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 [include(틀:알바니아 관련 문서)] ---- ||<-2>
[[파일:Albania national football team crest.png|height=200]] || ||<-2> {{{#ffffff '''{{{+2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 ||<-2> {{{#ffffff '''Kombëtarja shqiptare e futbollit'''}}} || || {{{-1 [[FIFA 코드|{{{#ffffff '''FIFA 코드''' }}}]] }}} ||'''ALB'''|| || {{{#ffffff '''축구 협회''' }}} ||알바니아 축구 연맹 || || {{{#ffffff '''대륙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 || {{{#ffffff '''홈 경기장''' }}} ||[[에어 알바니아 스타디움|티라나 내셔널 아레나]] [br] {{{-1 (Tirana's National Arena / 22,500석) }}} || || {{{#ffffff '''별명'''}}} ||Kuq e Zinjtë (빨강-검정) [br] Shqiponjat (독수리) || || {{{#ffffff '''감독'''}}}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출력= )][[시우비뉴]] (Sylvinho) || || {{{#ffffff '''주장'''}}} ||[[에트리트 베리샤]] (Etrit Berisha) || || {{{#ffffff '''부주장'''}}} ||[[엘세이드 히사이]] (Elseid Hysaj)[* 3주장은 [[아미르 아브라시]], 4주장은 [[오디세 로시]].] || || {{{#ffffff '''라이벌''' }}} ||'''[include(틀:국기, 국명=세르비아, 출력=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세르비아]]''' || || [[FIFA 랭킹|{{{#ffffff '''FIFA 랭킹'''}}}]] ||'''59위''' (2023년 10월 26일 기준 / [[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ALB|#]]) || || [[Elo 레이팅|{{{#ffffff '''Elo 랭킹'''}}}]] ||'''54위''' (2023년 11월 29일 기준[*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 / [[https://www.eloratings.net/|#]]) || || {{{#ffffff '''공식 웹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fshfor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ffffff ''' A매치 최다 출전 '''}}}}}} ||[[로리크 차나]] (Lorik Cana) [br] - '''93경기''' / 1골 || || {{{-2 {{{#ffffff ''' A매치 최다 득점 ''' }}}}}} ||에르욘 보그다니 (Erjon Bogdani) [br] - 75경기 / '''18골''' || || {{{-2 {{{#ffffff ''' 첫 국제경기 출전 '''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height=15]] 알바니아 vs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height=15]]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2:3 '''{{{#ff0000 패}}}'''[br]{{{-1 ([[알바니아]] [[티라나]] / [[1946년]] [[10월 7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승리 '''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height=15]] 알바니아 vs [[파일:베트남 국기.svg|height=15]]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5:0 '''{{{#0000ff 승}}}'''[br]{{{-1 ([[이탈리아]] [[움브리아]] / [[2003년]] [[2월 12일]])}}}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height=15]] 알바니아 vs [[파일:키프로스 국기.svg|height=15]]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키프로스]] 6:1 '''{{{#0000ff 승}}}'''[br]{{{-1 ([[알바니아]] [[티라나]] / [[2009년]] [[8월 12일]])}}}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height=15]] 알바니아 vs [[파일:산마리노 국기.svg|height=15]]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산마리노]] 5:0 '''{{{#0000ff 승}}}'''[br]{{{-1 ([[알바니아]] 엘바산 / [[2021년]] [[9월 8일]])}}} || || {{{-2 {{{#ffffff ''' 최다 점수차 패배 '''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height=15]] 알바니아 vs [[파일:헝가리 국기.svg|height=15]]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0:12 '''{{{#ff0000 패}}}'''[br]{{{-1 ([[헝가리]] [[부다페스트]] / [[1950년]] [[9월 24일]])}}} || }}}}}}}}}}}} || ||<-2><^|1>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fff '''세계대회'''}}} || || {{{-2 [[FIFA 월드컵|{{{#ffffff ''' 월드컵 ''' }}}]]}}} ||'''[진출]''' 0회 || ||<-2> {{{#ffffff '''대륙대회'''}}} || || {{{-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ffffff ''' 유로 ''' }}}]]}}} ||'''[진출]''' 1회 {{{-1 ([[UEFA 유로 2016|2016]])}}}[* 알바니아의 유로 최고성적 유로2016 18위] || }}}}}}}}}}}} || ---- ||<:>
