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육군사관학교장)]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광복회장)] ---- [include(틀:역대 독립기념관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fff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940, #008940 50%, #008940 100%, #008940)" '''[[육군사관학교장|{{{#fff 대한민국 제9대 육군사관학교장}}}]][br]{{{#fff {{{+1 안춘생}}}[br]安椿生 | Ahn Chun-sae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eneral_Ahn_Chun-saeng.png|width=100%]]}}} || ||<|2> '''출생''' ||[[1912년]] [[8월 12일]][* 순흥안씨 참판공파 세보 하권 253쪽에는 1911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 ||[[황해도]] [[해주시|해주군]] 금산면 냉정리[br](현재 [[황해남도]] [[해주시]] 작천리) || ||<|2> '''사망''' ||[[2011년]] [[1월 26일]] '''(향년 98세)'''||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보훈병원|중앙보훈병원]] || || '''본관''' ||[[순흥 안씨]][* 참판공파-서령공파 31세 생(生) 항렬.]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211호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당숙 '''[[안중근]]''' [br]부친 안장근, 모친 [[청송 심씨]][br]빙부 [[조시원]], 부인 조순옥[br] || || '''학력''' ||[[육군보병학교]] {{{-2 (수료)}}}[br][[육군포병학교]] {{{-2 (수료)}}}[br][[육군기갑학교]] {{{-2 (수료)}}}[br][[육군대학]] {{{-2 (수료)}}}[br][[국방대학교]] {{{-2 (행정학사 / 1기)}}}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 [[바오로]])}}}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9대 국회의원|'''9''']] || || '''경력''' ||[[조선민족청년단]] 훈련부장 겸 중앙훈련소 부소장[br][[현대제철|인천중공업]] 대표이사 사장[br][[제9대 국회의원]] {{{-2 (유신정우회 / 전국구)}}}[br][[광복회]] 회장[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의원[br][[독립기념관]] 초대 관장[br]대한노인회 회장 || ||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 ||<-2> '''군사 경력''' || || '''임관''' ||[[대만 군관학교|중화민국 육군군관학교]] {{{-2 (보병과 / 10기)}}}[br][[육군사관학교|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2 (8기)}}} || ||<|6> '''복무''' ||중화민국 육군 || ||[[1936년]] ~ [[1940년]] || ||한국광복군 || ||[[1940년]] ~ [[1946년]] || ||대한민국 육군 || ||[[1948년]] ~ [[1961년]] || ||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동원차관보 || || '''주요 보직'''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감찰감[br][[육군사관학교장]][br][[제8보병사단|제8보병사단장]][br][[제2군관구사령부|제2군관구사령관]] || || '''참전''' ||[[6.25 전쟁]][br][[태평양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군인]], [[정치인]]이다. == 생애 == 1912년 8월 12일 [[황해도]] [[해주시|해주군]] 금산면 냉정리(현 [[황해남도]] [[해주시]] 작천리)에서 아버지 안장근(安莊根, 1886 ~ 1956. 5. 20)과 어머니 [[청송 심씨]](? ~ 1929. 3. 20) 사이의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안중근]] 의사'''가 바로 그의 5촌 당숙부[* 아버지의 사촌이다.]이고 [[안명근]]이 그의 큰아버지이다. 그로 인해 형 안봉생을 포함한 집안 전체가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917년 8월 10일 부모님을 따라 [[중화민국]] [[길림성]] 의란도(依蘭道) 목릉현(穆棱縣)[* 현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무링시(穆棱市).]으로 망명하였다. 이후 중국 육군군관학교 보병과를 10기로 졸업하고, [[일제강점기]] 말기 [[국민혁명군]] 제3사단 소대장, [[한국광복군]] 제2지대 구대장 등을 역임하며 항일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8.15 광복]] [[지달수]], [[신영묵]]과 광복군 남경 잠편지대를 조직하고 지대장으로 활약 후 귀국하였다. [[이범석]]의 [[조선민족청년단]]에서 훈련부장을 맡았다. [[육군사관학교]] 8기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1951년 육군 감찰감으로 있던 중 [[국민방위군 사건]] 재판에서 심판관을 맡았고, [[육군사관학교]] [[교장]][* 이 자리에 안춘생을 앉힌 사람이 바로 [[이종찬(1916)|이종찬]] 장군이다.당시 중장이 아니라 준장이었으나 지인용 (知 , 仁 , 勇) 이라는 육사의 교훈이 대한의군 안중근 장군의 글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상징성을 따진 파격 인사였다. ], [[제8기동사단|제8보병사단]] [[사단장]], [[대한민국 국방부]] 차관보 등을 역임하였으며 1961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 이후 대한중공업 [[이사장]] [[서리]], [[현대제철|인천중공업]] [[사장]] 등을 지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제9대 국회]]에서 [[유신정우회]] 제1기 [[국회의원]]으로 임명되고 1976년 2기 때도 연임하여 1979년 초까지 지냈다. 백범 [[김구]]의 차남 [[김신]]도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지냈다.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지낸 1973년 [[조시원]]에 이어 제4대 광복회장을 역임했다.[* 조시원은 안춘생의 장인이다. 장인과 사위가 나란히 3, 4대 광복회장을 역임했다.] [[전두환]][* 전두환은 안춘생이 육사 제자이기도 하다.] 정권 때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위원, [[독립기념관]] 초대 [[관장]] 등을 지냈다. 그리고 그 이후로 대한노인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2011년 1월 26일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보훈병원|중앙보훈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https://www.hani.co.kr/arti/society/obituary/461096.html|#]] 사후 그의 유해는 2011년 1월 30일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 여담 == *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의 재판관을 맡아 피고 정구헌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당시 피해자인 서정철은 육군 준장이었고, 군사재판 시 재판 당사자의 상급자가 재판관 및 심판관을 맡던 당시 규정에 따라 육군 소장이자 상급자인 안춘생이 재판관, 안춘생보다 연령이 낮은 [[김익렬]]이 심판관을 맡았다. * 1966년 [[강원도]] [[김화군]]에서 수렵을 하다 일행이 지뢰를 밟아 터지는 바람에 일행 1명이 즉사하고, 안춘생과 다른 일행 1명이 부상하였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601040032920701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6-01-04&officeId=00032&pageNo=7&printNo=6220&publishType=00020|#]] * 육사 11기 제자였던 예비역 육군 준장 이동희의 증언에 따르면 인품은 훌륭했지만 군 내 인맥이 별로 없어 예산을 끌어오지를 못했고, 이로 인해 육사 11기 생도들이 초반에 많이 힘들어 했었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유신정우회 제9대 국회 1기 국회의원)] [include(틀:유신정우회 제9대 국회 2기 국회의원)]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장]][[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국민혁명군/군인]][[분류:제9대 국회의원]][[분류:유신정우회 국회의원]][[분류:해주시 출신 인물]][[분류:순흥 안씨 참판공파]][[분류:1912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실향민]][[분류:안중근 가문]][[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독립기념관장]][[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분류:이달의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