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알투비트)] [include(틀:알투비트 아티스트)] [목차] == 개요 == 알투비트 재오픈 이후 등장한 아티스트. == 특징 == == 곡 == === The Legend === ||<-2> {{{#fff {{{+1 '''The Legend'''}}}}}} || |||| '''난이도''' || || 아기별 || {{{#00ff00 X}}} || || 별 || {{{#cccc00 3}}} || || 달 || {{{#0066cc 4}}} || || 해 || {{{#cc0000,#ff3232 7}}} || LuFitueB의 첫 투고곡. 해채널 입문자에게 추천하는 수준의 쉬운 곡이다. 외계어를 구사하는 여성 목소리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는 곡. === Rainbow Day === ||<-2> {{{#fff {{{+1 '''Rainbow Day'''}}}}}} || |||| '''난이도''' || || 아기별 || {{{#00ff00 X}}} || || 별 || {{{#cccc00 3.5}}} || || 달 || {{{#0066cc 5}}} || || 해 || {{{#cc0000,#ff3232 7}}} || === Sparkling Bottle === ||<-2> {{{#fff {{{+1 '''Sparkling Bottle'''}}}}}} || |||| '''난이도''' || || 아기별 || {{{#00ff00 X}}} || || 별 || {{{#cccc00 3}}} || || 달 || {{{#0066cc 6}}} || || 해 || {{{#cc0000,#ff3232 '''10'''}}} || '''재오픈 이후 오리지널 신곡 중 가장 어려운 곡.''' 해 채널 패턴의 경우 기본 BPM부터 197로 매우 빠른 편에 속하고 초중반에 등장하는 짧은 16비트 패턴부터 만만치 않다. 이곡의 하이라이트는 뭐니뭐니해도 최후의 '''532노트''' 폭타. 이 폭타를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선 자동 부스터 기준 '''초당 14타'''의 속도로 처리해야 한다. 자비없는 폭타로 인해 올콤을 찍는 것 조차 어려울 정도. 총 노트 수는 '''1180노트'''로 역대 5위에 해당한다. === Come Back to Me === ||<-2> {{{#fff {{{+1 '''Come Back to Me'''}}}}}} || |||| '''난이도''' || || 아기별 || {{{#00ff00 X}}} || || 별 || {{{#cccc00 2.5}}} || || 달 || {{{#0066cc 4.5}}} || || 해 || {{{#cc0000,#ff3232 8}}} || 굉장히 낮은 bpm에 곡 후반에 밀집이 나온다는 점에서 Altbeat의 rhythm stage와 비슷한 곡. 그러나 16비트가 섞이고 밀집사이에 살짝 비는 구간이 있는 rhythm stage와는 달리 이 곡은 '''밀집파트가 200콤보 가량 쉬지않고 나온다.''' 밀집이라고는 해도 bpm이 124인만큼 빠른 손속도를 요구하진 않지만 높은 수준의 노트 처리력이 필요한 곡이다. === Brisk === ||<-2> {{{#fff {{{+1 '''Brisk'''}}}}}} || |||| '''난이도''' || || 아기별 || {{{#00ff00 X}}} || || 별 || {{{#cccc00 2.5}}} || || 달 || {{{#0066cc 5.5}}} || || 해 || {{{#cc0000,#ff3232 9.5}}} || 오타인지는 몰라도 명의가 LuFietuB로 되어있는 곡이다. 9.5로 난이도가 책정되었으나 실질적인 수준은 7.5~8.0이다. [[분류:알투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