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8ce8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페어 동메달리스트)]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페어 챔피언)]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페어 챔피언)] ---- [include(틀:역대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 페어 위너)] ---- ||<-5>
{{{#white '''독일선수권 페어 챔피언'''}}} || ||<-5> [[파일:독일 빙상연맹.jpg|width=200]] || ||<-5> || || 에바-마리아 피츠 / 리코 렉스[br](2003) || {{{+1 → }}}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br](2004~2009)''' || {{{+1 → }}} || 메일린 허슈/ 다니엘 벤데[br](2010) || || 메일린 허슈 / 다니엘 벤데[br](2010) || {{{+1 → }}}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br](2011)''' || {{{+1 → }}} || 메일린 허슈 / 다니엘 벤데[br](2012) || || 애너벨 프롤 / 루벤 블로마트[br](2013) || {{{+1 → }}}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br](2014)''' || {{{+1 → }}} || 마리 바트맨 / 아론 밴 클리브[br](2015) || ||<-5>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jpg|width=100%]]}}} || ||<-3> '''{{{#000000,#ffffff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2014 소치 동계올림픽]] 동메달 획득 당시}}}''' || || '''이름''' ||알리오나 사브첸코[br]Олена Валентинівна Савченко[* 우크라이나식 이름][br]Aljona Sawtschenko[* 독일식 이름][br]Aliona Savchenko||로빈 졸코비[br]Robin Szolkowy|| ||<|2> '''출생''' ||[[1984년]] [[1월 19일]] ([age(1984-01-19)]세)||[[1979년]] [[7월 14일]] ([age(1979-07-14)]세)|| ||[[소련]] [[우크라이나]] [[키이우]]||[[동독]] [[그라이프스발트]]|| || '''신체''' ||153cm||175cm|| || '''이전 파트너''' ||스타니슬라프 모로조프[* 러시아의 전직 페어 선수(당시에는 우크라이나 국적이었다.)인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타티야나 볼로소자르]]와도 파트너십을 맺기도 했다.][br]드미트리 보옌코||클라우디아 라우셴바흐,[br]요한나 오토|| || '''링크''' ||[[https://facebook.com/aljona.savchenko|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aljonasavchenko|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https://www.instagram.com/robin_szolkowy|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소련)] {{{-2 (~1991)}}}[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2 (1991~2002)}}}[br][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2 (2003~)}}}||[include(틀:국기, 국명=동독)] {{{-2 (~1990)}}}[br][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2 (1990~)}}}|| || '''종목''' ||<-2>[[피겨 스케이팅]]|| || '''은퇴''' ||[[2021년]] [[4월 30일]]||[[2014년]] [[3월 27일]]||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前 [[피겨 스케이팅]] 페어 선수이며,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과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 ISU 공인 최고점수 == ||<-2>
'''ISU 공인 최고점수''' || || '''쇼트''' ||79.64([[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2014 소치 동계올림픽]])|| || '''프리''' ||147.57([[2013-1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3-14 그랑프리 파이널]])|| || '''총점''' ||227.03([[2013-1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3-14 그랑프리 파이널]])|| == 커리어 == ||
'''대회''' || '''{{{#white 금}}}''' || '''{{{#white 은}}}''' || '''{{{#white 동}}}''' || ||올림픽|| {{{#white 0}}} || {{{#white 0}}} || {{{#white 2}}} || ||세계선수권|| {{{#white 5}}} || {{{#white 2}}} || {{{#white 1}}} || ||유럽선수권|| {{{#white 4}}} || {{{#white 3}}} || {{{#white 0}}} || ||그랑프리 파이널|| {{{#white 4}}} || {{{#white 1}}} || {{{#white 3}}} || || '''합계''' || '''{{{#white 13}}}''' || '''{{{#white 6}}}''' || '''{{{#white 6}}}''' || ---- ||<-3>
{{{#white 올림픽}}} || || 동메달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0 밴쿠버]]||[[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페어]]|| || 동메달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2014 소치]]||[[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페어|페어]]||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200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8 예테보리]]||페어|| || 금메달 ||[[2009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9 로스엔젤레스]]||페어|| || 금메달 ||[[2011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1 모스크바]]||페어|| || 금메달 ||[[201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2 니스]]||페어|| || 금메달 ||[[201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4 사이타마]]||페어|| || 은메달 ||[[2010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0 토리노]]||페어|| || 은메달 ||[[201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3 런던]]||페어|| || 동메달 ||[[2007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07 도쿄]]||페어|| ||<-3> {{{#white 유럽선수권}}} || || 금메달 ||[[2007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07 바르샤바]]||페어|| || 금메달 ||[[2008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08 자그레브]]||페어|| || 금메달 ||[[2009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09 헬싱키]]||페어|| || 금메달 ||[[2011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1 베른]]||페어|| || 은메달 ||[[2006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06 리옹]]||페어|| || 은메달 ||[[2010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0 탈린]]||페어|| || 은메달 ||[[2013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2013 자그레브]]||페어|| ||<-3> {{{#white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2007-08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7-08 토리노]]||페어|| || 금메달 ||[[2010-11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0-11 베이징]]||페어|| || 금메달 ||[[2011-12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1-12 퀘벡]]||페어|| || 금메달 ||[[2013-1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13-14 후쿠오카]]||페어|| || 은메달 ||[[2006-07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페어|| || 동메달 ||[[2005-06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5-06 도쿄]]||페어|| || 동메달 ||[[2008-09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8-09 고양]]||페어|| || 동메달 ||[[2009-10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2009-10 도쿄]]||페어|| ---- ||<-12>
'''{{{#white 국제대회}}}''' || || '''대회''' || '''03–04''' || '''04–05''' || '''05–06''' || '''06–07''' || '''07–08''' || '''08–09'''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올림픽|| || || 6th || || || || 3rd || || || || 3rd || ||세계선수권|| || 6th || 6th || 3rd || 1st || 1st || 2nd || 1st || 1st || 2nd || 1st || ||유럽선수권|| || 4th || 2nd || 1st || 1st || 1st || 2nd || 1st || WD || 2nd || WD || ||GP 파이널|| || || 3rd || 2nd || 1st || 3rd || 3rd || 1st || 1st || || 1st ||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 || || || || 1st || 3rd || 1st || || WD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 || || || 1st || || 1st || 1st || || || ||GP 컵 오브 차이나|| || || || 3rd || || || || || || || 1st || ||GP NHK 트로피|| || || 2nd || || 1st || || || || 3rd ||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 1st || || 1st || || 1st || || || 1st || || ||GP 컵 오브 러시아|| || 3rd || || 1st || 2nd || || || || 1st || || 1st || ||NRW 트로피|| || || || || || || || || || 1st || || ||네벨혼 트로피|| || 3rd || 1st || || 1st || 1st || 1st || || || || || ||네펠라 트로피|| || 1st || || || || || || || || || || ||<-12> '''{{{#white 국내대회}}}''' || ||독일선수권|| 1st || 1st || 1st || 1st || 1st || 1st || || 1st || || || 1st || ||<-12> GP=그랑프리, WD=기권 || == 기타 == * [[201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2014 세계선수권]]이 끝나고 로빈 졸코비가 은퇴함에 따라, 선수생활을 계속할 의지가 있던 사브첸코 선수는 새로운 파트너인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브루노 마소]]와 팀을 결성하게 되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 사브첸코는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브루노 마소]](독일)와 팀을 결성하여 다시 한번 선수자격으로, 졸코비는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러시아)조의 코치 자격으로 내한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쇼트에서 브루노 마소가 트리플 점프를 더블로 처리해버리는 실수를 하는 바람에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사마네]] 조가 4위를 하고[* 이 때 사마네 조가 4위를 하자 피겨 팬들은 사브첸코가 또 금메달을 놓치는 것이냐고 안타까워하는 반응을 많이 보였다. 사브첸코는 온갖 국제대회를 휩쓸긴 했지만 유독 올림픽에서는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는 러시아 관중들의 비매너 때문에 집중하기 더 힘들어 점프에서 넘어지는 실수를 범하기도 했다. 넘어졌을 때 러시아 관중들의 엄청난 비웃음과 야유를 받은 것은 덤이다.) 두번 다 동메달에 그쳤기 때문이다. --몰론 나중에 역전에 성공해 금메달도 차지하고 그랜드슬램도 달성했다.--], 졸코비의 제자인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타모네]] 조가 2위를 했다. 그러나 프리에서는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사마네]] 조가 압도적인 실력으로 클린을 해 우승하였으나, 쇼트 1위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타모네]] 조는 프리에서 실수를 범해, 최종 순위 4위에 머물러 메달을 놓치는 광경이 보여지기도 했다.[* 그래도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타모네]] 조는 그 전에 열린 단체전에서는 --국적빨과 [[알리나 자기토바|자기토바]]와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메드베데바]]의 점수빨로-- 은메달을 따는 등 나름의 수확을 건지기는 했다. 하지만 소련 시절부터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때까지 올림픽 금메달을 한번도 놓친 적이 없었고, 바로 전 올림픽이었던 소치 올림픽에서 금, 은을 동시에 석권했던 러시아 페어 스케이팅의 역사를 생각하면 굴욕인건 마찬가지이다. --물론 이전에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밴쿠버]] 때 [[중국]] 때문에 포디움에 못든 적은 있다.--] == 관련 문서 == * [[혼혈/목록]] [각주] [[분류:독일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분류:독일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분류: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14 소치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독일로 귀화한 인물]][[분류:1984년 출생]][[분류:1979년 출생]][[분류:우크라이나계 독일인]][[분류:우크라이나계 미국인]][[분류:키이우 출신 인물]][[분류: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