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알베르 세라}}}[br] Albert Serra'''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알베르 세라.jpg|width=100%]]}}} || ||<|2> '''출생''' ||[[1975년]] [[10월 9일]] ([age(1975-10-09)]세) || ||[[스페인]] [[카탈루냐]] 바뇰레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 || '''활동''' ||[[2003년|2003년 – ]][[현재]] || || '''학력''' ||[[파일:바르셀로나 대학교 아이콘.png|width=17]] [[바르셀로나 대학교]] {{{-2 (라틴 문학, 비교 문학 / [[학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페인]]의 영화 감독. 미술 평론가로 경력을 시작했다가 감독으로 데뷔했다. 2000년대 초중반 [[DV]] 디지털 영화 붐으로 이름을 알린 감독으로, 고전 문학이나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극도로 정적인 영화를 찍는다. [* 예외로 [[퍼시픽션]]은 현대 배경이다.] 미와 추, 생로병사, 고전의 현대적 재해석, 정치 같은 주제를 다룬다. [[사드 후작]] 저작물의 영향을 받아 이상성욕이 넘쳐나는 리베르떼나 스카톨로지를 등장시킨 내 죽음의 이야기처럼 악취미적인 요소도 있는지라, 관객들의 호불호가 극명한 편. [[아피찻퐁 위라세타꾼]]처럼 현대 미술의 영역에 한발짝 걸쳐있는 감독이기도 하다. == 필모그래피 == (단편, 다큐멘터리 제외) || '''년도''' || '''제목''' || '''연출''' || '''각본''' || '''제작''' || '''비고''' || || 2006 || 기사에게 경배를 [br] {{{-1 Honor De Cavalleria}}} || ○ || ○ || ○ || || || 2008 || 새들의 노래 [br] {{{-1 El Cant Dels Ocells}}} || ○ || ○ || || || || 2010 || 그리스도의 이름들 [br] {{{-1 Els noms de Crist}}} || ○ || ○ || ○ || || || 2013 || 내 죽음의 이야기 [br] {{{-1 Història de la meva mort}}} || ○ || ○ || ○ || {{{-1 66회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황금표범상 수상}}} || || 2016 || 루이 14세의 죽음 [br] {{{-1 La mort de Louis XIV}}} || ○ || ○ || || || || 2018 || 태양왕 루이 14세 [br] {{{-1 Roi Soleil}}} || ○ || ○ || ○ || || || 2019 || 리베르떼 [br] {{{-1 Liberté}}} || ○ || ○ || ○ || {{{-1 [[제72회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심사위원특별상 수상}}} || || 2022 || [[퍼시픽션]] [br] {{{-1 Pacifiction}}} || ○ || ○ || ○ || {{{-1 [[제75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작}}} || == 수상 내역 == * 제66회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황금표범상(최우수상) 수상 * [[제72회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심사위원특별상 수상 == 여담 == * 본인 인터뷰를 읽어보면 상당히 핵이빨 스타일의 감독. 동료 감독들을 디스하거나, 자기 영화에 대한 자부심, 프랑스에 대한 디스, 주류 영화에 대한 사정없는 비판 등 자의식이 강하고 예민한 모습을 보인다. * [[정성일]]이 애정하는 감독으로, 신작이 나오면 무조건 그해 베스트로 꼽힌다. [[분류:스페인 영화 감독]][[분류:1975년 출생]][[분류:지로나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