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E0D 20%, #FFBE0D 80%, #FF9D00)" '''고려 예종의 부마[br]{{{+1 안평공 왕경 | 安平公 王璥}}}'''}}} || || '''작위''' ||안평백(安平伯)[br]'''안평공(安平公)'''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경(璥) || || '''부모''' ||부친 [[왕원(광평공)|광평공 왕원]] 모친 안수궁주(安壽宮主) 왕씨[*A 《고려사》 공주열전엔 안수궁주(安壽宮主)로, 《고려사》 종실열전에는 안수공주(安壽公主)로, 아버지인 [[왕원(광평공)|광평공 왕원]]의 묘지명에는 순정공주(順貞公主)로 기록되어 있다.][* [[숙종(고려)|숙종]]의 3녀] || || '''형제자매''' ||[[외아들]] || || '''배우자''' ||[[흥경공주]] 왕씨[* [[예종(고려)|예종]]의 차녀] || || '''생몰연도''' ||[[1117년]]^^([[예종(고려)|예종]] 12년)^^ ~ [[1177년]]^^([[명종(고려)|명종]] 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왕족. 이름은 왕경(王璥). 작위는 안평공(安平公)이다. == 생애 == [[문종(고려)|문종]]의 증손이자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왕도]]의 손자이며, [[숙종(고려)|숙종]]의 외손자이다. 아버지는 [[왕원(광평공)|광평공 왕원]], 어머니는 숙종의 셋째 딸 안수궁주(安壽宮主)[*A]다. 안평공 역시 종실의 딸인 [[예종(고려)|예종]]의 둘째 딸 [[흥경공주]]와 혼인한다. 작위는 안평공(安平公)으로 처음에는 안평백(安平伯)[* 《고려사》종실열전에 평안백(平安伯)으로 잘못 기록되어 있다.]으로 봉해졌다가 이후 아버지가 광평공(廣平公)으로 승작할 때 함께 안평공으로 승작한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성품이 조용하고 공부를 좋아해 경학(經學)과 여러 잡기(雜技)를 두루 꿰고 있었으며, 서화에도 뛰어났다. 불경(釋典)을 좋아해 임종 직전 선승(禪僧)[* [[선종(불교)|선종]](禪宗)의 [[승려]](僧侶)]을 본받아 게송(偈頌)[* 불교적 교리를 담은 한시(漢詩)의 한 형태. [[산스크리트어]] '가타'의 음차로 산스크리트어인 범어(梵語)와 한자어가 합성된 명칭이다. 한시(漢詩)의 송(頌)의 일종이기 때문에 합하여 게송이라 한다. 약칭으로 게(偈)라고 하기도 한다.]을 지었다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왕경, version=82, paragraph=3)] [[분류:고려의 왕족]][[분류:개성 왕씨]][[분류:고려의 공작]][[분류:117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