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일반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アレキサンドライ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일어판 명칭=アレキサンドライドラゴン, 영어판 명칭=Alexandrite Dragon, 레벨=4,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000, 수비력=100, 효과외1=알렉산드라이트의 비늘을 가진 상당히 진귀한 드래곤. 그 아름다운 비늘은 고대 왕의 이름을 받아\, 신비의 상징이 된다., 효과외2=그것을 손에 넣은 자는 거대한 행운을 이미 거머쥐었어도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이 녀석은 무척 희귀한 드래곤이야!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 >[[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드래곤족 중에서는 최초로 공격력 2000 라인에 이르는 하급 일반 몬스터. 안그래도 공격력 1950의 [[벨즈 헤리오로프]]가 등장했는데 이놈까지 나와서 지금까지 [[제네틱 워울프]] 밑에서 잘 살던 1900라인 바닐라 어택커들은 다시 한번 입지에 대타격을 받았다. 일단 출시 의도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의 소환을 쉽게 하라고 내준것 같다. 포톤 드래곤의 특수 소환 효과 조건이 공격력 2000이상의 몬스터 2장을 릴리즈 하는 것이기 때문. 게다가 대놓고 [[포톤(유희왕)|포톤]]과 같이 쓰라는 건지 속성도 빛이다. 확실히 [[레스큐 래빗]]과 함께하면 바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일단 단독으로의 성능만 봐도 대부분의 테마의 하급 몬스터들을 때려잡을 수 있어 범용성이 매우 높고, 빛 속성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라는 스탯이 [[푸른 눈의 백룡]] 서포트를 위해 나온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각종 카드들]], [[라이트레이]], [[성기사(유희왕)|성기사]], [[카오스(유희왕)|카오스]] 등 이루 다 말도 할 수 없는 양의 온갖 서포트들을 다 받기 때문에 효과가 없는 것 치고는 성능은 꽤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레스큐 래빗]]을 채용하면 [[휘광자 파라디오스]]와 [[세이크리드 오메가]]를 만들 수 있고, 패에 와도 우수한 [[비트 다운]] 요원으로 활약이 가능하다. 더구나 빛 속성이여서, 빛 속성을 소재로 요구하는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등의 특수 소환 또는 어드밴스 소환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 카드의 등장은 참 많은 하급 어태커들에게 타격을 주었다. [[드라고뉴트|액스 드라고뉴트]]나 [[헬 드래곤]]은 어둠 속성에 주목하지 않는 이상 딱히 쓸 이유가 없어졌고, 특히 기존의 바닐라 드래곤 어태커인 [[사파이어 드래곤]]의 주가가 상당히 떨어져서 [[전광천조]]나 [[정룡|남정룡-템피스트]]가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쓰는 의미를 찾기 힘들었던 적도 있었다. 한편 [[그랜드 드래곤]]은 이 카드 때문에 완전히 죽었다. 사실 스탯이 같은 [[제네틱 워울프]]만 해도 땅 속성/야수전사족이 빛 속성/드래곤족보다 마이너하다는 이유로 주가가 떨어졌지만 [[염성(유희왕)|염무]] 카드들의 지원을 받아 다시 주가를 회복했다. 그러나 래빗 라기어가 현역이던 7, 8기 환경이면 몰라도 그 이후에는 하급 어태커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보기는 애매하다. 왜냐하면 9기 이후 환경부터 하급 어태커란 개념 자체가 유명무실 하기 때문. 게임 흐름이 빨라진 환경에서 하급 몬스터는 대부분 상급 몬스터 소환을 위한 파츠 역할로 쓰이다보니 남아있는 경우가 거의 없고, 남더라도 스탯과 상관없이 효과가 우월한 카드만 일부 살아남았다. 상기한 하급 어태커들도 8기 이후 환경에서는 대부분 종족이나 속성 등 특화 덱에서만 채용되기 때문에 하급 어태커 자체를 아예 안쓸지언정 이 카드가 해당 카드들을 밀어내고 투입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드래곤족 위주 덱에서도 엑스 드라고뉴트는 어둠 속성이라 바렛 덱에 투입되기 더 용이하다는 점, 헬 드래곤은 자괴 효과나 릴리스 효과로 후속 콤보를 이어갈수 있다는 점 등 앞 문단의 서술과 달리 차별화 요소가 굉장히 크다.] 원래는 TCG판 [[빛의 충격파]]에서 Alexandrite Dragon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던 신규 카드. 한글판 이름과 같은 이름이지만, 재미있는 것이 일본에서는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이 아니라 '''알렉산드라이 드래곤'''으로 '트'가 빠져 있다. 앞부분의 끝인 ト와 뒷부분의 앞인 ド가 비슷함을 이용해 아예 ト를 없애고 붙여버린 것. 일본 코나미에서 일종의 말장난을 해보고 싶었던 것 같지만 이걸 본 일본 사람들은 [[스크랩 데스데몬|또 쓸데없이 이름 바꾼다고]] [[코나미]]를 깠었다. 한국에서는 대원이 그냥 말장난 따위 쿨하게 무시하고 원래 이름대로 내줬다. 그리고 나중에 [[래브라도라이드래곤]]은 말장난을 제대로 살려서 나왔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도 2018년 4월 29일부터 이벤트 배틀 시티 쇼다운에서 추가된 '보물의 방'에서 첫 공개 되었다. 마지막 칸의 상대인 모크바와 대결할때 이 카드는 정말 희귀한 카드라면서 꺼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19년 2월 중순 'Absolute Inferno' 팩에서 SR 레어로 실장되었다. 참고로 TCG판 부스터 팩 한정 신규 카드로 '''일반 몬스터'''가 나온 것은 이 녀석이 처음이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Sneak Peek Participation Card]] || PHSW-ENSP1 || [[울트라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00 || [[슈퍼 레어]] || 미국 || ||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Xyz Symphony]] || YS12-EN001 || [[노멀]] || 미국 || 절판 ||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 BP02-EN004 || [[노멀]] || 미국 || ||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Structure Deck]] || SDBE-EN003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Starter Deck: Kaiba Reloaded]] || YSKR-EN011 || [[노멀]] || 미국 || || || [[듀얼리스트 세트|Realm of Light Structure Deck]] || SDLI-EN001 || [[노멀]] || 미국 ||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2-Player Starter Deck: Yuya & Declan]] || YS15-ENY01 || [[노멀]] || 미국 || 절판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Saber Force Starter Deck]] || YS15-ENF01 || [[노멀]] || 미국 || 절판 || || Legendary Decks II || LDK2-ENK12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2012]] || ST12-JP001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2012]] || EP12-JP021 || [[슈퍼 레어]] || 일본 || ||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青眼龍轟臨-]] || SD25-JP003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デュエリストエントリーデッキVS]] || VS15-JPS01 || [[노멀]] || 일본 || ||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 DR01-JPB02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2|스타터 덱 2012 스페셜 에디션]] || ST12-KR00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엑스트라 팩|엑스트라 팩 2012]] || EXP5-KR021 || [[슈퍼 레어]] || 한국 || 절판 ||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스트럭처 덱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 SD25-KR003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세이버 포스]] || VS15-KRS01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다이아몬드 드래곤]] === === [[사파이어 드래곤]] === === [[에머랄드 드래곤]] === === [[래브라도라이드래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