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바그라티온 왕조 군주)] ||<-3><#900020> '''{{{#FFF 카헤티 왕국 2대 군주}}}''' [br] {{{+2 {{{#FFF ''' ალექსანდრე | 알렉산드레 1세'''}}}}}} || ||<|3><#900020> '''{{{#FFF 제호}}}''' ||<#900020> '''[[한국어|{{{#FFF 한국어}}}]]''' ||알렉산드레 1세 || ||<#900020> '''[[조지아어|{{{#FFF 조지아어}}}]]''' ||ალექსანდრე || ||<#900020> '''[[라틴어|{{{#FFF 라틴어}}}]]''' ||Alexander I || ||<-2><#900020> '''{{{#FFF 가족}}}''' ||[[기오르기 8세]](아버지)[br]네스탄-다레얀(어머니)[br]안나 티나티나(첫째 아내)[br]티나틴(둘째 아내)[br][[기오르기 2세(카헤티)|기오르기 2세]](장남)[br]디미트리오스(차남) || ||<-2><#900020> '''{{{#FFF 생몰 년도}}}''' ||1445년 또는 1456년 ~ 1511년 4월 27일 || ||<|4><-2><#900020> '''{{{#FFF 재위 기간}}}''' ||1476년 ~ 151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카헤티 왕국]] 2대 군주. == 생애 ==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5대 군주이자 카헤티 왕국 초대 군주인 [[기오르기 8세]]와 삿초라카오의 공주 네스탄-다레얀의 외아들이다. 1476년 아버지가 사망한 뒤 2대 카헤티 군주로 즉위했고, 1489년 [[카르틀리 왕국]]의 [[콘스탄틴 2세]], [[이메레티 왕국]]의 [[알렉산드레 2세]]와 평화 협정을 맺으면서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그는 적대적인 이슬람 세력과의 갈등을 진정시키기 위해 외교적 타협을 모색했다. 1477년 [[카라 코윤루]]의 우즈오운 하산 칸이 카르틀리 왕국을 황폐화시킨 후 카헤티로 쳐들어오려 하자, 그는 카라 코윤루의 봉신을 자처하고 막대한 공물을 바쳤다. 이에 우즈오운 하산 칸은 만족하고 돌아갔고, 카헤티 왕국은 위기에서 벗어났다. [[사파비 제국]]이 날로 강성해지자, 그는 1483년과 1491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3세]]에게 사절을 보내 외교 관계를 맺어서 사바피 제국을 견제하려 했다. 그러나 이반 3세가 별다른 도움을 주지 않자, 1501년 차남 디미트리오스를 [[사파비 제국]]의 [[이스마일 1세]]에게 보내 충성을 서약하고 공물을 바쳤다. 당시 쉬르반을 정복한 후 여세를 몰아 카헤티까지 석권하려 했던 이스마일 1세는 제발로 충성을 서약한 것에 만족을 표하고 돌아갔다. 그 덕분에 카헤티 왕국은 멸망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이렇듯 위기의 순간마다 적절한 외교 정책을 통해 나라를 보전했던 그였으나, 1511년 장남 [[기오르기 2세(카헤티)|기오르기 2세]]의 갑작스러운 쿠데타로 폐위된 뒤 처형당했다. 기오르기 2세는 동생 디미트리오스 역시 체포해 실명형에 처한 뒤 왕위에 올랐다. [[분류:바그라티온 가문]][[분류:카헤티 국왕]][[분류:조지아의 정교회 신자]][[분류:폐위된 군주]][[분류:151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