{{{#FFFFFF '''유니폼 컬러'''}}} ||<:> {{{#FFFFFF '''홈'''}}} ||<:> {{{#FFFFFF '''어웨이'''}}} || ||<:> {{{#C8AB37 '''상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4%, #ba0000 4%, #ba0000 5%, #000 5%, #000 6%, #cf0f18 6%, #a70000)" [[마크론|[[파일:마크론 심볼 화이트.png|height=15&align=left]]]][[알바니아 축구 연맹|[[파일:Albania national football team crest.png|align=right&height=18]]]][br]'''[[야시르 아사니|{{{+1 {{{#ffffff 9}}}}}}]]'''[br][b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4%, #ba0000 4%, #ba0000 5%, #FFF 5%, #eeeeee)" [[마크론|[[파일:마크론 심볼 블랙.png|align=left&height=15]]]][[알바니아 축구 연맹|[[파일:Albania national football team crest.png|align=right&height=18]]]][br]'''[[엘세이드 히사이|{{{+1 {{{#000000 4}}}}}}]]'''[br][br]}}} || ||<:> {{{#C8AB37 '''하의'''}}} ||<)> '''[[야시르 아사니|{{{#ffffff ,,9,,}}}]]''' ||<)> '''[[엘세이드 히사이|{{{#000000 ,,4,,}}}]]''' || ||<:> {{{#C8AB37 '''양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감독은 [[시우비뉴]]이다. 레드 앤 블랙(Kuq e zinjtë)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오랜 시간 약체 팀이었지만 종종 고춧가루를 뿌리는 저력은 가지고 있어 무시할 정도는 아니었다. 2002 월드컵 예선에서 그리스 원정 경기를 2-0으로 이긴 바 있다. 당시 피파 랭킹 100위권인 알바니아에게 당한 패배로 그리스는 감독을 해임하라고 난리가 난 바 있다. 참고로 2013년까지의 전적은 친선전에서 카메룬과 0-0, 몰도바와 0-0, 이란에 1-0 승, 카타르에 2-1 승, 조지아에 1-2 패, 마케도니아와 0-0 무승부이다. 주요 코치진이 다 이탈리아인. 2013년 피파 랭킹은 63위인데 1997년에는 124위였던 걸 생각하면 꽤 실력이 늘어난 셈이다. 이후 2010년대 들어 자국 축구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메이저대회에 최초로 진출함은 물론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코소보]]의 등장으로 대거 자국 국적의 선수들이 이탈했음에도 그 전력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현재는 유럽의 중위권 팀 수준으로 굳건히 입지를 다졌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스위스, 아이슬란드, 슬로베니아, 노르웨이, 키프로스와 E조에 속해서 조 꼴지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키프로스에 3-1 승, 스위스에 0-2 패, 아이슬란드에 1-2 패, 슬로베니아에 1-0 승, 그리고 2013년 3월 23일에 가진 피파 랭킹 29위 [[노르웨이]] 원정에서 1-0으로 이겨 3승 2패로 조 2위까지 올라왔다! 6월 7일에 가진 안방경기 노르웨이전도 1-0으로 이기는 듯 싶다가 동점골을 허용하며 1-1로 비겼다. 그리고 슬로베니아와 아이슬란드 경기에 연패하면서 5위로 추락, 사실상 본선 진출은 좌절됐다. 그나마 플레이오프가 걸린 2위와 승점차가 3점이라 남은 2경기 여부에 따라 희망이 있긴 했으나 이후 부진하면서 결국 [[키프로스]]에 이어 조 5위로 탈락했다. 비록 5위로 E조 꼴지를 벗어나는 데 그쳤으나, 2위와 승점차가 6점차로 꽤 선전했다. [[유로 2016]] 예선에서 I조에 속해 포르투갈, 덴마크, 세르비아, 아르메니아와 같은 조가 되었는데 예선 1차전에서도 [[포르투갈]]을 상대로 원정에서 1-0으로 이겼다. 안방경기로 2차전 덴마크전에서 1-1로 비기던 알바니아는 그만 3차전 세르비아 원정에서 사고를 저질러 경기가 취소되었다. [[코소보 전쟁]]으로 사이가 나쁘던 두 나라였건만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파르티잔 스타디움에서 벌어진 3차전은 전반이 끝나기 직전 경기장 위로 알바니아의 과거 영토와 국가 위상을 찬양하는 깃발을 단 무인기가 등장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세르비아의 [[스테판 미트로비치]]는 이를 잡아채 깃발을 뽑아버렸고 이를 본 알바니아 선수들이 달려들어 몸싸움을 벌였다. 여기에 관중까지 난입하며 경기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결국 경기는 중단됐고 선수들은 자리를 떠났다. 하지만 흥분한 팬들은 터널을 통해 경기장을 빠져나가는 알바니아 선수들을 향해 오물을 투척하고 발길질을 하는 등 사태는 진정되지 않았다. 물론 알바니아에선 큰 환대를 받았다. 세르비아 공영방송 TRS는 귀빈석에서 무인기 조종을 지시한 혐의로 알바니아 총리의 형제인 올시 라마를 체포했다고 보도했다. 이 사태로 양팀 모두 징계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2015년 7월, 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최종 판결에서 3-0 몰수승을 거두면서 2위까지 올라왔다! 자세한 것은 [[UEFA 유로 2016/예선/I조]]를 참고할 것. 여하튼 다른 4팀과 달리 1경기 덜 치룬 상황에서 승점 10점, 3승 1무를 기록하면서 알바니아가 남은 경기에서 1~2승 정도를 거둬도 최소 플레이오프 진출권이 걸린 3위 자리까지 문제없게 되었다. 