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앙아프리카의 통화)] Kwanza Angolano ([[포르투갈어]]) [[파일:BNAngola.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앙골라]]의 통화로 발행 주체는 앙골라 국립은행(Banco Nacional de Angola). [[ISO 4217]] 코드는 현재 AOA, 기호는 Kz이다. 보조단위는 센티모이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1975년 독립에서 2년 후에 새로 만들어진 단위로, 이름은 앙골라에 있는 콴자 강(Rio de Cuanza)에서 따왔다. 자원이 풍부한 나라지만 그것 때문에 한동안 내란이 끊이질 않았고, 처음부터 사회주의 노선을 탔기에 시장경제로 조금씩 전환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 후폭풍을 맞아야 했다. 2015년 1월 당시 환율은 10.6원/Kz 로 [[엔화]]와 나름 엇비슷하다. 인플레이션은 8.9%(2013년 추정치)이다. 2020년 12월11일 기준 앙콜라 콴자의 가치는 1.6원/kz 대로 많이 떨어졌고 50,000콴자까지 국외 반출이 가능하지만[[https://www.gov.uk/foreign-travel-advice/angola/money|#]], 이전에는 보다 통화에 대한 제약이 심했고 물가도 매우 높았다. 비슷한 예로 [[알제리 디나르]]가 있지만 알제리는 그나마 액수 제한이라도 있지, 앙골라 콴자는 아예 반출이 안되었다. 더불어 국내 치안이 개판인 건 둘째치고 모든 물건을 수입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에 물건 통제까지도 심한 편이기 때문에 돈을 쓰기에도 정말 뭣같이 힘들다. 예를 들어 이 나라 기념품을 하나 사가려면 첫째로 바가지를 피하기 위해 적정 물가를 알고 있어야 하고, 둘째로 운반 도중에 재수없게 깡패에게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공항에서 미리 반출 신청서를 작성하고 수수료까지 내야만 압수당하지 않는다. 뭣보다도 이 나라 물가는 일반적인 상식을 초월한다. 환율이 10원/1KZ 하던 당시에는 그럴싸한 식당에서 밥 먹으면 5천 콴자쯤은 기본, KFC 치킨 한 조각마저 1천 콴자를 우습게 넘는다. 청바지 한 벌에도 2만원이 아닌 '''2만 콴자''' 넘게 줘야 하는 현실 에 사업차 갔던 사람들이 기가 막혀 돌아오는 건 예삿일도 아니다. 심심찮게 국제뉴스로 수도 [[루안다]] 물가는 [[노르웨이]] [[오슬로]] 물가를 말 그대로 쌈싸먹을 무서운 동네라 표현하는 것이 무리가 아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노르웨이는 모두가 부자이면서 정승처럼 쓰는 거고 이 동네는 모두가 가난뱅이면서 정승처럼 쓴다는 것 정도 결론적으로 이 통화는 사회주의를 무기 삼아 지나치게 고평가 되어있다는 이야기이다. 2020년 현재는 환율이 많이 떨어져서 외국인 입장에선 사정이 다를 수 있다. [[https://www.numbeo.com/cost-of-living/in/Luanda|루안다의 물가 열람하기]] == 환전 == 국내에서는 KEB하나은행에서도 비고시 추심도 아예 받아주지 않으므로 [[미국 달러]]이나 영국 파운드[*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건지, 저지 섬, 지브롤터 파운드는 환전 불가]를 중개로 하여 환전하고 돌아올 때 모조리 다시 미국 달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랜드]] 또는 위안화 소액권으로 바꿔두는 것이 좋다. 즉, 다른 아프리카 국가와는 다르게 재환전이 쉽게 가능하다는 뜻이다. [[https://www.standardbank.co.ao/angola/en/corporate/global-markets/fx-rates|앙골라 제일은행 환율창]] 굵은 글씨는 현지 은행에서 자주 환전되는 외국 지폐 아프리카:'''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케냐 실링, 이집트 파운드, 나미비아 달러, 남아공 랜드''', 나이지리아 나이라 유럽: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나,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폴란드 즈워티]]'''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아시아: '''중국 위안, 홍콩 달러''', 일본 엔, [[말레이시아 링깃]], 싱가포르 달러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중동: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 첫 콴자 (1기, AOK, 1977 ~ 90) == === 1977 ~ 79 === 1977년 1월 8일 등장, 기존까지 사용하던 앙골라 에스쿠도를 1:1로 교체하였다. 다만 이때 보조 단위는 센티모가 아닌 이웨이(Iwei)였다. 2년후 20콴자를 제외하고(동전으로 교체) 앞면의 은행명 왼쪽 밑에 독립일 표기가 추가되었다. |||| || 뒷면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001.jpg|width=100%]] || (앞면 공통) || [[아구스티뉴 네투]]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002.jpg|width=100%]] || 20Kz || 군인들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003.jpg|width=100%]] || 50Kz || 현장 노동자들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004.jpg|width=100%]] || 100Kz || 직물 공장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005.jpg|width=100%]] || 500Kz || 화물선 부두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006.jpg|width=100%]] || 1,000Kz || 학교 교실 || === 1984 ~ 87 ===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411.jpg|width=100%]] || 50Kz ||<|4> [[아구스티뉴 네투]],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 학교 교실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415.jpg|width=100%]] || 100Kz || 목화 수확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416.jpg|width=100%]] || 500Kz || 석유 굴착 기지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414.jpg|width=100%]] || 1,000Kz || 부두에서 승선하는 군인들 || == 새 콴자 (2기, AON, 1990 ~ 1995) == 1990년 9월 25일 등장, 기존 통화와 1:1로 교환하였다. 하지만 이 통화는 그대로 교환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 사전에 신고된 전 재산의 5%만 교환이 가능하고 나머지는 국채로 받았지만... 그 결과는 [[북한의 화폐개혁|안 봤어도 이미 스포일러다]]. 