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유럽의 통화)] Leku Shqiptar ([[알바니아어]], 레쿠 슈칩타르) [[파일:600px-Banka_e_Shqiperise.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알바니아]]의 통화로 [[ISO 4217]]코드는 ALL, 기호는 L로 표기하며, 보조단위는 친다르케(Qindarke)이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레쿠'''라는 단위 자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가리키는 축약형 별명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자신들이 발칸반도의 선주민이라는 자부심이 드러나는 부분 중 하나. 보조단위 친다르케는 그냥 알바니아어로 "100"이라는 뜻이다. Cent와 동일한 의미. 2023년 6월 현재 환율은 약 13원. 인플레 추정치(2013년)는 1.7%. 처음에는 5, 10친다레쿠[* 레쿠화의 초창기 하위단위. 당시 알바니아 통화체계는 프란가 하위에 친다케가 있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별도로 구분하였다. 이 2종은 최종발행분의 1, 2친다케화에 해당한다.]화와 ¼, ½(25,50친다레쿠), 1레크화 및 1, 2, 5프란가화 동전이 발행되었다. 당시 [[이탈리아]]의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취향에 맞춰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때는 그만큼 이탈리아의 입김이 많이 닿는 알바니아여서, 이후 [[1939년]]에는 [[무솔리니]]가 이탈리아의 영토를 되찾겠다면서 강제로 편입함에 따라 개혁당했을 정도였다. 이러한 추세가 뒤집힌건 2차 세계대전으로 이탈리아가 발을 빼고, 1947년 자치 공산주의 세력이 권력을 얻으면서이다. == 환전 == 국내 시중은행, 환전소에서는 취급하지 않으며 KEB하나은행 역시 비고시 추심 대상이 아니다. 알바니아로 여행, 사업 목적으로 간다면 아래의 외국 통화로 환전이 가능하다.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환전소이나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http://www.iliria98.com/|일리리아 환율창]]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멕시코 페소 * 유럽: 유로, 스위스 프랑,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스웨덴 크로나,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불가리아 레프]], 루마니아 레우, 아이슬란드 크로나, 세르비아 디나르, [[폴란드 즈워티]], [[헝가리 포린트]], [[체코 코루나]][* 알바니아에서도 체코/헝가리 환전 사기가 워낙 알려진 탓에 현지인들이 자국에서 환전한다고]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 아시아: 일본 엔, 싱가포르 달러, 중국 위안 * 중동: [[이스라엘 신 셰켈]],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카타르 리얄, 바레인 디나르 ==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1기) == 사실 엄밀하게 따지면 [[1946년]] 전에 발행된 것들이라 좌익 임시정부 시절도 병행하여 설명했다. 보다 공산주의적 용도에 맞게끔 개혁된 시리즈이다. 그래선지 교환비가 명확하지 않다. === 1945 발행 === 이전의 은행은 알바니아 "국립"은행 이었지만 점령 후에는 국립을 빼서 알바니아 은행 으로 불렀다. 작은 차이지만 무언가 굉장히 허전함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 1945년 5월 1일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15.jpg|width=100%]] || 5 프란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27.jpg|width=100%]] || 20 프란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32.jpg|width=100%]] || 100 프란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4520.jpg|width=100%]] || 500 프란카 || * 이때까지는 프란카 표기를 사용했었다. * 참고로 지폐속 흉상은 [[스칸데르베그]]이다. 봉건 귀족이었던지라 공산주의와는 어울리지 않지만, 워낙에 인물이 인물인지라... === 1947 발행 === 레케화가 공식적으로 국가 통화로 지정된 이후 발행된 첫 번째 시리즈이다! 여느 유럽국가와 마찬가지로 춘추전국시대 뺨치는 방대한 시리즈를 통합해 주었다. |||| || 앞면 || 뒷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424.jpg|width=100%]] || 10L ||<|5> 파르티잔 ||<|5> 액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520.jpg|width=100%]] || 50L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69.jpg|width=100%]] || 100L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74.jpg|width=100%]] || 500L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815.jpg|width=100%]] || 1,000L || === 1949 발행 === 조금 더 노동자를 집어 넣었다. 이것이 다 [[엔베르 호자 | 구국의 영웅이자 불세출의 전략가이신 위대하신 령도자 덕분이다!]] |||| || 앞면 || 뒷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1910.jpg|width=100%]] || 10L || 국장 || 액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10227222028.jpg|width=100%]] || 50L || 스칸데르베그 || 파르티잔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064309175532226.jpg|width=100%]] || 100L || 총을 든 군인 || 액면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064309185527595.jpg|width=100%]] || 500L || [[트랙터|뜨락또르]] / 스칸데르베그 || 볏단을 든 농민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06430920114363.jpg|width=100%]] || 1,000L || 스칸데르베그 / 송전탑 || 광산 노동자 ||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2기) == === 1953~76 발행 === [[1976년]] 새 헌법을 채택한 알바니아는 국호에 [[사회주의]]를 추가하게 된다. 