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토 블루제이스/로스터)] ---- ||
'''{{{#ffffff 알레한드로 커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ffffff 2022}}}]]'''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포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살바도르 페레즈]][br]([[캔자스시티 로열스]]) || → || '''알레한드로 커크[br]([[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애들리 러치맨]][br]([[볼티모어 오리올스]]) ||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85번}}}''' || || 결번 || {{{+1 →}}} || '''알레한드로 커크[br](2020)''' || {{{+1 →}}} || 결번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30번}}}''' || || [[조나단 비야]][br](2020) || {{{+1 →}}} || '''알레한드로 커크[br](2021~)'''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루제이스커크.jpg|width=100%]]}}} || ||<-2> '''토론토 블루제이스 No.30''' || ||<-2> '''{{{+2 알레한드로 커크}}}[* [[에스파냐어]]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한 표기는 '알레한드로 키르크'. 미국 현지 중계에서는 적당히 영어식 발음으로 '커크'로 부르고 국내에도 그렇게 알려져 있으나, 히스패닉을 대상으로 한 스페인어 현지 중계를 들어보면 '키르크'라고 발음하는 것을 알 수 있다.][br]Alejandro Kirk''' || ||<|2> '''출생''' ||[[1998년]] [[11월 6일]] ([age(1998-11-06)]세) || ||[[바하 칼리포르니아]] 주 [[티후아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 '''신체''' ||173cm / 120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0~)''' || || '''계약''' ||1yr / $767,300 || || '''연봉''' ||2023 / $767,3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 [[포수]]. == 선수 경력 ==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마이너 리그 ==== 2016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아마추어 계약을 맺은 뒤 2017년 루키 리그에서 딱 1경기 출전에 그쳤으나, 2018년 같은 리그에서 58경기 10홈런 57타점 33볼넷 21삼진 .353/.443/.558 OPS 1.001의 호성적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싱글A에서 뛰며 92경기 310타수 90안타(2루타 30, 3루타 1) 7홈런 44타점 56볼넷 39삼진 .290/.403/.465의 성적을 기록하며 차근차근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 2020 시즌 ==== 9월 12일 [[뉴욕 메츠]] 원정에서 메이저 데뷔전을 가졌고, 3타수 1안타 1볼넷을 기록했다. 9월 21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홈런 포함 4안타를 치면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 2021 시즌 ==== 4월 14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홈런을 기록하면서 시즌 첫 홈런을 기록했다. 4월 30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는 멀티홈런을 포함 4타점 경기를 펼치며 맹활약을 펼쳤다. 5월 1일 부상 이후 장기간 나오지 못하다가 7월 23일 [[뉴욕 메츠]]전에 복귀했다. 9월 5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전에서는 4타수 3안타 1홈런 3타점을 올리며 맹활약을 펼쳤다. 9월 7일 [[뉴욕 양키스]] 상대로 멀티홈런을 터뜨리며 팀의 5-1 승리를 이끌었다. 9월 11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전에서 솔로홈런을 때려냈다. 시즌 8호 홈런. ==== 2022 시즌 ==== 6월 5일 기준으로 최근 9경기 32타수 15안타 2루타 4개 4홈런 5볼넷 2삼진 .469/.541/.969의 어마어마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팀의 주전 포수로 완전히 자리잡은 모습. 6월 19일 기준으로 58경기 209타석 6홈런 22타점 26볼넷 21삼진 .307/.397/.464 wRC+ 147 fWAR 2.2를 기록하며 리그에서 손꼽히는 포수 성적을 기록 중이다. 올스타 투표 1차 중간 집계에서 1,057,008표를 득표하며 AL 포수 부문 1위를 달렸다. 6월 21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원정에서는 시즌 7호 홈런을 기록했다. 6월 22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원정에서는 1회 1타점 적시타, 3회 솔로 홈런(8호)으로 맹타를 휘둘렀다. 2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한 커크의 최근 7경기 OPS는 1.060이다. 6월 24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서는 4타수 4안타 1홈런 2타점을 기록하며 3경기 연속 홈런을 가동했다. 