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鼎福 (1712~1791) [[파일:external/5f14b690cbf0f03916432f4dc5c93335efcb1fc5fd3e0b6a9eb0bedde668013c.png]] [목차] == 개요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동사강목]], [[여용국전]] 등을 집필하였으며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이다. == 생애 == 1712년 현재의 [[충청북도]] [[제천시|제천]]에서 출생했다. 안정복의 가문이었던 [[광주 안씨]]는 당시 [[남인]] 계열의 집안[* 남인에서 날리던 집안은 아니고 그냥 남인 소속. 남인의 거두였으면 안정복의 증조부나 고조부가 [[사또]]랑 종8품 정도에서 벼슬길이 막히지는 않았을 것. 사실 막힌건 [[연산군]] 탓.]으로 그의 할아버지 안서우(安瑞羽)는 예조참의도 역임했지만 이후 [[숙종(조선)|숙종]] 시절의 [[경신환국]]과 [[갑술환국]]으로 완전히 중앙 정계에서는 배척당하고 만다. 안정복이 [[청소년]]을 보낼 시절이었던 1728년 [[이인좌의 난]]까지 터져주는 덕에 벼슬길은 영원히 막혔다. 집안이 가담한 것은 아니니 과거를 보려면 볼 수도 있겠지만 설사 붙는다해도 평생 한직에서 머무를 가능성이 컸고 안정복 본인이 [[벼슬]]을 단념하고 살면서 한번도 과거를 응시조차 하지 않는다. 이후 성호 [[이익(실학자)|이익]] 밑에서 수학하며 이익의 [[실학]]과 [[성리학]]에 영향을 받게 된다.[* 흔히 사람들이 실학자는 성리학자랑은 양립 불가능한 관계로 생각하는 경우가 잦은데 시대 특성상 실학자들도 성리학자를 기본 베이스로 깔고 가기는 했다. 단지 성리학을 절대 신봉하지 않았으며 실생활에 좀 더 관심이 있었다는게 차이일 뿐이다.] 실학자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안정복의 유학관은 보수적이어서 [[스승]] 이익과는 달리 평생 [[주자학]]을 신봉하면서 새로운 학문을 추구하는 것에는 적극적이지 않았다. 오히려 [[영조]]가 주자대전을 편찬할 때 불러들인다거나 [[정조(조선)|세손]]의 스승 가운데 1명으로 발탁하는 등 정통 성리학자의 면모만 두드러진다. 안정복이 이익에게 깊은 영향을 받은 것은 역사학이었는데 조선 [[역사]]의 독자성에 입각한 역사 발전이라는 사관은 이익을 통해서 탄생하고 안정복에 의해 초석을 다졌다는게 일반적인 평가. 안정복과 이익의 자주적 역사관의 정수로 평가받는 것이 바로 스승과 함께 만든[* 이익이 쓴 항목은 없지만 자료 수집과 감수 등 많은 부분에서 큰 도움을 줬다. 이거 만들 때 돈이 없어서 굶으면서 만들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단재 신채호도 동사강목에 대해서 [[위략]]이나 [[남제서]] 같은 1급 [[사료(역사)|사료]]는 얻어보지도 못하고 그나마 얻은 자료도 제책 수준이 형편없어서 [[해석]]을 잘못한 부분도 많이 있다고 지적했다.] 저서 [[동사강목]].[* 거의 20년에 걸친 평생의 역작이었다. 단재 [[신채호]]가 [[독립운동]]하러 [[중국]]으로 [[망명]]을 떠나면서 유일하게 갖고 갔던 것.] 30대 후반에는 [[음서]]로 관직에 나가서 [[사헌부]]에서 근무하기도 하지만 부친상을 당하기도 했고 젊어서 고생[* 아버지가 전답을 다 팔아서 [[노비]]랑 같이 숯을 구워서 그걸 팔아서 먹고 살았을 정도.]을 너무 해서 본인의 [[건강]]도 좋지는 않았던터라 곧 [[사직]]했다가 복직하기도 한다. 위에 언급한 주자대전 간행이나 세자시강원을 역임한 것이 이 시기. 노년 이후에는 남인 계열을 중용했고 자기가 가르치기도 했던 [[정조(조선)|정조]]가 즉위하자 [[인생]]이 펴서 노년에 지방 [[사또]] 자리를 맡기도 하다가 당시로서는 엄청나게 장수한 나이인 1791년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 여담 == >어떤 사람이 묻기를, >“근래의 이른바 천학이라는 것이 옛날에도 있었습니까?” 하므로, 대답하기를, >“있었다. 