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DDED 15%, #FFFFFF 15%, #FFFFFF 30%, #ABDDED 30%, #ABDDED 70%, #FFFFFF 70%, #FFFFFF 85%, #ABDDED 85%, #ABDDED );" {{{+1 {{{#010101,#e5e5e5 '''아르헨티나의 前 축구선수'''}}}}}}}}} || ||<-2> [[파일:알베르토오아코.jpg|width=100%]] || ||<-2> '''{{{#ffffff 알베르토 후안 오아코[* 미들네임이 베라르디노라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글 검색어에 후안이 훨씬 많이 검색되어 후안으로 기재했다]}}}[br]{{{#ffffff (Alberto Juan Ohaco) }}}''' || || {{{#ffffff '''생년월일'''[* 일부 매체에서는 [[1884년]] [[1월 12일]]로 기재되기도 함]}}} || [[1889년]] [[1월 12일]] || || {{{#ffffff '''사망'''[* 일부 매체에서는 [[1월 3일]]로 기재되기도 함]}}} || [[1950년]] [[3월 8일]] (61세) || || '''{{{#ffffff 국적}}}''' || [[아르헨티나]] || || '''{{{#ffffff 출신지}}}''' || [[아베야네다]] || || '''{{{#ffffff 포지션}}}''' || 센터 포워드, 인사이드 레프트 || || '''{{{#ffffff 신체조건}}}''' || 170cm / 70kg || || '''{{{#ffffff 등번호}}}''' ||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ffffff 소속팀}}}''' || '''[[라싱 클루브 데 아베야네다]] (1912-1921)''' || || '''{{{#ffffff 국가대표}}}''' || 23경기 / 7골 (1912–1918) || [목차] == 개요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인. == 선수 생활 == === 클럽 === 알베르토 오아코는 커리어의 전부를 전부 라싱 클루브에서 보냈다. 그 이유는 아버지 후안이 이 팀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 1910년에 데뷔하였고, 그는 아르헨티나의 초창기 축구계에서 최고의 스타로 떠올랐다. 라싱 클루브는 우승을, 오아코는 득점왕 등 각종 상들을 쓸어 모으기 시작한 것. 라싱 클루브에서 [[프란시스코 올라사르|올라사르]], 카나베리, 마르코베키오, 오스피탈, 페리네티 등의 선수들과 호흡을 맞추었고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대표팀]]에도 당연히 선발되었다. 1913년에는 라싱 클루브를 이끌고 처음으로 국내 정상의 자리에 올랐다. 득점 순위 맨 꼭대기에서 놀았다. 1919년에는 아르헨티나 리그가 아마테우르스와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로 쪼개졌고 아마테우르스에 속한 라싱 클루브는 쪼개진 첫해에도 역시 정상의 자리를 지켰다. 이듬해 [[CA 리버 플레이트]]가 그 자리를 뺏기까지 라싱 클루브는 항상 선두를 지켰다. 1921년에 오아코는 리그의 주인공 위치에까지 올랐고 그의 팀에 큰 성공을 안겨주는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라 아카데미아, 즉 학원이라는 팀의 별명도 그의 시대에 붙은 것. 그리고 2년 후에 선수 생활을 그만뒀다.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오아코는 1912년 8월 15일,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와의 시합에서 데뷔전을 치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후에는 띄엄띄엄 대표팀에 소집되었다가 [[1916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아르헨티나|1916년 자국에서 열린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 출전한다. 오아코는 인사이드 레프트 포지션으로 출전한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칠레]]전에서 두 골을 넣고 득점 2위를 차지했다. 마지막 우루과이전에 다시 출전했지만 승리를 거두지 못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191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루과이|이듬해 남아메리카 챔피언십]]에서는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의 시합에서 2분 사이에 2골을 넣었다. 그렇게 4대2의 역전승을 이끌어냈지만 숙적 우루과이에게 패배하여 또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오아코는 1918년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정제된 테크닉을 보유한 스트라이커. 전술적으로도 영민했고 빠른 스피드를 주무기로 했던 라싱 클루브의 공격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했다. 초기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리그 시절 라싱 클루브의 전성기에서 가장 중요한 선수이고 라싱 클루브 팀 내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 수상 == === 클럽[* 오아코는 라싱 클루브 원클럽맨이므로 클럽 팀 이름 기입은 생략한다.] ===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8회: 1913, 1914, 1915, 1916, 1917, 1918, 1919 AAm, 1921 AAm * 코파 데 이바구렌 우승 5회: 1913, 1914, 1916, 1917, 1918 * 코파 데 부에노스아이레스 우승 4회: 1912, 1913, 1915, 1917 * 코파 데 코우세니에르 우승 1회: 1913 === 국가대표 ===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준우승 2회: [[1916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아르헨티나|1916]], [[1917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우루과이|1917]] === 개인 ===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득점왕 4회: 1912, 1913, 1914, 1915 [각주] [[분류:1889년 출생]][[분류:1912년 데뷔]][[분류:1921년 은퇴]][[분류:1950년 사망]][[분류: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출신 인물]][[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라싱 클루브/은퇴, 이적]][[분류:아르헨티나의 코파 아메리카 참가 선수]][[분류:1916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참가 선수]][[분류:1917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우루과이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