정말로 신권을 받는 게 아니고 첨새권(옛날 통화에 도장을 찍은 것)의 형태로 배포했다가 나중에 신권으로 교환하였다. |||| || 앞면 || 뒷면 || || [[파일:63a26cf859a220.44460998-original.jpg|width=100%]] || 100Kz ||<|6> [[아구스티뉴 네투]],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 풍고안동고 돌비석군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312.jpg|width=100%]] || 500Kz || 세라 다 레바 고개 || || [[파일:AngolaP129b-1000Kwanzas-1991_f.jpg|width=100%]] || 1,000Kz || 앙골라 국립은행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316.jpg|width=100%]] || 5,000&50,000Kz || 칼란둘라 폭포 || || [[파일:C68431_b.jpg|width=100%]] || 10,000&100,000Kz || [[검은영양]]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318.jpg|width=100%]] || 500,000Kz || 아프리카코뿔소 || == 재조정 콴자 (3기, AOR, 1995 ~ 1999) == 1995년 7월 1일 등장, 새 콴자를 1:1,000의 비율로 개혁한 통화이다. 동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 || 뒷면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501.jpg|width=100%]] || 1,000Kz || 세이블영양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502.jpg|width=100%]] || 5,000Kz || 앙골라 국립은행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503.jpg|width=100%]] || 10,000Kz || 석유 굴착 기지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504.jpg|width=100%]] || 50,000Kz || 루안다의 위성 기지국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505.jpg|width=100%]] || 100,000Kz || 도기, 초퀘족 프웨 가면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506.jpg|width=100%]] || 500,000Kz || 마탈라 댐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507.jpg|width=100%]] || 1,000,000Kz || 공부하는 소녀 || || (생략) || 5,000,000Kz ||<-2> '''4기 1차 5콴자와 동일''' || == 두번째 콴자 (4기, AOA, 1999 ~ ) == 1999년 12월 1일 등장. 막장이었던 이전의 재조정 콴자를 '''1:1,000,000'''의 비율로 대체했다. === 1999 === |||| || 뒷면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2.jpg|width=100%]] || 1Kz || 목화 수확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3.jpg|width=100%]] || 5Kz || 세라 다 레바 고개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4.jpg|width=100%]] || 10Kz || 영양 두 마리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5.jpg|width=100%]] || 50Kz || 해양 석유시추선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6.jpg|width=100%]] || 100Kz || 앙골라 국립 은행 본청사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7.jpg|width=100%]] || 200Kz || 루안다 시의 경치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8.jpg|width=100%]] || 500Kz || 목화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09.jpg|width=100%]] || 1,000Kz || 커피 열매와 플랜테이션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610.jpg|width=100%]] || 2,000Kz || 그물 손질하는 사람들 || === 2012 ~ 17 === |||| || 뒷면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01.jpg|width=100%]] || 5Kz || 루아카나 폭포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10.jpg|width=100%]] || 10Kz || 루에나 폭포 || || [[파일:50-Kwanzas-back.jpg|width=100%]] || 50Kz || 쿠엠바 폭포 || || [[파일:100-Kwanzas-back.jpg|width=100%]] || 100Kz || 빙가 폭포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13.jpg|width=100%]] || 200Kz || 침부에 폭포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14.jpg|width=100%]] || 500Kz || 안둘루 폭포 || || [[파일:1000-Kwanzas-back.jpg|width=100%]] || 1,000Kz || 칼란둘라 폭포 || || [[파일:2000-Kwanzas-back.jpg|width=100%]] || 2,000Kz || 단데 폭포 || || [[파일:5000-Kwanzas-back.jpg|width=100%]] || 5,000Kz || 카판다 댐 || === 2020 (현행권) ===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가 대통령에서 물러난 후에 등장한 시리즈로, 36년 만에 [[아구스티뉴 네투]] 단독 도안으로 다시 회귀했다. 5000콴자를 제외하고 폴리머로 발행되었으며, 200콴자 미만은 모두 동전으로 교체. |||| || 뒷면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26.jpg|width=100%]] || (앞면공통) || [[아구스티뉴 네투]]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19.jpg|width=100%]] || 200Kz || 풍고안동고 돌비석군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20.jpg|width=100%]] || 500Kz || 툰다발라 협곡 || || [[파일:1000-Kwanzas-back(1).jpg|width=100%]] || 1,000Kz || 루빌리 산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22.jpg|width=100%]] || 2,000Kz || 세라 다 레바 고개 || || [[파일:attachment/앙골라 콴자/ang123.jpg|width=100%]] || 5,000Kz || 쿨룸빔비 대성당 유적 || === 동전 === 센티모는 태생부터 구형 콴자와의 교환을 보조하기 위한 단위로 등장했기 때문에 쓰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일찍이 사용범위에서 탈락했으며 1콴자 역시 잘 쓰이지 않는다. 현재는 5, 10, 20, 50, 100콴자 5종이 주로 통용되며, 20콴자에는 유일한 인물 도안으로 [[은징가 음반데]]가 들어가 있다. [[파일:moedas-de-angola-kit-kwanzas-D_NQ_NP_839597-MLB25763121428_072017-F.jpg]] == 둘러보기 == [include(틀:앙골라 관련 문서)] [[분류:통화]][[분류:앙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