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9481 10%, #FFFFFF 10%, #FFFFFF 90%, #029481 90%)" '''알리우 시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0%, #1C8C66 10%, #1C8C66 90%, #FFFFFF 90%)"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틀: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29481; font-size: 0.9em" [[틀: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fffff '''세네갈'''}}}]]}}}[br]{{{-2 22대}}} || || || || ||<-4> {{{#333333,#cccccc '''클럽'''}}} || ||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0%, #F0F0F0)" {{{+1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029481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C8C66 0%, #00825E)" {{{#ffffff ''' Équipe du Sénégal de football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iou Cissé.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알리우 시세'''}}}[br]'''Aliou Cissé''' || ||<|2><-2> {{{#ffffff ''' 출생 ''' }}} ||[[1976년]] [[3월 24일]] ([age(1976-03-24)]세) || ||{{{-1 [[세네갈]] 지긴쇼르주 [[지긴쇼르]]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세네갈)]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80cm || ||<-2> {{{#ffffff ''' 직업 ''' }}} ||축구선수([[미드필더]]-[[수비수(축구)|수비수]] / ^^은퇴^^)[br][[축구 감독]] || ||<|2>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LOSC 릴]] (1994~1997)[br][[CS 스당 아르덴]] (1997~1998)[br][[파리 생제르맹 FC]] (1998~2001)[br][[몽펠리에 HSC]] (2001~2002)[br][[버밍엄 시티 FC]] (2002~2004)[br][[포츠머스 FC]] (2004~2006)[br][[CS 스당 아르덴]] (2006~2008)[br][[님 올랭피크]] (2008~2009) || || {{{#ffffff ''' 감독 ''' }}}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U-23 대표팀]] (2012~2013 / ^^수석코치^^)[br][[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U-23 대표팀]] (2013~2015)[br]'''[[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대표팀]] (2015~ )''' || ||<-2> {{{#ffffff ''' 국가대표 ''' }}} ||35경기 0골^^([[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 1999~2005)^^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네갈]]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2015년]]부터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선수 시절에는 [[2002 FIFA 월드컵 대한민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8강 진출에 기여했고, 감독으로서는 조국 세네갈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2회 연속 본선진출과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2021 네이션스컵]] 우승, 세네갈의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을 이끈 세네갈 축구의 레전드 중 하나다. == 커리어 ==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세네갈 본토 태생이지만 9살 때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착했고, [[LOSC 릴]]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나 3년간 1군의 높은 벽을 실감하며 6경기 출전에 그쳤고, 이후 출전기회를 위해 이적한 [[CS 스당 아르덴]]에서도 컵대회 1경기 출전밖엔 못했다. 하지만 파리 생제르맹 이적 후 첫 시즌 8경기에 출전하며 처음으로 1군 선수로써 의미있는 출전수를 기록했고, 이듬 해 시즌인 1999-2000 시즌에는 깜짝 주전급 선수로 중용되며 리그 25경기 1골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뒀다. 2000-01 시즌 바로 다시 교체요원으로 밀렸고, 2001-02 시즌에는 몽펠리에 임대를 떠나기도 했지만, 어찌됐건 프랑스 1부리그 무대에서 계속 살아남고 있었다. 2002년 월드컵 세네갈의 돌풍의 주역이 된 후 그는 잉글랜드 [[버밍엄 시티 FC]]로 이적하며 처음 영국 무대를 밟는다. 