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 안토니오 반데라스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90]] || ||<-5><:> [[칸 영화제/남우주연상|{{{#e5d85c '''남우주연상'''}}}]] || ||<:> ''' [[2018년 칸 영화제|제71회]] [br] ([[2018년]]) ''' ||<:> {{{+1 → }}} ||<:> ''' [[2019년 칸 영화제|제72회]] [br] ([[2019년]]) ''' ||<:> {{{+1 → }}} ||<:> ''' [[2021년 칸 영화제|제74회]] [br] ([[2021년]]) '''[* [[2020년 칸 영화제]]는 [[코로나바이러스-19]]로 취소되었다.] || ||<:> 마르첼로 폰테[br](도그맨)||<:> {{{+1 → }}} ||<:> '''안토니오 반데라스[br]([[페인 앤 글로리]])'''||<:> {{{+1 → }}} ||<:> [[케일럽 랜드리 존스]][br]([[니트람]]) || ||<-5><:> || ---- ||<-5>
{{{#e5d85c ''' 역대 [[고야상|{{{#e5d85c 고야 시상식}}}]]''' }}} || ||<-5> [[파일:GoyaAwards.png|width=250]] || ||<-5> {{{#e5d85c ''' 남우주연상 ''' }}} || || ''' 제33회 [br] ([[2019년]]) ''' || {{{+1 → }}} || ''' 제34회 [br] ([[2020년]]) ''' || {{{+1 → }}} || ''' 제35회 [br] ([[2021년]]) ''' || || 마리오 카사스[br]([[크로스 더 라인]]) || {{{+1 → }}} || '''안토니오 반데라스 [br] ([[페인 앤 글로리]]) ''' || {{{+1 → }}} || 안토니오 데 라 토레 마틴[br](더 게이트) || ---- ||||<:>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ffd700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ffd700 입성자}}} '''|| ||||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width=250]]|| ||<:>'''{{{#ffd700 이름}}}'''||<:>'''{{{#ffd700 안토니오 반데라스[br]ANTONIO BANDERAS}}}'''|| ||<:>'''{{{#ffd700 분야}}}'''||<:>'''{{{#ffd700 영화}}}'''|| ||<:>'''{{{#ffd700 입성날짜}}}'''||<:>'''{{{#ffd700 2005년 10월 18일}}}'''|| ||<:>'''{{{#ffd700 위치}}}'''||<:>'''{{{#ffd700 6801 Hollywood Blvd.}}}'''|| }}} || ||<-2>
'''{{{+1 안토니오 반데라스}}}[br]Antonio Bandera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ntonio banderas.jpg|width=100%]]}}} || || '''본명''' ||호세 안토니오 도밍게스 반데라[br]José Antonio Domínguez Bandera || ||<|2> '''출생''' ||[[1960년]] [[8월 10일]] ([age(1960-08-10)]세)|| ||[[스페인국]] [[말라가]]|| || '''국적'''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28]] [[스페인국]]^^(1960~1975)^^[br][[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8]] [[스페인]]^^(1975~현재)^^ || || '''직업''' ||[[영화배우]]|| || '''활동''' ||1982년 ~ 현재 || || '''신체''' ||174cm|| || '''가족''' ||배우자 아나 레사^^(1987~1996)^^[br]배우자 [[멜라니 그리피스]]^^(1996~2015)^^[br]딸 스텔라 반데라스^^(1996년생)^^[* 멜라니 그리피스 사이의 자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스페인]]의 영화 [[배우]]. [[말라가]] 출신이며 [[풀네임]]은 호세 안토니오 도밍게스 반데라로 부모가 지어준 이름은 호세이며, 안토니오는 [[천주교]] [[세례명]]이다. 젊었을 때는 정열적이고 멋진 [[미청년]]의 느낌이 강했고 지금은 나이가 들면서 [[미중년]]의 테크트리를 타고 있다. == 생애 == [[스페인]]에서 나고 자란 순수 유럽계 백인이지만 의외로 [[멕시코]]나 과테말라, 파나마, 베네수엘라, 칠레 같은 [[라틴아메리카]] 국가 출신 [[히스패닉]]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영화에서 스페인어를 쓰는 남미쪽 사람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그런 듯하다.[* 히스패닉 중 50% 이상이 유럽(주로 스페인)에서 유래한 백인 혈통이니, 혈통으로는 크게 다르지 않다. 순혈 남유럽계 백인이냐 혼혈 메스티소냐 그 차이 정도. 히스패닉의 정의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남북아메리카 거주민"이므로, 스페인 출신인 반데라스는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할리우드에는 1990년대에 입성했고 이때부터 국제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으나, 이미 1980년대부터 스페인 국립연극단 최연소 단원으로 활동하고 이를 눈여겨 본 거장 [[페드로 알모도바르]]와는 장편 데뷔작부터 여러 편의 작품을 일찍이 함께 하는 등 자국에서는 이전부터 대단히 촉망받는 배우이자 신세대 인기스타로 자리잡고 있었다. 스페인 사람답게 춤과 노래 솜씨도 상당한 수준이다. 