홈런이 포함된 4안타 경기는 개인 통산 2번째로, 23세 이하 나이에 이 기록을 달성한 포수는 [[서먼 먼슨]], [[조 마우어]]에 이어 커크가 메이저리그 역대 3번째다. 현재 시즌 비율스탯은 .321/.406/.513이며, OPS는 0.919로 ML 포수 전체 선두이다. 올스타 투표에서 185만 표를 획득하며 AL 전체 3위, 포수 1위를 기록해 올스타전 선발 포수 영예를 안게 되었다. 7월 17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전반기 마지막 경기에서는 8회말에 역전 투런포를 터뜨리면서 팀의 3연승을 이끌었다. 7월 22일 [[보스턴 레드삭스]] 원정에서는 6타수 3안타를 기록하며 토론토 구단 역사상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을 28점으로 갱신하는 데 기여했다. 8월 16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전에서는 3타수 무안타를 기록하였고 6회초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에 송구를 뒤로 빠뜨리면서 이닝을 끝내지 못하였고 결국 팀에 4:2 패배에 원흉이 되었다. 8월 20일 [[뉴욕 양키스]] 원정에서는 3안타를 기록했다. 8월 들어 슬럼프에 빠지며 일시적으로 타율 2할대로 떨어졌던 커크는 최근 3경기에서 11타수 6안타(2루타 2개) 4타점 맹타를 휘두르며 3할 타율에 복귀했다. 시즌 성적은 현재까지 .304/.384/.455 OPS .839 12홈런 45타점 wRC+ 136 fWAR 3.0 8월 21일 [[뉴욕 양키스]] 원정에서 2타점 적시타를 기록하며 팀의 연승 행진을 이끌었다. AL 포수 부문 실버슬러거를 수상했다. ==== 2023 시즌 ==== 2월 2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포수 TOP 10 부문에서 6위에 오르며 리그 최고의 포수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인정받았다.[[https://twitter.com/MLB/status/1621328861718790145?t=W-Uabt-F-_OLYQmdvUpehw&s=19|#]] 2022 시즌의 뛰어난 성적을 이어가지 못하고 공격력에서 심각한 하락[* wRC+기준 2022 시즌 129 → 2023 시즌 96]을 보였다. 반면 수비는 매우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DRS 기준 2022 시즌 +9에서 2023 시즌 +17로 개선] 시즌 최종 성적은 .250/.334/.358 wRC+96 8HR 43RBI fWAR 1.6을 기록했다. == 플레이 스타일 == 리그를 대표하는 공격형 포수가 되리라고 기대받는 선수. 타격에서 컨택, 파워, 선구안 모두 갖춘 모습이며, 부드러운 스윙으로 라인 드라이브 타구를 날리는 스프레이 히터이다. 173cm/120kg 프로필에서 볼 수 있듯 장타를 기록할 수 있는 파워를 갖고 있으며, 컨택률 역시 80%를 상회하는 모습이다. 그리고 선구안은 수준급인데, 이미 마이너 시절부터 선구안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빅리그에서도 타석당 볼넷 비율이 10%를 상회하고 볼삼비가 1에 수렴하는 등 뛰어난 모습이다. 하지만 주루는 팬그래프 기준 BsR 수치가 데뷔 후 줄곧 음수대를 기록 중으로, 173cm의 키에 무려 '''120kg'''에 육박하는 체형상 기대가 불가능하다. 수비에서는 빅리그 데뷔 1~2년차 때는 블로킹에서 약점을 드러냈는데, 코치의 지도로 한 쪽 무릎을 바닥에 붙이는 자세로 포구를 하면서 보완해갔다. 또한 프레이밍에서도 부족한 점을 채워가면서 약점을 메우면서, 2022년 들어서는 수비에서도 무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수상 내역 == *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2022]]) * [[아메리칸 리그]] 포수 [[실버 슬러거]] (2022)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알레한드로 커크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0 ||<|4>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9 || 25 || 9 || 2 || 0 || 1 || 4 || 3 || 0 || 1 || 4 || .375 || .400 || .583 || .983 || 0.2 || 0.2 || || 2021 || 60 || 189 || 40 || 8 || 0 || 8 || 19 || 24 || 0 || 19 || 22 || .242 || .328 || .436 || .764 || 0.7 || 0.9 || || 2022 || 139 || 541 || 134 || 19 || 0 || 14 || 59 || 63 || 0 || 63 || 58 || .285 || .372 || .415 || .786 || 3.9 || 3.9 || || 2023 || 123 || 422 || 93 || 16 || 0 || 8 || 34 || 43 || 0 || 42 || 45 || .250 || .334 || .358 || .692 || 1.6 || 1.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4시즌)''' || 331 || 1177 || 276 || 45 || 0 || 31 || 116 || 133 || 0 || 125 || 129 || .268 || .352 || .402 || .753 || 6.3 || 6.9 || == 여담 == * 키가 작은데 몸에 살집이 많아 귀엽다. [[쿵푸팬더]]라는 별명이 있다.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멕시코 대표팀 예비엔트리에 들었다. 만약 선발된다면 [[J.T. 리얼무토]]와 2022 양대리그 실버슬러거 수상자의 맞대결이 성사된다. 하지만 자녀 출산이 지연된 문제로 커크의 참가가 최종 무산되었다. [각주] [[분류:멕시코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티후아나 출신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