거친 중원 장악 스타일로 경고를 많이 받았지만 초반 버밍엄의 주전 미드필더로 쭉 선발출전했다. 그러나 2003년 2월 부상으로 인해 시즌 아웃되며 첫 시즌 리그 21경기 출전에 만족해야했다. 2003-04 시즌 [[스티브 브루스]] 감독 체제에서 이적 명단 대상에 올라갔지만 프리시즌을 거치면서 다시 1군 구상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첫 시즌보다는 줄어든 기회를 받으며 15경기 출전에 그쳤다. 이후 2004-05 시즌 [[포츠머스 FC]]로 이적했다. 하지만 포츠머스에서도 백업 역할에 만족하며 2시즌동안 21경기 출전에 그쳤다. 이후 그는 예전 그가 잠깐 소속되었던 스당으로 이적해 또 두 시즌을 보냈고, 2008-09 시즌 [[님 올랭피크]]에서 한 시즌을 더 보낸 뒤 선수생활을 마무리했다. ==== 국가대표 경력 ==== 1999년 세네갈 국가대표로 데뷔해 2005년까지 A매치 35경기를 소화했다. 2000년대 초반 세네갈 대표팀의 첫번째 전성기 때의 팀의 주장이었다. 특히 2002년 월드컵 본선진출과 2002년 초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을 경험했다. 네이션스컵 결승 카메룬과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실축을 해 첫 우승을 날려먹은 원흉으로 당시 욕을 먹기도 했다. 하지만 5개월 뒤 열린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대회에서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세네갈 대표팀]] 주장으로 [[세네갈 쇼크]]를 일으킨 주인공 중 한 명이 되면서 오명을 씻었고, 팀도 대회 8강까지 질주하면서 최고의 이변을 만들어냈다. 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도 참가했고, 2005년 마지막으로 A매치를 소화한 뒤 차출되지 않았다. === 감독 경력 === 선수 시절, 팀의 주장으로 월드컵 8강을 이끌었지만, 감독으로써는 더더욱 성과를 내고 있는 인물이다. [[2015년]]부터 전임 [[알랭 지레스]]가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며 물러나자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에 취임했다. 취임 후 첫 메이저 대회인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의 벽에 막혀 8강에 그쳤지만,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월드컵]]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프리카)|아프리카지역예선]] D조에 배정되자 상대팀들을 연달아 격파하며 무패로 본선행을 확정지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에 출전하는 감독 중 최연소 감독이자 유일한 흑인 감독으로 대회를 참가하게 됐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는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H조|본선 H조]]에 배정되었는데 첫 경기인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폴란드 대표팀]]을 농락하며 첫 승리를 거두었다. [[세네갈 쇼크|세네갈 쇼크 시즌2]]의 서막을 알리는 것이었다. 2차전 일본전에서는 세네갈 선수들의 활약으로 앞서나가기도 했으나 일본에 두 번이나 동점골을 허용하며 아쉽게 2-2 무승부로 끝이 났다. 이어서 콜롬비아전은 [[예리 미나]]의 결승골로 1:0으로 패했다. 이로 인해 일본과 승점 및 골득실이 동일해서 페어플레이 점수로 16강 진출을 결정짓게 되었다. 결국 일본에 페어플레이 점수가 뒤지면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로써 이 대회에서 아프리카 팀들은 조별리그에서 모두 탈락하게 되었다. 참고로 시세는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에 출전한 감독들 중 유일한 [[흑인]] 감독이었다. 이후 [[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에서는 아쉽게 [[준우승]]을 기록하였지만,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에서는 이집트를 꺾고 조국의 통산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이끌어 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프리카)/최종예선|아프리카 최종예선]]에서는 운명의 장난인지 이집트와 리매치를 치르게 되었는데,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지난 대회에 이어 본선에 참가하는 지도자 중 한 명에 이름을 올렸다. [* 본인 외 8명, [[디디에 데샹]](프랑스), [[즐라트코 달리치]](크로아티아), [[로베르토 마르티네스]](벨기에), [[가레스 사우스게이트]](잉글랜드), [[치치(축구인)|치치]](브라질), [[페르난두 산투스]](포르투갈), [[카를로스 케이로스]](이란), [[에르베 르나르]](모로코, 사우디)] 그리고 러시아 월드컵(42세)에 이어 카타르 월드컵(46세)까지 2회 연속 월드컵 출전 최연소 감독으로도 이름을 올렸다. 