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C 안양|[[파일:FC 안양 워드마크(국영문약자조합).svg|height=30]]]] || ||<-2> [[파일:안양축구전용경기장 조감도.jpg|width=400px]] || ||<-2> '''{{{#fff 조감도}}}''' || ||<-2> {{{#fff '''{{{+1 안양축구전용경기장}}}[br]Anyang Football Stadium'''}}} || || '''{{{#fff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429 ([[비산동(안양)|비산동]]) || || '''{{{#fff 준공}}}''' || [[2027년]] [[3월]]^^(예정)^^ || || '''{{{#fff 홈 구단}}}''' || [[FC 안양]] (2027~ )^^(예정)^^ || || '''{{{#fff 좌석 수}}}''' || 11,000석 || || '''{{{#fff 경기장 형태}}}''' || [[축구 전용 구장]] || || '''{{{#fff 건설 비용}}}''' || 1,156억 원 || || '''{{{#fff 운영}}}''' || [[FC 안양]]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7.40957090755745 126.94924591705313,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안양시]]에서 추진 중인 [[축구 전용 구장]]. 현재 [[인라인 스케이트]] 경기장이 들어서 있는 [[비산동(안양)|비산동]] 156-1 일대 부지에 건설할 예정으로, 완공 후에는 [[FC 안양]]이 2013년 이래 사용하던 [[안양종합운동장]]을 떠난다. == 상세 == 사업 부지는 현 인라인 스케이트 경기장(28,156㎡)과 함께 FC 안양의 연습장으로도 쓰이고 있는 비산체육공원(58,954㎡)을 포함한 총 96,605㎡로,([[https://www.anyang.go.kr/main/selectEminwonNewsView.do?key=260&news_epct_no=8563|#]]) 1만 석 규모의 축구장과 함께 [[FC 안양]]의 [[클럽 하우스]]가 들어설 예정이다. 구장 건설 사업비는 500억 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3862|#]]) == 역사 == 1986년 건설된 안양종합운동장은 육상 경기장 중에서도 관중석 시야가 나쁜 곳으로[* 보통 육상 경기장이 8~9레인을 배치하는 데 비해 안양은 특이하게 직선 주로를 멀리뛰기 트랙과 합쳐 16레인을 배치했다. 2018년 개수 당시 트랙을 재도색해 바깥 레인은 현재 없어졌으나 이 때문에 안양종합은 [[잠실종합운동장]],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등 먼 거리로 악명높은 육상 경기장보다도 피치와 관중석이 멀다.] 과거 [[안양 LG]]가 있던 시절부터 전용구장 건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2013년 시민구단 창단 타당성 조사 당시에도 종합운동장의 재개발을 통한 전용 구장 건설안이 언급되어 있었다. 2016년부터 터치라인 방향에 가변석이 설치되고 특히 2019년에 도입한 3면 가변석이 큰 호응을 받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임시 방편에 불과하다. 건설비 충당 등의 문제로 설왕설래로 그치던 전용 구장 건설이 현실로 다가온 것은 FC 안양 창단 구단주이기도 했던 [[최대호]] 안양시장의 두 번째 임기 후반을 맞는 2021년이다. 2월에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2223051|첫 보도]]가 나왔으며, 4월에는 FC 안양 어드바이저로 취임한 [[송종국]]의 인터뷰를 통해 구장 건설 추진이 공식화되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3&aid=0000116291|#]] 안양시는 2021년 8월 타당성 조사와 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22년초부터 행정 절차를 시작했다. 1월 16일에는 [[경기도]]로부터 대상 부지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지원 결정을 받아냈다. == 교통 == 예정지는 안양종합운동장에서 관악산 방향으로 들어간 위치에 있다. 기존 안양종합운동장을 경유하는 [[서울 버스 5625]], [[서울 버스 5626]], [[서울 버스 5713]]가 예정지 건너편 [[서울매일버스]] 차고지를 기점으로 한다. 2025년에는 [[경강선]] [[안양운동장역]] 개통이 예정되어 있으며 예정지에서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장]][[분류:동안구의 건축물]][[분류:FC 안양]][[분류:2027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