다만 그이전에 발행된 1964년 발행 은행권과 국호 변경 후인 1976년 발행 은행권에는 딱히 차이가 없었다.[* 지폐 우측 하단에 년도가 달라졌고, 일렬번호의 글씨가 조금 얇아졌지만, 이전의 화폐라고 받아주지 않는다는건 없었다.]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01.jpg|width=100%]] || 1L || 수확하는 농민 || 로자파 요새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02.jpg|width=100%]] || 3L || 포도바구니를 든 여인 || 사란다 마을 전경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03.jpg|width=100%]] || 5L || 트럭과 증기기관차 || 배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04.jpg|width=100%]] || 10L || 방직공장의 여성 노동자 || 문화궁전서 대화하는 정부 관료, [[나임 프라세리]]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05.jpg|width=100%]] || 25L || 추수하는 여성 || [[트랙터|뜨락또르]]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06.jpg|width=100%]] || 50L || 군대행진, [[스칸데르베그]] || 총, 곡괭이, 아파트 건설현장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07.jpg|width=100%]] || 100L || 아들에게 수력발전소 보여주는 아버지 || 재철소 노동자와 석유시츄 노동자 || == 알바니아 공화국(3기) == 기나긴 [[공산주의]] 독재시기를 거쳐 1991년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면서 나라가 뒤집히니 거기에 따라 같이 뒤집혀 만들어진 통화.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가 [[자본주의]]로 전환될 때 처럼 알바니아도 엄청난 물가상승을 피하지는 못했기에 [[보조단위]]가 전면 폐지되었다. === 1991 발행 === |||| || 앞면 || 뒷면 || || [[파일:100-Leke (2).jpg|width=100%]] || 100L || 정유소 || 제철소 인부 / 시추공 / 제분소 || || [[파일:external/www.ybnotes.com/2006430936693141.jpg|width=100%]] || 500L || 해바라기를 든 소녀 || 산 || 당시 100레크 지폐는 2021년 7월 현 시점에서 이미 회수가 되어 통용이 불가능하게 되었고, 500 레크권을 포함한 모든 현행권이전 지폐들은 [[2010년]] 7월 1일부터 회수와 교환을 시작 [[2024년]] 1월 1일부터는 교환을 중단해 사용할 수 없는 지폐가 된다. ==== 1992 긴급조치 발행 ==== 마트에 들어갈때 가격과 나올때 가격기 천지차이일 정도로 [[인플레이션]]이 심해지자, 현행 화폐를 50:1의 비율로 개혁하여 '레크발류트' 라는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 잠깐이나마 발행했다.~~그리고 그해 10월부로 폐지되었다..~~ === 1992 발행 === [[1992년]] 10월 1일 새로운 은행권이 발표되었는데 1000 레크 권이 1949년 이후로 42년 만에 다시 등장했다.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1.jpg|width=100%]] || 100L || 코르차 민족 전사 동상 || 산맥 / 새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2.jpg|width=100%]] || 200L || [[이스마일 체말리]] || 독립기념식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3.jpg|width=100%]] || 500L || [[나임 프라세리]] || 촛불 / 산맥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4.jpg|width=100%]] || 1000L || [[스칸데르베그]] || 스칸데르베그 성 || 100 레크 권은 [[1994년]] 4월 25일 발행하기 시작했다. === 1996(2019) 발행 === 초판은 1997년 7월 11일 발행되었다. 이후 2019년 가을부터 도안은 동일하지만 디자인을 수정한 개정판이 발행되었으며 200레크권이 폴리머 재질로 바뀌었다.[* 본래는 전량 폴리머로 교체할 계획이었으나 최종적으로 200레크만 교체하고 나머지는 기존의 면소재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함께 계획했던 새 고액권 1만레크권도 이 시리즈에 편입되어 2021년 발행되었다. |||| 현행권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1.jpg|width=100%]] || --100L-- || [[판 놀리]] || 잡지 / 알바니아 최초의 의회건물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2.jpg|width=100%]] || 200L || [[나임 프라세리]] || 그의 생가 / 시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3.jpg|width=100%]] || 500L || [[이스마일 체말리]] || 독립기념관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4.jpg|width=100%]] || 1,000L || [[피어테르 보그다니]] || 바비 뎨예스 교회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5.jpg|width=100%]] || 2,000L || [[겐티오스]] || 부트린트 유적의 원형극장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6.jpg|width=100%]] || 5,000L || [[스칸데르베그]] || 크루여 성[* 스칸데르베그가 반(反)오스만 항쟁의 기치를 처음으로 든 곳이자, 이후 그의 본거지가 된 곳이다.오늘날 크루여에는 스칸데르베그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 [[파일:attachment/알바니아 레크/leke07.jpg|width=100%]] || 10,000L || [[아스드레니]] || 알바니아 국기와 [[깃발의 찬가]] || * 100 레크 권은 [[2000년]]에 동전이 나오면서 교체되어 2009년 1월 1일부터 회수교체를 시작해 통용이 중지되는 것은 위에서 말한 [[2024년]] 1월 1일이다. === 동전 === [[파일:Albania_money_coins.jpg]] 5L - 알바니아 [[쌍두독수리]] 10L - 베라트 성 20L - 리부르나 50L - [[겐티오스]] 100L - [[테우타(아르디아이)|테우타]] 5, 10, 20, 50, 100레크 5종이 있으며, 1레크도 존재는 하나 대게 5레크 단위로 거래가 이루어져서 사실상 있으나 마나 한 수준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알바니아 관련 문서)] [각주] [[분류:통화]][[분류:알바니아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