전설적인 팝페라 가수인 [[사라 브라이트만]]과 함께한 [[오페라의 유령]] 콜라보에서도 상당한 가창력을 뽐낸바 있다. '맘보킹'으로 할리우드에 데뷔한 이후 한동안 멋있는 얼굴과 눈빛 연기로 여자들의 가슴을 설레게 했고 조연으로 출연한 1993년작 [[필라델피아(영화)|필라델피아]]에서는 다른 사람도 아니고 '''[[톰 행크스]]'''와의 동성애 연기를 하며 부녀자들의 가슴을 녹이기도 했다. 90년대에 청춘을 보낸 영화팬들은 대부분 젊은 시절의 전성기 시절의 안토니오 반데라스 포스터 한 장쯤은 가지고 있었다. 당대 국제적인 미남 아이콘 중 한 명이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기본적인 연기력도 좋지만, 위험한 액션 연기도 서슴지 않아서 액션 영화에 자주 출연했다. 이미 액션영화계에선 살아있는 전설 중 한 명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인정받는다.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에 [[로버트 로드리게스]] 감독의 페르소나로 활약하였던 것이 그를 상징적인 액션배우로 만들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감독의 대표작인 [[엘 마리아치]] 3부작 중 두 개의 작품에서 주인공 역할을 맡으며 카리스마 있는 라틴계 마초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한창 잘생기고 매력적인 시절의 안토니오의 외모와 연기력이 라틴풍 미장센이 듬뿍담긴 해당 시리즈에서 엄청 빛났다는 게 중론이다. 영화계에서도 이들의 콜라보를 상당히 중요하게 여긴다. 특히 자신의 캐릭터와 맞는 배역을 맡았을 때 능력이 대폭발하는데, 조로 영화 2편을 촬영하며 본인이 스페인인이니만큼 주인공 조로 연기가 매우 잘 어울린다는 대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출연작을 선택하는 운이 오락가락인데 한 편이 초대박을 치면 그 다음편은 쪽박을 차거나(…) 하는 게 계속 반복되고 있다. [[슈렉]] 시리즈의 [[장화신은 고양이(슈렉)|장화신은 고양이]] 목소리 연기도 담당하고 있는데, 캐릭터도 흥했고 특유의 멋진 중저음 목소리도 잘 어울리며 선전한 덕분에 [[스핀오프]]까지 나왔다. 1995년도 작품인 [[어쌔신(영화)|어쌔신]]에서의 노트북 씬에 나오는 [[밈]]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https://youtu.be/KaZu15iJE94|영상]] 한국에서는 [[홍시호]](☆)가 [[전담 성우]]를 맡고 있다. 하지만 반데라스 본인도 나이가 60대로 접어들면서 최근 국내 외화 더빙에서는 홍시호 대신 안장혁이나 이호인 같은 성우들이 노년의 반데라스 역을 연기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오오츠카 아키오]]가 담당. [[멜라니 그리피스]]와 결혼 18년 만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2D&sid1=106&sid2=309&oid=404&aid=0000069270|이혼했다]]. 멜라니 그리피스의 딸인 [[다코타 존슨]]이 6살 무렵 결혼했고 성장기 동안 아버지 역할을 충실히 했다고 한다. 멜라니 그리피스와 사이에서 스텔라 반데라스를 낳았다. 2019년 영화 [[페인 앤 글로리]]로 [[2019년 칸 영화제]] [[칸 영화제/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생애 최고의 연기를 보여줬다는 평가가 많은 편이었고, 전미 비평가 협회 남우주연상 수상 후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까지 올랐다. 2020년에 코로나19에 확진 및 완치되었다. == 출연 == === 영화 === * 맘보 킹 - 데뷔작 * 타이미 업 타이미 다운 * [[필라델피아(영화)|필라델피아]] - 미겔 알바레즈(☆) *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 [[아르망(뱀파이어 연대기)|아르망]](☆) * [[어쌔신(영화)|어쌔신]] - 미겔 베인(☆) * [[엘 마리아치 3부작]] - [[데스페라도(영화)|데스페라도]](☆) * 러브 앤 섀도우 * 포룸 * [[에비타(영화)|에비타]] - [[체 게바라]] * 마스크 오브 조로, 레전드 오브 조로 - 알레한드로 뮤리에타/[[조로]] * [[13번째 전사]](☆) * [[오리지널 씬]] * [[스파이 키드]][* 알려졌다시피 아동용 영화인데, 가면 갈수록 캐스팅이 화려해진다. 1편에서는 [[조지 클루니]]가 안토니오의 동료 스파이로, 3편에서는 [[실베스터 스탤론]]이 악당 보스로 나온다! 사족으로, 이 영화의 감독이 위의 [[데스페라도(영화)|데스페라도]]의 감독이었던 [[로버트 로드리게스]]다.](☆) * 팜므 파탈 * 엑스 VS 세버 * 테이크 더 리드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멕시코]](☆) * [[슈렉 시리즈]] - [[장화신은 고양이(슈렉)|장화신은 고양이]](☆)[* KBS판 한정.] * [[네모바지 스폰지밥#s-8.2|스폰지밥 3D]] - [[버거 수염]] * [[나인(영화)|나인]] * [[내가 사는 피부]] * [[장화신은 고양이(영화)|장화신은 고양이]] - 장화신은 고양이 * [[마셰티#s-3|마세티 킬즈]] * [[익스펜더블 3]] * 오토마타 * 블랙 골드 - 에밀 네십 * 보더랜드 * [[33(영화)|33]] * 지니어스 II(NGC) - [[파블로 피카소]] * [[더 리벤지]] - 프랭크 발레라 * [[페인 앤 글로리]] * [[닥터 두리틀(2020)|닥터 두리틀]] - 라술리 * [[킬러의 보디가드 2]] - 아리스토텔레스 파파도풀로스 * [[언차티드(영화)|언차티드]] - 산티아고 몬카다 * [[크레이지 컴페티션]] - 펠릭스 리베로 *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 장화신은 고양이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레날도 * 시크릿 세탁소 - 라몬 폰세카 * 베이비 걸 - [각주] [[분류:스페인 남배우]][[분류:1960년 출생]][[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1982년 데뷔]][[분류:말라가 출신 인물]][[분류:칸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