《서경(書經)》에 말하기를, ‘위대하신 상제(上帝)께서 지상의 사람들에게 참된 진리를 내리셨으니, 그 변함없는 본성을 따라서 그 올바른 도리를 실천한다면’ 하였으며, 《시경(詩經)》에 말하기를, ‘문왕(文王)께서는 삼가고 조심하여 상제를 잘 섬긴다.’ 하였고, 또 말하기를,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하여 이 유업(遺業)을 보전하리라.’ 하였으며, 공자(孔子)는 ‘천명(天命)을 두려워한다.’ 하였으며, 자사(子思)는 ‘하늘이 명한 것을 일러 성(性)이라 한다.’ 하였으며, 맹자(孟子)는 ‘마음을 보존하여 본성(本性)을 배양하는 것이 하늘을 섬기는 일이다.’ 하였다. 우리 유자(儒者)의 학문 또한 하늘을 섬기는 것에 불과하다. 동중서(董仲舒)가 이른바 ‘도(道)의 큰 근원은 하늘에서 나온 것이다.’는 것이 이것이다.” 하였다. ><천학문답(天學問答)> * 스승 이익이 [[천주교]]에 상대적으로 관대한 스탠스를 취했던 것과 달리 안정복은 서학을 [[이단]]으로 간주하여 배척했다. 저서 <순암집(順菴集)>[* <순암집>은 27권 연보 합 15책의 목활자본으로 [[제자]] 황덕길(黃德吉, 1750~1827)이 편집하고 뒤에 안경위(安景褘)가 잡저의 편목을 수정했으며 5세손 안종엽(安鍾曄)이 1900년([[대한제국]] 광무 4년)에 간행하였다.]의 권17에 수록되어 있는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534A_0170_010_0020_2003_003_XML|<천학문답(天學問答)>]]에서 괴력난신을 배격하는 [[유교]]적 세계관과 [[이기론]]에 근거하여 천주교를 비판했다. 안정복은 천학(천주교)은 현실을 문제삼지 않고 오로지 내세의 천당 지옥설을 믿어 사람을 황당한 지경에 빠뜨리며 아침, 저녁으로 [[지옥]]의 고통을 면하고자 자기 잘못을 빌고 용서를 구함이 [[샤머니즘|무당]]이나 [[불교|불가]]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하였다. 옛 신성한 자가 만든 사람들을 가르치는 수단이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서양]]인들의 [[신]]은 여와나 후예나 다를 바 없는 괴력난신이므로 서양인들에게는 천학이 성학(聖學)일지라도 그것이 [[공자]](孔子) 같은 성인의 가르침과 동일한 성학은 아님을 말했다. [[https://www.dogdrip.net/274005295|조선 후기의 유학자, 안정복이 본 천주교]] * 안정복의 딸은 같은 성호학파 권철신의 동생 권일신과 혼인했는데 형제가 대표적인 [[남인]] 천주교 신자들이었다. 그래서 안정복은 이들에게 천주교와 거리를 두라는 [[편지]]를 계속보냈다. 이후 [[진산 사건|신해박해]] 때 권씨 형제가 발각되었는데 <천학문답>으로 사후에 [[노론]] [[벽파]]에게 추증되기까지 했던 안정복은 연루되지 않았다. * 평생에 걸쳐 저술한 책 중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8204|<잡동산이(雜同散異)>]]라는 책이 있었는데 현대에 자주 쓰이는 [[잡동사니]]의 어원이 된다. 실제 책 내용도 잡동사니 같은 떠도는 이야기 모음집이다. * [[권근]]의 역사관을 좋아하지 않았는지 권근 [[안티]] 같은 행동을 했다. 권근이 "[[광개토대왕]]의 [[백제]]에 대한 복수가 과하다"고 하자 "[[고국원왕|선대 왕]]이 죽은지 오래되지 않아 원한이 남아있을 수도 있지, 뭐가 심하냐"고 비판했고 권근이 "[[계백]]이 일가족을 죽이는 것은 심하지 않냐"고 하자 안정복이 "권근은 병법도 모른다"고 비판했다. * [[성균관대학교]]에서 그의 문집인 <순암집>을 교감역주해서 7권으로 냈다. 이외에도 안정복 탄생 300주년 기념으로 연구총서 7권을 발간했다. [[분류:한국의 역사가]][[분류:조선의 역사학자]][[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실학자]][[분류:1712년 출생]][[분류:1791년 사망]][[분류:제천시 출신 인물]][[분류:광주 안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