역대 최연소는 아닌데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 출전해 준우승을 차지한 아르헨티나의 감독 후안 호세 트라무톨라가 당시 27세 267일의 나이로 깨지지 않을 1위를 랭크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타르 월드컵으로 한정하면 카메룬 대표팀의 감독 [[리고베르 송]]이 있다. 동갑으로 시세보다 늦은 7월 1일 생이다. 본선에서는 개최국 카타르, 남미의 에콰도르, 유럽의 네덜란드와 함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A조|A조]]에 속하게 되었다. 조별리그에서 네덜란드에게 2:0으로 완패로 출발을 했지만 개최국 카타르와의 2차전에서 3:1로 완승했고, 마지막 에콰도르와의 3차전에서 혈투 끝에 2:1로 승리하며 2002년 월드컵 이후 20년 만에 세네갈의 월드컵 16강을 견인했다. 잉글랜드와의 16강전은 몸이 안 좋아서 벤치에 앉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지만,[* 그래서 16강전을 앞두고 치러진 기자회견에서도 본인 대신 레지스 보가르드 수석코치가 참석했다.] 본인이 손수 지휘하였는데, 결과는 0대3으로 완패하며 16강에서 탈락했다. == 여담 == * 무려 '''1863명이 사망'''한 [[르 줄라호 침몰사고]]라는 서아프리카 희대의 참사로 친척 9명을 한꺼번에 잃은 적이 있다.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8062100149#Redyho|#]] 이 사건은 비전시 상황을 제외하면 해양사고 사망자수 '''4위'''[* 1위는 4364명이 사망한 [[도냐 파즈호 침몰 사고]], 2위는 약 3500명이 사망한 중앙 대서양 허리케인, 3위는 약 2800명 이상이 사망한 [[캉야호 침몰 사고]].]한에 이르는 대형사고 였다. 사고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이 사건 이후 세네갈과 나이지리아의 자선 경기가 열렸고, 알리우 시세의 당시 소속팀이었던 버밍엄 시티 또한 자선 기금 모금을 하며 시세를 위로했다.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H조|본선 H조]] 1차전에서는 [[간지#s-5]] 넘치는 [[레게머리]]와 런웨이 남자 모델스러운 엄청난 수트핏의 콜라보에,[* 여초사이트에서는 그동안 흑인 남자하면 연상되던 우락부락한 근육남이 아닌 마르고 탄탄한 옷걸이가 잘 받는 모델급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봤다는 평가가 많다.] 예능프로그램 <[[일밤]]>의 'TV인생극장' 코너 속 "그래, 결심했어"와 같은 모션을 취하면서 네티즌들의 큰 관심을 얻었다. [[미국]]의 래퍼 [[스눕 독]] 느낌이 난다는 얘기도 나오고, '''흑간지'''라는 별명도 붙었다. [[http://programs.sbs.co.kr/sports/fifawc/clip/52690/22000281030|영상]][* 2분 22초 이후 볼 것.] [[https://search.naver.com/p/crd/rd?m=1&px=661&py=418&sx=661&sy=418&p=TyEw+dpySDVssZWy3c8ssssssPw-284025&q=%BC%BC%B3%D7%B0%A5+%B0%A8%B5%B6&ssc=tab.news.all&f=news&w=news&s=o5leKcbxyp1ORQp8RRUKBg==&time=1529459035711&a=nws*f.tit&r=1&i=88135209_000000000000000000130044&g=5239.0000130044&u=http%3A//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3Fid%3D351400|기사]] 묘하게 [[잭 스패로우]] 또는 [[헤임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헤임달]] 느낌이 나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감독)] [include(틀: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감독)] [[분류:1976년 출생]][[분류:세네갈의 축구선수]][[분류:세네갈의 축구감독]][[분류:LOSC 릴/은퇴, 이적]][[분류:CS 스당 아르덴/은퇴, 이적]][[분류:파리 생제르맹 FC/은퇴, 이적]][[분류:몽펠리에 HSC/은퇴, 이적]][[분류:버밍엄 시티 FC/은퇴, 이적]][[분류:포츠머스 FC/은퇴, 이적]][[분류:님 올랭피크/은퇴, 이적]][[분류: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세네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200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말리 참가 선수]][[분류:200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튀니지 참가 선수]][[분류: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감독]][[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감독]][[분류:201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가봉 참가 감독]][[분류:201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이집트 참가 감독]][[분류: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참가 감독]][[분류:지긴쇼르 주 출신 인물]][[분류:2009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