그리고 조 2위를 확정지으면서 사상 처음으로 유로 본선에 진출했다! 유로 2016 본선에서는 개최국 프랑스, 루마니아, 스위스와 맞붙게 되었다. 루마니아를 1-0으로 이겼지만 나머지 경기는 패하면서 3무를 기록해 같은 3점이지만 골득실로 밀려 포르투갈에게 16강 자리를 내줬다. 비록 탈락했지만 1승 2패 유로 18위를 거두며 선전했기에 감독은 그대로 알바니아 국대팀을 감독하게 되었으며 선수들은 조국으로 돌아올때 공항에서 엄청난 환영을 받았다. 기세를 몰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본선진출에도 도전했지만, 조 편성이 영 좋지 않다 탑시드 팀이 스페인(!), 2번시드 팀이 이탈리아(!!!).... 조 2위는 애초에 힘들 것으로 예상되었고 적중했다. 4승 1무 5패로 조 3위에 머물러 탈락했다. 5패 중 4패가 스페인, 이탈리아전 2연패이니 어쩔 수 없는 노릇이긴 했다. 예선 기간에 팀을 오랫동안 이끌며 유로 첫 본선 진출을 이끈 지아니 데 비아시 감독이 물러나고 명 수비수 출신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감독으로 부임해 남은 예선을 지휘했다. [[UEFA 유로 2020/예선/H조]]에서도 프랑스, 터키, 아이슬란드와 한 조에 묶여 사실상 2위를 노려야 하는 빡신 조에 속하게 되었다. 물론 아이슬란드와 터키가 만만치 않은 상대라 비관적인 예상이 많긴 했지만, 터키에게 10점차, 아이슬란드에게 6점차로 크게 뒤지며 기대이하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4승 1무 5패 조 4위로 떨어지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크리스티안 파누치 감독은 예선 첫 경기 터키전 0-2 패배 이후 전격 경질되었고, 이후 [[SS 라치오]]와 [[SSC 나폴리]]의 감독을 역임한 [[에도아르도 레야]]가 부임했지만 팀을 반등시키지는 못했다. 16골이나 넣으며 공격력은 크게 발전했지만, 기존의 강점이던 수비력이 무너지며 14골을 실점해 화력을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해 승점을 많이 까먹었다.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이 출범하면서 가장 피해를 많이 본 대표팀이다. 현재 코소보 현직 국가대표 선수 중 5명이 알바니아 대표팀으로 A매치를 소화한 경력이 있으며 U-21, U-19 대표 선수로 범위를 넓히면 그 수는 수십명으로 늘어난다. 이웃나라이기도 하고 거의 비슷한 문화와 혈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현재 알바니아의 대표팀 선수 풀은 현재가 전성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좋은 편이며 상대적으로 약한 자국 리그보다 주로 이웃 국가인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리그와 독일, 스페인 등의 하부 리그로 건너가 경력을 쌓는 선수들이 많다. [[AS 로마]]의 [[마라쉬 쿰불라]], [[FC 바르셀로나 B]]의 [[레위 마나이]], [[유벤투스 FC|유벤투스 U-23]]의 [[자코모 브리오니]], [[첼시 FC]]의 [[아르만도 브로자]]가 가장 핫한 유망주들이고, [[SS 라치오]]의 [[토마스 스트라코샤]], [[SSC 나폴리]]의 [[엘세이드 히사이]], [[아탈란타 BC]]의 [[베라트 짐시티]] 등 대표팀 주축들이 주로 [[세리에 A]]에서 활약하고 있다. 또한 스위스 대표팀의 주전 [[그라니트 자카]]의 친형 [[타울란트 자카]]가 알바니아 대표팀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 재미있게도 유로 2016 당시 주전 공격수 [[소콜 치칼레시]]가 [[K리그]] [[인천 유나이티드]]에서 반년간 뛴 기록이 있는 선수인데 그 반년간의 퍼포먼스가 굉장히 참담한 것이 6경기 나와서 한 골도 못 넣었다. 그래서 [[유로 2016]]을 보던 인천 유나이티드 팬들은 얘가 왜 주전이냐며 굉장히 충격을 먹었었다는 후문이...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I조]]에 속해 6승 4패로 조별리그 3위로 탈락했다. 잉글랜드와 폴란드에게 전패했지만 헝가리를 상대로 2승을 거두며 월드컵 예선 성적 중에서는 2006년 독일 월드컵 지역 예선 이후 가장 좋은 결과를 냈다는 점에서 미래를 기대케했다. [[유로 2024]]에선 본선에 진출했지만 상대가 이탈리아, 스페인, 크로아티아라는 역대 최악의 죽음의 조인 B조에 속하게 되어 험난한 길을 가게 되었다. 용품 후원사는 [[마크론]]이다. == 역대 전적 == === [[FIFA 월드컵]]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0> [[알바니아 왕국]]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1930년 우루과이]] ||<:><-9> {{{#FF69B4 비회원국}}}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 [br]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이탈리아]] ||<:><-9> {{{#F0C420 불참}}}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프랑스]] ||<:><-9> {{{#F0C420 불참}}} || ||<-10>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 ||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width=30]][br]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0년 브라질]] ||<:><-9>{{{#F0C420 불참}}}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년 스위스]] ||<:><-9> {{{#F0C420 불참}}}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년 스웨덴]] ||<:><-9> {{{#F0C420 불참}}}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년 칠레]] ||<:><-9> {{{#F0C420 