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Lich.jpg]] 앞쪽의 문어머리. 뒤에 서있는 건 [[베인(포가튼 렐름)|베인]] 교단의 교황이 베인의 정수(essence)를 받고 리치가 된 베인리치다. Alhoon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에 등장하는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몬스터|몬스터]]. ~~숙주에게서 훔쳐낸 몸으로 잘도~~ [[리치(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리치]]가 된 [[일리시드]]를 뜻하는 단어. 기본적인 생활 습관은 홀로 지내는 것을 제외하면 일리시드와 대동소이하므로 해당 문서를 참고해 볼 것. 리치가 된 것은 [[엘더 브레인]]과 하나가 된다는 일리시드의 염원을 거부한 셈이기 때문에 엘더 브레인이 지배하는 일반적인 일리시드 사회에서는 미움 받는 존재다. 게다가 일리시드는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마법|마법]]을 [[초능력(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초능력]]보다 낮게 보기 때문에 마법에 몰두하는 것을 그리 신통치 않게 생각해서 [[소서러(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소서러]] 마인드 플레이어도 사회에서 외면 받는데, 그것도 모자라 자신들이 가장 혐오하는 대상인 언데드로 변한 알훈들은 당연히 혐오의 대상이다. 이 단어를 언급하는 것도 끔찍한 일로 여긴다. 드래곤 매거진에서 나온 지하언어 단어집에서는 알훈은 죽은 흉물을 의미한다. 하지만 리치인 만큼 강력한 마법 능력을 가지고 있고, 게다가 [[언데드]]는 일리시드가 가장 꺼리는 적인만큼 쉽게 당해낼 수 없다.[* 일리시드의 주요 전술은 사이오닉 블래스트로 상대방의 정신을 휘저은 후 무력화된 상대의 뇌를 먹어치워 즉사시키는 것인데, 언데드는 기본적으로 정신 공격에 면역일 뿐더러 뇌도 먹을 수가 없다. 설상가상으로 알훈은 강력한 주문 시전 능력까지 소유하고 있다.] 본체가 일리시드라는 걸 빼면 무난한 리치다. 딱 보기에는 사이오닉 리치일 것 같지만, 그 기원이 마법사에 있으므로 오히려 사이오닉 알훈은 확실하게 구현된 적이 없다. [[포가튼 렐름]]에서는 [[네서릴]]의 대마법사 [[이올라움]]이 갑자기 잠적하는 일이 벌어졌는데 실은 [[언더다크]]로 내려가 일리시드들에게 마법을 가르쳐주었던 적이 있다. 이 제자들이 최초의 알훈이 되었다고 한다. 그 뒤 스승에게 다수로 싸움을 걸다가 생사불명. 이올라움은 [[D&D 3.5]]판에서 생존이 확인되었는데, 어느 엘더 브레인과 합체해서 엘더 브레인 리치가 되었다. [[발더스 게이트 2]]에서 앰 사원구역 하수도의 마인드플레이어 소굴에서도 등장한다.(해머 오브 썬더볼트가 있는 곳.) [[네버윈터 나이츠]] 1편의 [[상위직/목록|상위직]]인 페일 마스터(Pale Master)는 알훈과 알훈 엘더(Alhoon elder)를 소환수로 쓴다. 그러나 페일 마스터로서의 레벨이 26 때 알훈이, 알훈 엘더는 28이 되어야 쓸 수 있다. 상급 언데드 소환(Summon greater undead)으로 소환하는 건데 페일 마스터의 만렙은 30이다. 치트를 쓰지 않는한 게임을 전부 다 깨서 경험치를 박박 긁어모으지 않는한 보기 힘들 것이다.[* 게다가 네윈나 1에선 알훈이 그렇게 강하지 않으므로 소환할만한 메리트가 없다.] [[네버윈터 나이츠 2]] [[네버윈터 나이츠 2: 제히르의 폭풍|제히르의 폭풍]]에서는 월드 서펜트 사원 아래의 한 마탑에 제코리안이라는 알훈 리치 한놈이 살고 있다. 꽤 강해서 에픽 레벨 파티를 데려가도 고전할 정도로 어렵다. 5판에서는 설정이 변경되어 알훈은 완전한 리치인 일리시리치로 변하기 이전의 준비 단계라는 설정이다. 9레벨 주문을 사용할 수 있어야 리치가 될수 있다는 설정 때문에, 아직 그 수준에 이르지 않은 일리시드들은 3명이서 모여 '정신봉인의 부적'이라는 성물함 비슷한 물건을 만들어 리치 비슷한 언데드인 알훈으로 변한다.~~스터디 그룹같은 거다~~ 이 부적에 제물로 바쳐진 자들의 수명만큼 알훈의 언데드로서의 수명이 연장되고 계속 제물을 추가해 마법을 연구할 시간을 벌 수 있다. 다만 리치와 달리 죽어도 부활하는 게 아니라 부적에 영혼이 갇힐 뿐이고 알훈 셋이서 부적 하나를 공유해야 한다. [[분류: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언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