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애캐토2014.jpg|width=100%]]}}} || ||<:> '''투표 기간''' ||<:> [[2014년]] [[11월 11일]] ~ [[2014년]] [[12월 19일]] || ||<:> '''캐치프레이즈''' ||<:> 총 88작품, 821명 캐릭터 참전![br]2014년 최강의 캐릭터는?! || ||<:> '''참가 작품 및 캐릭터''' ||<:> 2014년 1~4분기 [[애니플러스]] 방영작[br] 총 '''88작품 821명'''[br][[http://www.aniplustv.com/#/customer/view.asp?gCode=CU&sCode=001&board_id=4&idx=28648&rePage=1|참가 캐릭터 목록]] || ||<:>'''무료 개방 VOD''' ||<:> [[월간 순정 노자키군/애니메이션|월간 순정 노자키군]] (2주) ------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Fate/stay night UBW 1쿨]] (2주) ------ [[니세코이(애니메이션 1기)|니세코이 1기]] (2주)|| ||<-2> [[https://aketo.aniplustv.com/#/ranking/aketo_view.asp?gCode=RA&sCode=004&idx=18&event_id=6&gubun=ing|2014 애캐토 홈페이지]] || [include(틀:2014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TOP 10)] [목차] == 소개 == [[2014년]] 1년 동안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88작품에 등장하는 821명의 캐릭터가 참전해 1회 대회보다 규모가 훨씬 커졌다. 1차 예선에서는 각 작품마다 상위 득표자 3명이 2차 예선에 진출하는 것은 1회 대회와 동일하다. 2차 예선은 한 조당 12명으로 이뤄진 22개의 조 중 상위 4명이 3차 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이며, 5위 이하 중 상위 8명은 와일드카드를 통해 3차 예선에 진출할 수 있다. 3차 예선은 6명의 캐릭터로 이루어진 16개 조 중 상위 2위가 진출하며, 32강부터는 1회 대회와 마찬가지로 토너먼트 방식이 적용된다. 이번 애캐토부터 연초에 개최했던 것과는 달리 주기가 변경되어 매년 연말에 열리게 되었고 해당년도 분기에 방영하였던 작품들과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세이버는 [[락라인|어느 라인]]에 가입해버리고 만다~~ == 전개 == === [[/1차 예선|1차 예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4년/1차 예선)] === [[/2차~3차 예선|2차~3차 예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4년/2차~3차 예선)] === [[/본선|본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4년/본선)] === 최종 순위 === [[파일:external/0i3z252hh7.ecn.cdn.infralab.net/img_result2.jpg|width=800]] == 반응 == * 사실상 남캐 전멸화 이번 애캐토에서는 1회 애캐토와는 달리 [[오레키 호타로]]를 이을 '''마성의 남자'''가 한 명도 나타나지 않았던 남캐들에게는 불운과 불모지와도 같은 시기였다고도 할 수 있다. 16강에서 미코시바 미코토와 아처가 선전을 하였지만 모두 탈락하여 8강부터 사실상 여캐들이 차지하였다. * 최초의 여캐 우승자 탄생 1회 애캐토가 남캐가 우승하였기 때문에 이번 애캐토에서는 '''사상 최초로 여캐가 우승'''을 하게 되었다. 그것도 2014년 3분기에 등장하여 나오게 된 신작애니 캐릭터였으며 애니플러스에서 당해년도에 방영한 애니메이션 캐릭터로서도 최초의 우승자이다.[* 오레키 호타로가 있는 빙과는 2012년 2분기에 나왔다.] * 기간 및 방식 변경 1회 애캐토가 애니플러스에서 그 동안 인기를 얻어왔던 일부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기준으로 하였다면 이번 애캐토부터는 기간을 연말로 옮기고 그 해 1분기 ~ 4분기에 방영하였던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애캐토 출전권을 주게 되었다. * 여캐 독점화 및 남초 현상 심화 이번 애캐토에서도 지난 1회 애캐토와 마찬가지로 여캐의 독점화가 있었던 편이었으며 남캐는 사실상 전멸하게 되었던 기록을 남긴 편이었다. 그리고 그로 인해서 남초 현상 또한 심화되었던 편. * 아이돌 애니메이션 전멸 이번 애캐토에서는 아이돌 애니메이션인 [[러브 라이브!(애니메이션 2기)|러브 라이브! 2기]]와 푸치마스가 출전하였지만 니시키노 마키가 9위로 올라갔던 러브 라이브!를 제외하면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무비마스]]를 머스트씨무비릴리징컴퍼니에 뺏기지 말고 애니플러스에서 가져가서 2014년에 상영했어야 한다. 그런데 극장판 애캐토 참여는 2015년부터다.~~ * 세이버, 또 4위로 내려앉다 1회 애캐토에서 4위를 차지하였던 세이버는 이번 애캐토에서도 [[오노데라 코사키]]에게 3,4위전에서 패배하면서 또 한 번 애캐토 4위 자리를 연이어 차지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번에는 같은 작품의 [[토오사카 린]]의 도움으로 페이트 무료개방은 살려내었다. * 노엘의 아름다운 패배 이번 애캐토에서 첫 출전하여 본선까지 진출한 천체의 메소드의 노엘은 불행하게도 이라야스필 폰 아인츠베른과 본선에서 만나게 되어서 결국 아름다운 패배를 기록하게 되었다. * 진정한 의미로 클린했던 마지막 애캐토 이 다음 대회인 2015년 애캐토에서 어떤 난장판이 열렸는지, 그리고 그 여파가 2020년대 애캐토까지 미치며 대회의 경쟁력과 이미지를 갉아먹게 되었는지를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시즌은 순수한 팬심 + 진정한 인기 캐릭터를 찾고자 하는 목적의식이 대회 전반에 살아있었던 '''초심'''의 대회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version=159, title2=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version2=176)] [[분류: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