불참}}}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년 잉글랜드]] ||<:><-9> {{{#F0C420 불참}}}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9> 출전금지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br]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4년 서독]] ||<:><-9> {{{#f00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br]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년 아르헨티나]] ||<:><-9>{{{#F0C420 불참}}}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년 스페인]] ||<:><|3><-9>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br]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986년 멕시코]]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년 이탈리아]] || ||<-10> 알바니아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9>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년 프랑스]] ||<:><|7><-9>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한일]]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년 독일]]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2010년 남아공]]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브라질]]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br]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년 러시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FIFA 월드컵|2026년 북미]]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 진출 없음 ||<:> 0/20[*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 ||<:> ||<:> ||<:> ||<:> ||<:> || === [[UEFA 유로|유로]] === '''UEFA 유로 : 30위'''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0|1960년 프랑스]] ||<:><-9> {{{#F0C420 불참}}} ||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30]] [br][[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1964년 스페인]] ||<:><|2><-9> {{{#f00 본선 진출 실패}}}[*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68|1968년 이탈리아]]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2|1972년 벨기에]] ||<:><|3><-9> {{{#F0C420 불참}}} ||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br][[유로 1976|1976년 유고슬라비아]]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0|1980년 이탈리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4|1984년 프랑스]] ||<-9><|3> {{{#f00 본선 진출 실패}}}[*8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유로 1988| 1988년 독일]]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2|1992년 스웨덴]]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유로 1996|1996년 잉글랜드]] ||<-9><|5> {{{#f00 본선 진출 실패}}}[*16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0|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4|2004년 포르투갈]]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08|,,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2|,,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유로 2016|2016년 프랑스]] ||<:> 조별리그 ||<:> '''18위''' ||<:> 3 ||<:> 3 ||<:> 1 ||<:> 0 ||<:> 2 ||<:> 1 ||<:> 3 ||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30]] [br][[유로 2020|2020년 유럽]] ||<:><-9> {{{#f00 본선 진출 실패}}}[*2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 [[유로 2024|2024년 독일]] ||<:> 본선 진출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 진출 2회 ||<:> 1/15 ||<:> 3 ||<:> 3 ||<:> 1 ||<:> 0 ||<:> 2 ||<:> 1 ||<:> 3 || ||<|3> '''GK''' || 1 || [[에트리트 베리샤]] || Etrit Berisha || 1989년 10월 3일 || 71 || 0 || [[토리노 FC]] || 주장 || || 12 || 엘한 카스트라티 || Elhan Kastrati || 1997년 2월 2일 || 0 || 0 || [[AS 치타델라]] || || || 