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덴노)] ||<#bc002d> '''[[시호#s-1.3|{{{#fff 한풍 시호}}}]]''' ||안코 덴노(安康 天皇, 안강 천황)|| ||<#bc002d> '''[[시호#s-1.3|{{{#fff 화풍 시호}}}]]''' ||아나호노미코토(穴穂尊) 아나호덴노(穴穂 天皇)|| ||<#bc002d> '''[[휘|{{{#fff 휘}}}]]''' ||아나호(穴穂), [[왜5왕|흥(興)]]?|| ||<#bc002d> '''[[왕릉|{{{#fff 능호}}}]]''' ||스가하라노후시미노니시능(营原伏見西睖)|| ||<#bc002d> '''{{{#fff 생몰}}}''' ||401년 ~ 456년 9월 24일|| ||<#bc002d> '''{{{#fff 재위}}}''' ||454년 1월 28일 ~ 456년 9월 24일[br]462년 ~ 477년[* 《[[송서]]》]|| ||<#bc002d> '''{{{#fff 황거}}}''' ||이소노카미노아나호노미야(石上穴穂宮)|| [목차] == 개요 == [[일본]]의 제20대 [[천황]]. 이름은 아나호노미코토(穴穂尊)였다. [[왜5왕]] 중 '''흥'''(興)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제19대 [[인교 덴노]]의 3남으로 어머니는 오시사카노오나카쓰히메(忍坂大中姫)였으며, [[유랴쿠 덴노]]는 그의 남동생이었다. == 행적 == 인교 덴노 42년(453년) 1월에 인교 덴노가 붕어했다. 본래 황태자였던 '''[[키나시노카루 황자|키나시노카루]]'''는 친누이인 [[카루노오이라츠메]](아주 미인이었다고 한다.)와 밀통했다고(즉, 근친상간) 하여 군신들이 따르지 않았으며, 아나호 황자의 편을 들었다. 이에 키나시노카루 황자는 아나호를 죽이려 했지만 군신들의 잇따른 배반에 의해 모노노베노 오마에노 스쿠네의 집에 잠복하게 되었다. 아나호 황자의 병력에 의해 포위되었을 때, 오마네노 스쿠네의 조치로 내전은 피했으며 유배를 간 이후 밀통했던 친누이 카루노오이라츠메가 유배지까지 쫓아오자 동반자살했다. 그렇게해서 아나호 황자가 12월 '오오키미'(大王, 대왕)가 되었다. 454년 할아버지 [[닌토쿠 덴노]](제16대)의 황자로 자신의 삼촌이었던 오쿠사카 황자를 주살하고, 그 부인을 황후로 삼았다. 456년 8월 9일, 의붓자식인 마요와 왕에 의해 암살되었다. 사후 스가하라노후시미노니시능(营原伏見西睖)에 묻혔다. == 기타 == '''와케'''계가 몰락하고, 제26대 [[케이타이 덴노]]가 신 왕조를 세울 때까지 상당한 정치적 혼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안코 덴노의 이야기는 당시 오오키미(대왕) 자리를 둔 권력 암투가 얼마나 극심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가계 == * 황후 : 나카시 황녀(中磯皇女)[* [[리추 덴노]]의 황녀 또는 [[인교 덴노]]의 황녀(長田大娘皇女)라고 한다. 만약 인교 덴노의 황녀일 경우, 그녀와 안코 덴노는 근친상간이 된다. 하지만 친남매간의 근친상간으로 인해 인교 덴노의 황태자였던 [[키나시노카루 황자]]가 실각했기 때문에, 두 사람은 어머니가 다른 남매일 수도 있다.] [각주] [[분류:천황]][[분류:401년 출생]][[분류:456년 사망]][[분류:암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