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 [[유희왕]]의 지속 마법 카드. [[파일:暗黒の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암흑의 문, 일어판 명칭=暗黒(あんこく)(とびら), 영어판 명칭=The Dark Door, 효과1=①: 양쪽 플레이어는 배틀 페이즈에 몬스터 1장으로밖에 공격할 수 없다.)] 공격 몬스터를 1장으로 제한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마법. 자신도 영향을 미치는 락 계열 지속 마법 중에서는 [[평화의 사자]]와 더불어 높은 수준에 든다. 다만 해당 카드와는 달리 임의의 타이밍에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덱에 따라 제거 수단을 따로 준비해둘 필요가 있다. 또한 공격 한 번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를 막을 수단도 필요하다. 매 턴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꺼내면 웬만해서 전투 데미지를 막을 수 있으며, 자체 소생 효과나 파괴 내성이 있는 몬스터, 또는 [[고철의 허수아비]]와 조합하면 돌파 난이도를 올릴 수 있다. 1번밖에 공격할 수 없는 게 아니라 '''1장의 몬스터로만 공격할 수 있는''' 효과이기 때문에 [[더블어택]] 등의 효과가 있는 몬스터로 연속 공격할 수는 있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는 [[바쿠라 료|어둠의 바쿠라]]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 원작에서는 상대에게만 적용되는 효과였으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OCG 효과로 등장한다. [[침묵의 사악령]], [[다크 네크로피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암흑 성역]]]와의 콤보로 [[어둠의 유우기]]의 공격을 방해하며 궁지에 몰아넣었으며, 그대로 [[위저 보드(유희왕)|위저 보드]]로 승리를 거두려고 했으나 [[오시리스의 천공룡]]이 강림하면서 허망하게 패배.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는 [[무토우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좁은 복도라는 다른 카드를 썼다. 배틀 시티 편 후일담에서는 공원에서 듀얼 중인 아이가 사용하는 것으로도 나왔다. [[유희왕 GX]]에서는 [[만죠메 쥰]]이 자신의 맏형인 만죠메 쵸사쿠와 [[듀얼 아카데미아]]를 놓고 듀얼할 때 시간 벌기용으로 사용. 이 듀얼에서는 쥰이 스스로 원래 공격력이 0인 몬스터만 사용하는 것으로 핸디캡을 걸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장기전으로 이끌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쵸사쿠가 발동한 [[더스트 토네이도]]에 의해 파괴되지만 쥰이 필요한 패를 갖추는 데에는 충분히 도움을 주었다. [[유희왕 5D's]]에서는 시큐리티 컴퓨터 내부 진입을 위한 퍼즐 듀얼에서 상대 필드에 존재하는 카드로 등장한다. [[브루노(유희왕)|브루노]]가 맞춘 해결법을 보면 결국은 풀이와 별 관련 없는 눈속임용 카드에 불과했다. 그런데 유세이가 이 카드를 해설하면서 플레이어는 서로 1'''번'''밖에 공격할 수 없다고 말을 하는데, 필드 위의 몬스터들이 전부 다회 공격이 없다는 말을 생략한 건지, 제작진이 중간에 실수를 한 건지는 알 수 없다. DM에서도 어둠의 유우기가 바쿠라의 암흑의 문에 대해 "몬스터 하나밖에 공격할 수 없다"고 언급을 했는데 카드 효과에 대한 착오가 있던 모양이다. [[고철의 허수아비]]와 병용하면 나름 효율이 좋다. 공격할 수 있는 몬스터는 달랑 1장인데, 그것마저 고철의 허수아비에 막혀버리니... 이름이 비슷한 필드 마법 [[암흑계#암흑계의 문|암흑계의 문]]과는 별 관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