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안태진}}}[br]An Tae-j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안태진(영화감독).jpg|width=100%]]}}} || || '''출생''' ||1972년[* 1987년 7월 17일 [[백 투 더 퓨처]] 개봉 당시 중3이었다는 기사에 근거. 단, [[빠른 생일]]이라면 1973년 1~2월생일 수도 있다.]|| || '''데뷔''' ||《[[올빼미(영화)|올빼미]]》(2022)||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 상세 == 대학 영화과에서 영화를 전공했다. '[[달마야, 서울가자]]'에서 연출부 스탭으로, '[[왕의 남자]]'에서 조감독으로 참여했다. '왕의 남자' 촬영 후 '다이버'라는 가제의 시나리오를 완성해 영화사에 보냈지만 연락을 받지 못했고 이후에도 꾸준히 시나리오를 썼으나 모두 투자와 캐스팅에 실패해 엎어졌다. '왕의 남자' 이후 17년만에 '[[올빼미(영화)|올빼미]]'로 기회를 잡아 51세에 영화감독으로 데뷔했다. '올빼미'는 평단의 호평을 받고 흥행에서도 손익분기점을 넘겼으며 [[백상예술대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감독 본인도 [[백상예술대상]], [[디렉터스컷 어워즈]],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영평상]]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 연출작 == * 영화 * [[올빼미(영화)|올빼미]] * 드라마 * [[다세포 소녀#드라마|시리즈 다세포 소녀]][*공동 15분 분량의 40편 연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태진, [[김종관]], [[김성호(영화 감독)|김성호]] 등 총 10명의 감독이 참여했다. 2006년 8월부터 2007년 1월까지 [[SUPER ACTION]] 채널에서 방영되었다.]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5> 2023년 || [[제21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 올해의 신인감독상 ||<|5> [[올빼미(영화)|올빼미]] || || [[제5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 || 제4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신인감독상 || || 제43회 [[황금촬영상]] || 감독상 || || [[제59회 대종상]] || 신인감독상, 각본상 || == 기타 == 1987년 [[대한극장]]에서 [[백 투 더 퓨처]]를 보고 나오며 영화감독이 되겠다고 마음 먹었다고 한다. ~~이로부터 35년이라니... 오래도 걸렸다...~~ [[분류:한국 영화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