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45년 출생]][[분류:모스크바 출신 인물]][[분류:러시아의 물리학자]][[분류:이론물리학자]] ||<-2> '''{{{+1 알렉산드르 폴랴코프}}}[br]Алекса́ндр Поляко́в | Alexander Polyakov'''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 || ||<|2> '''출생''' ||[[1945년]] [[9월 27일]] ([age(1945-09-27)]세)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직업''' ||[[이론물리학자]] || || '''분야''' ||[[양자장론]]{{{-2 ([[게이지 장|게이지 장론]])}}}[br][[끈이론]] || || '''학력''' ||모스크바물리기술연구원 {{{-2 ([[물리학]] / [[석사]])}}}[br][[레프 란다우|란다우 이론물리 연구원]] {{{-2 ([[물리학|이론물리학]] / [[박사|Ph.D.]])}}} || || '''소속''' ||[[레프 란다우|란다우 이론물리 연구원]][br][[프린스턴 대학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이론물리학자. 분야는 게이지 장론과 끈이론이다. [[끈이론]]의 거장중 한명으로 폴랴코프 액션 및 경로적분을 고안한것이 유명하다. == 연구 약력 == 1967년부터 1970년대까지 게이지 장론에서 엇호프트-폴랴코프 자기 홀극, BPST 순간자를 고안했다. 1981년에는 기존의 난부-고토 액션을 바탕으로 세계면 계량 텐서에 게이지 이론을 고려해서 힐베르트 액션 형태로 나타낸 폴야코프 액션을 고안했고, [[경로적분/응용#s-2.1|경로적분]]으로 나타낼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끈이론]]에 있어서 세계면의 액션을 기존의 입자이론으로 표현할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 1970년대 초반에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던 난부-고토 액션의 세계면 계량 텐서 h에서는 게이지 변환이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있으나, 이를 게이지 불변을 만족함을 가정하고 세계면 계량 텐서 독립적인 내재 텐서 g를 가정하여 더욱 분명하게 기존의 입자이론으로 나타낼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