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불가리아 총리)] ||<-2> '''불가리아 제21대 총리[br]{{{+1 알렉산더르 촐로프 찬코프}}}[br]Александър Цолов Цанков'''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eksandar_Tsankov.png|width=100%]]}}} || ||<|2> '''출생''' ||[[1879년]] [[6월 29일]]|| ||[[불가리아 공국]] 오랴호보 || ||<|2> '''사망''' ||[[1959년]] [[7월 27일]] (향년 80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벨그라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불가리아, 출력=불가리아 왕국)]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망명.]|| || '''학력''' || || || '''직업''' ||교수, 정치인|| || '''정당''' ||민주연합[* Демократически сговор][br]불가리아 국가사회운동||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불가리아 왕국]]의 정치인. == 생애 == === 초기 === 1879년 루마니아-불가리아 접경지대의 오랴호보(Оряхово)에서 출생한 찬코프는 1910년부터 소피아 대학교의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 [[전간기]] === 1923년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내각을 무너뜨린 쿠데타가 발발했을 때 찬코프는 이 쿠데타의 주역으로 활동하였으며 쿠데타가 성공한 뒤 6월 9일 살해당한 스탐볼리스키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다.[* 이 쿠데타는 불가리아 공산당이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평가받는다.] 총리 재임 시기 그는 공산주의 조직들을 불법화하고 계엄령을 선포하여 사회 분위기를 극도로 억압적으로 만들었다. 때문에 [[코민테른]]은 찬코프 재임기의 불가리아에 대해 "승리한 [[파시즘]] 정권"이라 비난하고 불가리아 공산당 대신 농민연합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러나 [[그리스 제2공화국|그리스]]와 [[페트리치 사건|국경 분쟁]]이 벌어진 후 조기대응에 실패한 찬코프에 대한 비난이 흘러나오기 시작했으며, 설상가상 사건으로 인한 국가 부채를 해결하지 못한 찬코프는 총리에서 사임해야 했다. 정계에서 물러난 후에는 파시즘 지지자로 활동하였으며, 특히 [[아돌프 히틀러]]를 지지하였기에 1932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을 모방한 불가리아 국가사회운동을 창설하였다. 하지만 나치는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을 더 지지하였고, 무엇보다 1934년부터 불가리아의 정권을 잡은 [[https://en.wikipedia.org/wiki/Zveno|즈베노]]가 이들을 지지하지 않아 큰 세력을 만들지는 못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2차 대전 시기에 찬코프는 불가리아 정부의 [[반유대주의]] 정책에 대한 중단을 요구하는 디미터르 페셰프의 편지에 서명하였다.[* 이 편지에는 30명이 서명하였는데, 우익 정치인들은 찬코프를 포함해 단 두명이 서명하였다.] 하지만 [[나치 독일]]은 이를 몰랐는지 1944년에 그를 독일에 설립된 친독 망명정부의 총리로 임명하였다. 이는 1944년 9월 9일 이후로 불가리아의 정권을 잡은 [[불가리아 조국전선]]에 대응한 조치였다.[* 웃긴 건 조국전선의 총리 키몬 게오르기에프는 찬코프의 쿠데타에도 함께한 인물이었고, 즈베노 쿠데타로 한번 총리가 되었던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 전후 === 2차 대전이 [[추축국]]의 패배로 끝난 후 찬코프는 [[아르헨티나]]로 망명했고, 1959년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마을 벨그라노에서 사망했다. == 참고문헌 == *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Aleksandar_Tsankov|#]] == 대중매체 == [[Hearts of Iron IV]]에서는 Battle for the Bosporus DLC 이후 불가리아의 장관으로 등장하며 불가리아가 파시즘 정권을 수립하고 나서 국가사회주의 운동을 통합하면 디시전으로 지도자로 만들 수 있다. 성능은 안정도가 쭉쭉 떨어지는 점만 제외하면 상당히 좋다고 평가받으며 만약 [[시메온 2세|섭정의회]]가 수립될 때 지도자로 있었으면 섭정의회 의장이 되기도 한다. [[분류:1879년 출생]][[분류:1959년 사망]][[분류:브라차주 출신 인물]][[분류:불가리아 총리]][[분류:나치 부역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