23 || [[토마스 스트라코샤]] || Thomas Strakosha || 1995년 3월 19일 || 19 || 0 || [[SS 라치오]] || || ||<|9> '''DF''' || 2 || 헤르디 프렝가 || Herdi Prenga || 1994년 8월 31일 || 2 || 0 || [[키스바르다 FC]] || || || 3 || 에르미르 레냐니 || Ermir Lenjani || 1989년 8월 5일 || 42 || 4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 || 4 || [[엘세이드 히사이]] || Elseid Hysaj || 1994년 2월 20일 || 67 || 2 || [[SS 라치오]] || 부주장 || || 5 || 에리온 호잘라리 || Erion Hoxhallari || 1995년 10월 15일 || 3 || 0 || [[KF 티라나]] || || || 6 || [[베라트 짐시티]] || Berat Djimsiti || 1993년 2월 19일 || 46 || 1 || [[아탈란타 BC]] || || || 7 || 아드리안 바이라미 || Adrian Bajrami || 2002년 4월 5일 || 0 || 0 || [[SL 벤피카 B]] || || || 15 || [[마라쉬 쿰불라]] || Marash Kumbulla || 2000년 2월 8일 || 14 || 0 || [[AS 로마]] || || || 17 || 알비 도카 || Albi Doka || 1997년 6월 26일 || 7 || 0 ||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 [* [[HNK 고리차]]에서 임대.] || || 18 || 아르디안 이스마일리 || Ardian Ismajli || 1996년 9월 30일 || 25 || 1 || [[엠폴리 FC]] || || ||<|6> '''MF''' || 8 || [[클라우스 자술라]] || Klaus Gjasula || 1989년 12월 14일 || 17 || 0 || [[SV 다름슈타트 98]] || || || 13 || [[크리스티얀 아슬라니]] || Kristjan Asllani || 2002년 3월 9일 || 2 || 0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엠폴리 FC]]에서 임대] || || 14 || 차짐 라치 || Qazim Laçi || 1996년 1월 19일 || 16 || 1 || [[AC 아작시오]] || || || 19 || 엔드리 체키치 || Endri Çekiçi || 1996년 11월 23일 || 8 || 1 || [[콘야스포르]] || || || 20 || [[윌베르 라마다니]] || Ylber Ramadani || 1996년 4월 12일 || 23 || 1 || [[애버딘 FC]] || || || 21 || [[오디세 로시]] || Odise Roshi || 1991년 5월 21일 || 69 || 5 || 볼루스포르 || || ||<|4> '''FW''' || 9 || [[아르만도 브로야]] || Armando Broja || 2001년 9월 10일 || 12 || 3 || [[첼시 FC]] || || || 10 || [[레이 마나이]] || Rey Manaj || 1997년 2월 24일 || 31 || 7 || [[스페치아 칼초]] || [* [[FC 바르셀로나]]에서 임대.] || || 16 || [[소콜 치칼레시]] || Sokol Cikalleshi || 1990년 7월 27일 || 47 || 12 || [[콘야스포르]] || || || 22 || [[자코모 브리오니]] || Giacomo Vrioni || 1998년 10월 15일 || 3 || 0 || [[WSG 티롤]] || [* [[유벤투스 FC]]에서 임대.] || [* 2022년 3월 29일 기준] == 연령별 대표팀 == === U-23 대표팀 === ==== 올림픽 ====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10>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축구|1992 바르셀로나]] ||<-9><|8>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 [[1996 애틀랜타 올림픽/축구(남자)|1996 애틀란타]]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br] [[2000 시드니 올림픽/축구(남자)|2000 시드니]] ||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br] [[2004 아테네 올림픽/축구(남자)|2004 아테네]]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br] [[2008 베이징 올림픽/축구(남자)|2008 베이징]]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br]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2012 런던]]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축구(남자)|2016 리우데자네이루]]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 [[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2020 도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2024 파리 올림픽/축구(남자)|2024 파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2028 로스엔젤레스 || || || || || || || || ||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br]2032 브리즈번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9[* 올림픽 본선 진출 비율(1992년 이후)] || '''''' || '''''' || '''''' || '''''' || '''''' || '''''' || '''''' || [[분류: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분류:알바니아의 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