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Alexandre Caban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elf_Portrait_(Alexandre_Cabanel).jpg|width=100%]]}}} || || '''본명''' ||알렉상드르 카바넬[br]{{{-1 Alexandre Cabanel}}} || || '''국적'''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5]] [[프랑스]] || ||<|2> '''출생''' ||[[1823년]] [[9월 28일]] || ||[[프랑스]] [[몽펠리에]] || ||<|2> '''사망''' ||[[1889년]] [[1월 23일]] (향년 65세) ||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Alexandre Cabanel [[프랑스]]의 [[화가]]. [[에두아르 마네]]와 같은 시기에 활동했다. 《비너스의 탄생》이 가장 유명하다. 전반적으로 색감과 질감이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 화가이다. == 비너스의 탄생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6/1863_Alexandre_Cabanel_-_The_Birth_of_Venus.jpg|《비너스의 탄생》]] 1863년 [[에두아르 마네]]의 그림《[[에두아르 마네#s-3|풀밭위의 점심식사]]》는 낙선되어 낙선전에서야 전시가 되어 주목을 받은데 반해, 카바넬의 그림 가운데 가장 유명한 그림인《[[비너스]]의 탄생》은 꽤 호평을 받으며 큰 인기를 끌어 그 해 살롱전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나폴레옹 3세]]가 탐내며 구입했을 정도였다.] 하지만 마네의 그림이 재조명받는 오늘날에 와서는 카바넬을 상업적으로만 성공한 화가라고 까는 사람들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마네의 그림이 한때 들었던 원색적, 도색적이라는 평가를 요즘은《비너스의 탄생》이 듣고 있다.[* 당시 첫선을 보일 때도 밀가루덩어리라 생각될 정도로 살집 있다는 말이 나왔다.][* 당시 인상주의 화가를 지지하던 [[에밀 졸라]]는 창녀, 뼈와 살로 이루어지지 않은 무언가 라는 표현까지 쓸 정도였다 한다. 케이크 장식으로 쓰는 마르치판(marzipan) 같다는 표현도 썼다 하는데 밀가루 덩어리라는 표현은 저 말이 와전된 듯.] 보통은 [[산드로 보티첼리]]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b/Sandro_Botticelli_-_La_nascita_di_Venere_-_Google_Art_Project_-_edited.jpg/1280px-Sandro_Botticelli_-_La_nascita_di_Venere_-_Google_Art_Project_-_edited.jpg|동명의 그림]]에 묻혀서 그다지 유명하지는 않다. 현재《비너스의 탄생》은 [[오르세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한때 [[네이버]] 메인화면에서 비너스의 탄생 그림 모음이라는 주제의 글에서 링크배너로 나온 적이 있는데, 예술작품임에도 적당히 야하게 그려진 그림이라 이런 걸 메인화면에 올려도 되냐는 말이 많았다. == 작품 목록 == • 비너스의 탄생 (La naissance de Vénus, 1863) • 타락천사 (L'ange déchu, 1847) • 모세의 죽음 (La mort de Moïse, 1851) • 파이드라 (Phèdre, 1880) • 에코 (Echo, 1874) • 아담과 이브의 추방 (Adam et Ève chassés du Paradis , 1867) [[분류:프랑스의 화가]][[분류:몽펠리에 출신 인물]][[분류:1823년 출생]][[분류:188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