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컨저링 유니버스)] ||<-2>
{{{#233540 '''{{{+3 애나벨 집으로}}}''' (2019)[br]''Annabelle Comes Home''}}}[br][[파일:애나벨 집으로 공식 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감독'''}}} ||게리 도버먼|| || {{{#ffffff '''제작'''}}} ||[[제임스 완]][br]피터 사프란|| || {{{#ffffff '''각본'''}}} ||게리 도버먼|| || {{{#ffffff '''출연'''}}} ||[[매케나 그레이스]], 매디슨 아이즈먼 외|| || {{{#ffffff '''장르'''}}} ||[[호러]]|| || {{{#ffffff '''제작사'''}}} ||[[뉴 라인 시네마]][br]더 새프런 컴퍼니[br]오토매틱 몬스터|| || {{{#ffffff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워너 브라더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ffffff '''촬영 기간'''}}} ||[[2018년]] [[10월 17일]] ~ [[2018년]] [[12월 14일]]|| || {{{#ffffff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9년]] [[6월 26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2019년]] [[6월 26일]]|| || {{{#ffffff '''음악'''}}} ||조지프 비샤라|| || {{{#ffffff '''상영 시간'''}}} ||106분|| || {{{#ffffff '''제작비'''}}} ||'''2,700만 달러'''[[https://deadline.com/2019/06/toy-story-4-annabelle-comes-home-yesterday-box-office-preview-1202637662/|#]]||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74,152,591''' (최종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d=newlinehorrorfilm2019.htm|기준]])||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231,252,591''' (최종 기준)||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수'''}}} ||481,766명 (최종 기준)|| || {{{#ffffff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국내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15세 관람가.pn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목차] == 개요 == [[컨저링 유니버스]] 중 애나벨 시리즈 3편이자 컨저링 메인 시리즈에만 출연하던 주인공 [[워렌 부부]]가 직접 출연하는 스핀오프 작품. 워렌 부부의 등장에 북미 네티즌들은 '차라리 이 영화를 컨저링 3로 해라'라고 할 정도.~~막상 까보니 비중이 거의 없다고 한다~~ 한편 이번 영화가 애나벨 시리즈의 세 번째 자리를 채우며 본가 컨저링 시리즈보다도 먼저 3부작을 완성시킨 격이 되었다. 게리 도버먼 감독에 의하면 이번 애나벨은 '[[박물관이 살아있다]]'의 공포 버전이라고 한다. 예고편과 각종 홍보영상들을 보면 애나벨 뿐만 아니라 배경에서 살짝 스쳐가기만 했던 원숭이 장난감, 여기에 전에 등장한 적 없던 페리맨과 신부(Bride) 악령 등등 수많은 악령들이 집대성한 것으로 보이는데 감독의 말이 와닿는 부분. 이번 애나벨이 흥행하면 영화에 등장한 새로운 악령을 주축으로 또다른 스핀오프 시리즈가 만들어질 수도 있는 일. 그러나 일단 큰 흥행은 하지 못하고 있어 새 시리즈는 기대하기 어렵다. 시리즈를 연대순으로 나열하자면 아래와 같다 [[더 넌]] → [[애나벨: 인형의 주인]] → [[애나벨]] → [[컨저링]] → '''애나벨 집으로''' → [[컨저링 2]] 애나벨 집으로는 시간상 컨저링의 오프닝으로부터 1년 뒤이자 컨저링의 메인 사건인 로드 아일랜드 사건으로부터 2년 전에 벌어진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출연자 == * [[매케나 그레이스]] - 주디 워렌[* 컨저링1,2편에서 주디를 맡은 배우는 [[스털링 제린스]]였으나 애나벨 집으로에서는 해당배우로 교체가 되었다] * 매디슨 아이즈먼[* 쥬만지 2에서 배서니 역으로 알려진 배우] - 메리 엘렌 * [[패트릭 윌슨]] - 에드 워렌 * [[베라 파미가]] - 로레인 워렌 * 케이티 사리프 - 다니엘라 라이오스[* 작중의 메인빌런] * 스티븐 블랙하트 == 예고편 == ||
[youtube(abmpELhAOqs)]|| ||
[https://movie.naver.com/movie/bi/mi/mediaView.nhn?code=189967&mid=44510|애나벨 : 잊혀지지 않는 선율] || 공식 예고편 || ||
