]6번출구 → 호봉골 →/← [[광명역]]7번출구 ← 코스트코광명점 ←) -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광명경영회계고 - 기아자동차 - 신촌마을1단지 - 가리대사거리 - 광명우체국 - 철산푸르지오하늘채 → [[철산역]] → 철산3동주민센터 → 광명경찰서 → 철산푸르지오하늘채 → 이후 역순|| == 개요 == 군포공영차고지, [[산본동]]과 안양시 시내, 광명역, 철산동을 잇던 시내버스 노선. 총 운행거리는 54.3km다. == 역사 == * 2010년 2월 23일에 [[안양 버스 3|3번]]에서 분리 신설된 노선이다. * 2012년 3월 29일에 '광명시여성회관 - 소하2동주민센터 - 소하성당 - 갑종주유소 - 광명가압장 - 소하3단지' 구간이 '광명시여성회관 - 기아자동차 - 광명테크노파크 - 신촌2단지 - 소하초.중.고 - 소하3단지'로 변경했고, 이로써 '광명역 - 철산역' 구간이 3번과 다르게 되었다.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21|삼영운수 공지사항]] [[http://www.gm.go.kr/pt/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2044&q_bbscttSn=20120326173130236188|광명시 공지사항]] 하지만 배차간격은 여전히 좋지 못해 인지도가 떨어지는 편. 무엇보다 [[화영운수]] [[광명 버스 11-2|11-2번]], [[광명 버스 22|22번]] 등 배차간격도 짧고 철산역으로 바로 가는[* 3번과 3-1번은 철산역을 편도로만 경유하기 때문에 철산동에서 소하동으로 갈 때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반면 화영운수 노선들은 철산역을 양방향 경유한다.] 노선들이 많은 것도 단점. * 2013년 10월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모두 [[안양 버스 8-2|8-2번]] 등지로 빠지고, 대신 전 차량이 그린시티로 교체되었다. 그나마 신차였다는 것이 위안이라면 위안이였다. * 2018년 8월 10일에 '월암공영차고지 - 한국교통대 - 의왕역 - 부곡휴먼시아1~2단지 - 군포첨단산업단지 - 한국복합물류 - 군포공영차고지' 구간이 단축되었다. [[http://sbcitybus.com/index/bbs/board.php?bo_table=s4_01&wr_id=52|삼영운수 공지사항]] * 구간이 단축되면서 대폭감차되었다. 평일에는 8대로 4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주말에는 3~4대로 운행하며 60~80분 간격으로 다녔다. * 적자로 인해 2019년 7월 1일에 [[보영운수(안양)|계열사]]의 [[안양 버스 11-1|11-1번]]과 함께 폐선되었다. [[http://www.anyang.go.kr/web/board/BD_board.view.do?bbsCd=1051&seq=20190619132118700|안양시 공지사항]]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52219|관련 게시물]] 차량 1대는 [[안양 버스 83|83번]] → [[안양 버스 6|6번]]으로, 나머지 7대는 [[안양 버스 60-1|60-1번]]으로 이동하였다. == 특징 == * 노선 길이가 3번보다 긴데 인가댓수가 적어서 배차간격이 20분을 웃돈다. 때문에 인지도가 적어 출퇴근시간대에도 빈자리가 보이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렇게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을 하다보니 개통 당시에는 대형차로 굴렸지만 지금은 [[현대 그린시티]]로 운행하고 있다. 부곡동에서도 수요가 좋지 못한데, 부곡중앙로로 가지 않으며, '부곡지구 ~ 산본' 수요는 배차간격이 좋은 7번 마을버스가 꽉 잡고 있기 때문에[* 게다가 3-1번은 용호고와 금당터널을 지나 산본2~3단지까지 들러서 산본역에 도착하는데, 7번은 군포보건소사거리에서 직진해서 도장터널을 지나 수리산역, 산본역으로 곧바로 가주기 때문에 3-1번은 소요시간 면에서도 뒤쳐진다. 또, 금당터널 앞에서 몇몇 차들은 속도를 도통 내질 못한다. 그래서 금당터널에 제일 먼저 들어가지만 맨 마지막으로 나오기도 한다.]사실상 경쟁력이 없다시피 하다. 삼영운수도 그런 이유 때문에 운행해도 안 타는 것을 아는지 공식 배차간격을 어기고 파행운행한다.[* 실제로는 40~50분 이상 벌어진다고 봐야 하며, 1시간이 넘어가는 경우도 자주 있다.] 그런데 안양시는 있지도 않은 군포-광명 간 승객을 위한다며 노선 변경을 허가하지 않고 있다. 물론 '월암동, 부곡동(의왕) - 산본신도시' 구간을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환승없이 갈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지만, 의왕역-금정역-산본역 경로가 있어서 수요가 적었다. * 광명역과 군포시를 오갈 때는 [[안양 버스 8-2|8-2번]]이 더 빠르다. 배차간격은 최소 15분. * 월암공영차고지가 완공을 계기로 디젤 차량에서 가스 차량으로 대차된 다른 노선들과 달리 이 노선은 그 이전부터 가스 차량으로 운행했다.[* 신설 초기에 02~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 CNG와 현재 그린시티 CNG. 2012~3년 중에 3번 출신 08년식 디젤 차량과 5-2번 출신 NEW BS106이 투입되었는데 전 차량이 중형화되면서 다시 가스차량이 도입되었다.] 충전은 군포공영차고지에서 했으며, 운행종료 후 공차회송하여 충전하는 방식이었다. 단축된 현재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충전했다. * '부곡동 - 산본/금정',[* 단, 부곡지구 - 산본역' 구간은 돌아가지 않아 훨씬 빠른 7번 마을버스, '부곡지구 - 금정역'은 서울 542번, 5624번이 다닌다.] '산본 - 광명역' 구간을 오갈 경우, 이 노선 외에는 모두 환승을 통해서밖에 갈 수 없다. 의왕 부곡동 주민 중 환승 안 하는 사람의 경우, 집 앞의 3-1을 버리고 군포 부곡으로 넘어가서 7번을 타기도 한다고...[* [[의왕역]] '''대합실'''에서 부곡지구 광장앞 정류장까지 걸어서 10분 정도이다. 대합실이 강조된 이유는, 대합실에서 육교 넘어 역 출구로 탈출하는 데만 5분이 걸리기 때문... 아니면 의왕역 앞에서 부곡지구로 넘어가는 마을버스가 몇 있으니 그걸 타도 되지만... 이 버스들이 죄다 배차간격이 기본 30분이다. 그냥 운동삼아 걷는게 훨씬 나을 수도 있다.] * 월암동까지 가던 시절에는 안양시 시내버스 노선들 중 최장거리 노선(68.6km)이었다. 참고로, [[안양 버스 917|917번]]이 67.9km(18대)고, 서울까지 가는 [[군포 버스 3030|3030번]]이 62.9km(14대)다. 단축된 현재는 54.3km며 [[안양 버스 11-5|11-5번]](54.1km)과 비슷해졌다.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정역]], [[명학역]], [[안양역]], [[광명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산본역]], 금정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 * 일반 철도역: 안양역(무궁화호, 누리로), 광명역(KTX) [[분류:안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1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