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1910년|{{{#fff 1910년}}}]] [[노벨생리의학상|{{{#fff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220]] || ||<-5> [[노벨생리학·의학상/수상자|{{{#fff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 || 1909년 ||<|2> → || 1910년 ||<|2> → || 1911년 || || 에밀 테오도어 코허[* [[갑상선]] 연구. 보다 정확히는 임상에서 갑상선 절제술의 연구.] || '''알브레히트 코셀''' || 알바르 굴스트란드[* [[수정체]]의 굴절광학 연구.] || ||<-2>
'''{{{#white {{{+2 Alberecht Kossel}}}[br]{{{+1 알브레히트 코셀}}}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00px-Kossel,_Albrecht_(1853-1927).jpg|width=100%]]}}}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생리학·의학상|{{{#white '''1910년 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 {{{#white '''본명'''}}} ||||알브레히트 코셀|| || {{{#white '''출생'''}}} ||||[[1853년]] [[9월 16일]], [[로스토크]] || || {{{#white '''사망'''}}} ||||[[1927년]] [[7월 5일]] (향년 73세), [[하이델베르크]] || || {{{#white '''국적'''}}}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목차] [clearfix] == 개요 == 1853년 [[로스토크]]에서 [[프로이센]]의 상인의 아들로 테어났으며, 생물학자로서 [[DNA]]와 [[RNA]]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염기를 분리하였고, [[아미노산]] 중 [[히스티딘]](등 헥손 염기)을 분리했다. 1910년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 생애 == [[1853년]]에 [[프로이센]]에서 테어나 1872년 그는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약에 대해 연구했다. 펠릭스 홉 페일 러 밑에서 공부했다. 1877년 [[독일 제국]]의 의사 시험을 합격했다. 대학 졸업 이후 그는 코셀은 펠릭스 홉 페일 러의 연구 조교로 스트라스부르크 대학으로 돌아왔다. 당시 호프-자일러는 1869년 그의 제자였던 프리드리히 미셔가 처음으로 고름 세포에서 화학적으로 분리한 산성 물질에 관한 연구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 이 물질은 단백질과 달리 상당한 양의 인을 함유했지만, 산도가 높아 지금까지 관찰된 어떤 세포 물질과도 달랐다. 코셀은 "[[세포핵|핵]]"이라고 불리는 물질이 단백질 성분과 비단백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코셀l은 비단백질 성분을 추가로 분리하고 설명했다. 이 물질은 모든 살아있는 세포에서 발견되는 유전 정보를 포함하는 [[핵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코셀은 스트라스부르크 대학을 떠나 베를린 대학교 생리학 연구소 화학과 소장이 되었다. 코셀은 핵산 이전 작업에 집중하였다. 1885년에서 1901년 사이에 그는 [[아데닌]], [[사이토신]], [[구아닌]], [[티민]] 및 [[우라실]]의 5가지 구성 유기 화합물을 분리하고 명명할 수 있었다. 이 화합물은 이제 집합적으로 핵염기로 알려져 있으며 안정적인 DNA 및 RNA 분자의 형성에 필요한 분자 구조를 제공했다. [[분류:1853년 출생]][[분류:1927년 사망]][[분류:로스토크 출신 인물]][[분류: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출신]][[분류:독일의 생물학자]][[분류:노벨생리학·의학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