[youtube(cMAejh4wEGA)]|| || 2차 공식 예고편 || == 줄거리 == “애나벨이 그 집의 모든 악령을 깨웠다” 퇴마사 워렌 부부는 저주 받은 인형 애나벨을 발견하고 집에 있는 오컬트 뮤지엄 진열장에 격리시킨다. 또 다른 초자연적인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워렌 부부가 떠난 사이, 집에 남아있던 10살 딸 주디의 베이비시터 메리의 친구인 다니엘라가 ‘절대 들어가지 말라’는 경고를 어기고 마는데… 탈출한 애나벨은 모든 악령들을 깨우고, 잊을 수 없는 공포의 밤을 준비한다. == 등장 악령/물건 == [include(틀:스포일러)] * '''애나벨''' 본작의 메인 빌런이자 만악의 근원. 애나벨 1편과 2편에서 등장한 악령에 이미 씌인 상태임에도 모자라 다른 혼령들까지 불러모은다. 작 중의 다른 악령들을 깨우는 역할을 한다. 인형 자체 뿐만 아니라 1편에 나온 염소 형상의 악령과 2편의 애나벨 멀린스 모습으로 두 번 등장한다. ~~하지만 메인 빌런 치고 작 중에서 비중이 많이 없다. 명색이 애나벨 시리즈인데 정작 애나벨 취급이 안습이다.~~ 실제 인형과 유사한 인형도 나온다. 딸이 혼자 TV를 보면서 나오는 가족중 아이가 끌어안고 나오는 인형이 그것. * '''신부 드레스''' 평범한 웨딩 드레스의 모습이지만 한 번 착용하면 착용자를 난폭하게 만들어 살인을 저지르게 한다. 드레스에 깃든 악령이 직접 대상에게 빙의하여 억지로 드레스를 착용시킬 수도 있는 듯. 본작에 나오는 악령들 중 가장 비중이 크다. 다니엘라가 이 악령에 빙의되는 바람에 억지로 착용되었으나 영상을 통한 엑소시즘으로 벗어났다. * '''페리맨''' 죽은 자의 영혼을 거두어가는 악령. 페리맨에게 거둬지기 위해서는 시체의 눈 위에 각각 은화를 한 닢씩 올려놓아야 한다. 이게 페리맨이 받는 통행료 역할을 한다는 듯. 실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카론에서 컨셉을 따왔다고 한다. 본작에서 신부 드레스 다음으로 비중이 크다. 설명대로라면 죽은 자의 영혼만 거두어간다고 하지만, 작중 주인공을 공격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이놈도 결국 다른 놈들처럼 악령이나 다름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니, 옆에 거둬갈 영혼(악령) 널렸는데 왜 살아있는 사람을 노려-- * '''[[헬하운드]]''' 검은 늑대 악령이다.[* 참고로 밥(마이클 치미노 扮)은 이놈을 [[늑대인간]]이라고 불렸다.] 짙은 안개가 늑대의 형상으로 뭉쳐 대상을 공격한다. 또한 본작에서 제일 사납고 공격적이다. 컨저링 3에서도 등장할 예정이라고 알려졌으나 사실이 아니다. ~~100% CG로 구현된 늑대 모습의 악령이다보니 그 모습이 좀 깨는 감이 없지않아 있다.~~ * '''텔레비전''' 낡은 TV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사실은 미래를 보여주는 TV이다. 본작에서 직접 해를 가하는 모습은 나오지 않았지만 섬뜩한 씬 하나가 있다. * '''Feely Meely 보드게임''' 겉보기로는 보드게임이고 실제로도 작중의 초중반까지는 평범한 보드게임 역할을 한다(...)[* 사실 이 보드게임은 영화 초반에 다니엘라가 애나벨의 진열장을 열기 전까진 같은 방 안 블랙 셔크에 관한 책 바로 아래 칸에 놓여 있었다. 카메라가 블랙 셔크를 집어 올리는 다니엘라를 비춘 후 수 초간 [[복선|이 Feely Meely를 향해 줌인하는데,]] 나중에 할 만한 보드게임을 찾는 장면에서는 주디의 방에서 발견된다. 주디가 '저런 게 있었나'라고 한 이유가 있었던 것.] 각 물체의 모습들이 그려진 카드 덱이 있고 거기서 뽑은 카드에 그려진 물체를 구멍뚫린 상자에 손을 넣어 찾아내는 게임이다. 악령이란 말이 무색하게 주인공 일행을 중후반에 한 번 도와주기도 한다. 하지만 최후반에는 상자에 난 구멍에서 팔다리가 기어나오는 기괴한 모습을 보인다. * '''사무라이 갑옷''' 근처에 있는 사람을 향해 투구가 돌아가고 투구를 계속 응시하고 있으면 이 갑옷을 입었던 사무라이에 의해 죽은 사람들의 비명이 겹쳐 들린다. 그냥 떡밥에 가까울 정도로 이 물건에 대한 설명이 전무하다. 참고로 컨저링 1에서도 잠깐 출연했다. * '''그 외의 악령들이 깃든 물건''' 초반부에는 가만히 있었지만, 중반부와 후반부에는 애나벨의 영향으로 모든 물건들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중에서는 컨저링 1편에 나온 오르골과 원숭이 인형[* 이친구는 관객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역할.]도 나온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nnabelle-comes-home, critic=53, user=7.5)]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nnabelle_comes_home, tomato=64, popcorn=70)] [include(틀:평가/IMDb, code=tt8350360,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nnabelle-comes-home, user=2.9)]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125423,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7775, user=없음)]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60852,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207919, user=없음)]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3mY3L, user=2.