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초대 아즈나드 알카우카즈 에미르[br]{{{+1 체첸의 압둘하킴}}}[br]عبد الحكيم الشيشاني}}}'''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stam_Azhiev.png|width=100%]]}}} || || '''본명''' ||루스탐 마고메도비치 아지예프[br]Рустáм Магомéдович Ажи́ев || ||<|2> '''출생''' ||[[1981년]] [[4월 12일]] ([age(1981-04-12)]세)||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체첸-인구시 ASSR]] [[그로즈니]] 프리고로드노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복무''' ||[[체첸군]][br][[아즈나드 알카우카즈]] || || '''계급''' ||[[대령]] || ||<|4> '''경력''' ||체첸군 중부전선 지휘관 || ||[[2007년]] [[8월 23일]] ~ [[2009년]] || ||초대 아즈나드 알카우카즈 에미르|| ||[[2013년]] ~ [[2019년]]|| ||<|6> '''현직''' ||이치케리야 체첸군 최고사령관 대행 부국장|| ||[[2022년]] [[10월 15일]] ~ 현재|| ||이치케리야 체첸 국방차관|| ||[[2022년]] [[10월 24일]] ~ 현재|| ||이치케리야 체첸 군사정보국장|| ||[[2022년]] [[10월 24일]] ~ 현재|| || '''참전''' ||[[제2차 체첸 전쟁]][br][[시리아 내전]][br][[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체첸과 우크라이나의 군인이다. == 생애 == 1981년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그로즈니의 프리고로드노예에서 출생했다. 루스탐 아지예프는 학교 졸업이후 교육학 연구소에 들어갈려고 했으나, [[샤밀 바사예프]]가 다게스탄을 침공하고 제2차 체첸 전쟁이 발발해 체첸군에 입대해 중부전선에 배치되었다. 체첸군 중부전선 사령관 루스탐 바사예프가 전사하자, 아지예프가 중부전선 사령관직을 맡게 되었다. 중부전선 사령관직에 있던 2009년 러시아 연방군과의 전투에서 손가락 3개를 잃고 한쪽 눈이 다치는 중상을 입어 치료를 위해 2013년까지 튀르키예에서 체류했다. 회복된 이후 아지예프는 여러번에 걸쳐 체첸으로 돌아갈려고 했으나, 번번이 실패해 결국 내전이 한창 중인 시리아로 가서 체첸인들의 반군 조직인 아즈나드 알카우카즈를 공동창설했으며, 아즈나드 알카우카즈의 초대 에미르가 되었다. 아지예프는 2019년까지 아즈나드 알카우카즈의 초대 에미르로 [[이들리브]] 공세 등의 전투에 참전했으며, 아즈나드 알카우카즈 에미르에서 물러난 이후에는 튀르키예에서 체류했다. 튀르키예에서 체류하는 동안 아지예프는 체첸 출신 러시아 법 집행기관 직원과 친러 체첸 보안군에 의해 암살당할 뻔했으나, 튀르키예 정보기관이 이들을 체포함으로써 살아남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생한지 7달이 지난 2022년 10월 10일 아지예프는 우크라이나에 입국했고, 5일뒤인 10월 15일에 체첸 공화국 국가위원회 수장 아흐메드 자카예프를 만나 우크라이나 국적과 대령 계급을 수여받았으며, 이치케리야 체첸 망명정부 국방부의 최고사령관 대행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 최고사령관 대행 부국장으로 임명된지 9일뒤인 10월 24일에 국방차관 겸 군사정보국장으로 임명되었다. [[분류:1981년 출생]][[분류:체첸의 군인]][[분류:우크라이나의 군인]][[분류:우크라이나로 귀화한 인물]][[분류:그로즈니 출신 인물]][[분류:우크라이나의 무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