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1368, light=8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3850, expert=없음, audience=7.75, user=7.03)]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7548, expert=없음, user=7.1)] [include(틀:평가/CGV, code=81896, egg=79)]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B-)] 더 넌과 요로나의 저주가 컨저링 유니버스에 싼 거대한 똥을 어찌저찌 치우긴 한 듯하다. [[로튼 토마토]] 지수는 컨저링, 컨저링 2, 애나벨: 인형의 주인 다음으로 높고 총평을 번역해보면 "애나벨 집으로는 전작들만큼 무섭지는 않더라도 호러 팬들에게 재미를 가져다주며, 아직 컨저링 유니버스에 숨이 붙어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도가 되겠다. 기타 네티즌들이 꼽은 아쉬운 점으로는 너무 질질 끄는 초반, 급 마무리되는 결말, 등장인물들의 납득이 가지 않는 행동 등이고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은 가벼운 극의 톤과 판타지에 가까워진 동떨어진 현실성 정도이다. 공통적으로 칭찬되는 부분은 워렌 부부의 집이라는 독특한 컨셉과 참신한 몇 악령들, 놀이기구를 타는 듯한 재미 등이다. == 흥행 == === [[북미]]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515명 || 515명 || 미집계 || 4,154,000원 || 4,154,000원 || ||<|7> {{{#ffffff 1주차}}} ||2019-06-26. 1일차(수) || 78,044명 ||<|7> -명 || 4위 || 510,093,940원 ||<|7> -원 || ||2019-06-27. 2일차(목) || 38,668명 || 5위 || 328,303,660원 || ||2019-06-28. 3일차(금) || 46,446명 || 5위 || 428,843,080원 || ||2019-06-29. 4일차(토) || 72,325명 || 5위 || 660,722,790원 || ||2019-06-30. 5일차(일) || 55,330명 || 5위 || 507,048,220원 || ||2019-07-01. 6일차(월) || 23,638명 || 6위 || 199,071,650원 || ||2019-07-02. 7일차(화) || 10,021명 || 6위 || 83,017,030원 || ||<|7> {{{#ffffff 2주차}}} ||2019-07-03. 8일차(수) || 10,337명 ||<|7> -명 || 6위 || 82,427,330원 ||<|7> -원 || ||2019-07-04. 9일차(목) || 9,984명 || 6위 || 77,726,560원 || ||2019-07-05. 10일차(금) || 17,456명 || 6위 || 142,958,200원 || ||2019-07-06. 11일차(토) || 19,858명 || 6위 || 161,081,720원 || ||2019-07-07. 12일차(일) || 15,872명 || 6위 || 128,429,800원 || ||2019-07-08. 13일차(월) || 8,580명 || 6위 || 68,756,690원 || ||2019-07-09. 14일차(화) || 11,028명 || 7위 || 86,712,760원 || ||<|7> {{{#ffffff 3주차}}} ||2019-07-10. 15일차(수) || 6,082명 ||<|7> -명 || 8위 || 48,485,180원 ||<|7> -원 || ||2019-07-11. 16일차(목) || 4,064명 || 10위 || 32,996,280원 || ||2019-07-12. 17일차(금) || 6,504명 || 8위 || 55,800,640원 || ||2019-07-13. 18일차(토) || 12,824명 || 8위 || 107,087,140원 || ||2019-07-14. 19일차(일) || 11,461명 || 8위 || 96,116,360원 || ||2019-07-15.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19-07-16.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19-07-17.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9-07-18.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19-07-19.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19-07-20.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19-07-21.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19-07-22.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19-07-23.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481,766명, 누적매출액 3,993,147,140원'''[* ~ 2019/08/06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영화는 [[마담 싸이코]], [[비스트(2019년 영화)|비스트]], [[신 테니스의 왕자: 베스트 게임즈!! 복식경기 스페셜]], 애나벨 집으로, [[존 윅 3: 파라벨룸]](이상 [[2019년]] [[6월 26일]]), [[레이드배커스]], [[맘(2017)|맘]], [[쁘띠 아만다]], [[사범]], [[솔져스 메모리]], [[스트롱거]], [[심룡계약]], [[아서와 클레어]], [[최후의 소녀]], [[킹 다닐로]], [[트리트 미 라이크 파이어]](이상 [[2019년]] [[6월 27일]]), [[라이딩 업힐]](이상 [[2019년]] [[6월 28일]])까지 총 17편이다. === [[러시아]] === ||<-5>
{{{#d52b1e '''러시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25주차 ||<|2> → || '''2019년 26주차''' ||<|2> → || 2019년 27주차 || || [[토이 스토리 4]] || {{{#ffffff '''애나벨 집으로''' }}}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cis/|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러시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26주차 ||<|2> → || '''2019년 27주차''' ||<|2> → || 2019년 28주차 || || [[토이 스토리 4]] || {{{#ffffff '''애나벨 집으로''' }}}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폴란드]] === ||<-5>
{{{#dc143c '''폴란드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27주차 ||<|2> → || '''2019년 28주차''' ||<|2> → || 2019년 29주차 ||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ffffff '''애나벨 집으로''' }}} ||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poland/|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폴란드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리투아니아]] === ||<-5>
{{{#fdb913 '''리투아니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27주차 ||<|2> → || '''2019년 28주차''' ||<|2> → || 2019년 29주차 ||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 {{{#fdb913 '''애나벨 집으로''' }}} ||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lithuan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리투아니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일본]] === [[2019년]] [[9월 20일]]에 개봉 예정이다.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fe234tfsg23gt34t.png]]}}} || 개봉 첫 주차에 [[기억에 없습니다!]],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영화)|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애드 아스트라]], [[날씨의 아이]], [[인간실격: 다자이 오사무와 3명의 여자들]], [[HELLO WORLD]], [[극장판 아재's 러브: LOVE or DEAD]], [[라이온 킹(2019)|라이온 킹]], [[보이지 않는 목격자]]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10위에 그쳤다.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fe2fewef234rfwefwfe.png]]}}} || 개봉 2주차에 [[기억에 없습니다!]],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영화)|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날씨의 아이]], [[인간실격: 다자이 오사무와 3명의 여자들]], [[애드 아스트라]], [[HELLO WORLD]], [[극장판 아재's 러브: LOVE or DEAD]]에 밀린 [[일본]] [[박스오피스]] 8위로 상승했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fwedf243fwefwf.png]]}}} || 개봉 3주차에 [[조커(2019)|조커]], [[기억에 없습니다!]], [[하이앤로우 더 워스트]], [[꿀벌과 천둥]], [[존 윅 3: 파라벨룸]],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영화)|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날씨의 아이]], [[인간실격: 다자이 오사무와 3명의 여자들]], [[HELLO WORLD]]에 이어서 [[일본]] [[박스오피스]] 10위로 내려 앉았다. === [[중국]] === [[중국 공산당]]의 [[중국/문화 검열|검열 조치]]에 딱 걸리는 [[공포 영화]]라서 [[검열]] 통과 여부가 불투명하다. == 기타 == * 유튜브 채널인 [[https://www.youtube.com/user/MartialClub|마샬클럽]]에서 본작을 [[https://youtu.be/5pOYcKcnHi4|홍콩 쿵푸 액션 영화 스타일로 패러디했다]](...). --쿵푸 인형 애나벨-- * 태국 파타야에서 휴가를 즐기던 영국인 버나드 채닝(77)이 7월 5일 오후 8시께 이 영화를 보다가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227521|#]] * 워렌부부의 실제 모델인 로레인 리타 워렌이 2019년 4월 18일에 사망함에 따라 영화 마지막에 '로레인 워렌을 기리며' 문구가 나온다. [[분류:미국 공포 영화]][[분류:2019년 영화]][[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뉴 라인 시네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