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7년)] * 이전 문서: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7년/1차 예선]] * 다음 문서: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7년/본선]] [목차] == 개요 == == 2차 예선 (221강, 12월 1일 ~ 12월 4일) == 추첨을 통해 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조에 9명씩(1~5조는 10명) 총 24개조로 치러지며, 각 조에서 상위 4명씩 총 96명이 진출하게 된다. 한 사람당 한 조에서 최대 3명까지 표를 줄 수 있으며, 굵은 글씨는 3차 예선 진출 캐릭터. 원래는 74작품이 출전하기 때문에 74 x 3 = 222강이 되어야 했으나, [[웃는 세일즈맨]]의 참가자 수가 2명밖에 되지 않아 221강이 되었다. 지난 대회에서 [[작열의 탁구소녀/애니메이션|작열의 탁구소녀]]가 1차 예선 공동 3위 발생으로 인해 4명이 올라갔으니 그만큼 1명 줄어든(?) 셈. * 1조 * '''[[칸나 카무이]]''' * '''[[사카타 긴토키]]''' * '''타카노 치즈루''' * [[모리야마 시에미]] * [[호오즈키]] * 오노에 세리카 * '''이나바 츠쿠요''' * [[모차르트(클래시컬로이드)|모차르트]] * 아쿠츠 신 * 이시다 미츠나리 * 2조 *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 * '''[[고바야시(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고바야시]]''' * [[하이네 비트겐슈타인]] * '''[[시마무라 우즈키]]''' * 아리야마 시즈쿠 * 루시퍼 * [[로베르토 니콜라스]] * 사카키 모모 * 칸나즈키 아린 * '''[[마슈 키리에라이트]]''' * 3조 * '''[[아이즈 발렌슈타인]]''' * '''[[호토 코코아]]''' * '''실키''' * 아리스가와 니노 * 오토미 마유라 * 레일라 말칼 * 야기누마 이오 * '''[[시무라 신파치]]''' * 미루쿠 * 쿄바시 마히로 * 4조 * '''[[마토 사쿠라]]''' * '''루리아''' * '''오니가와라 린''' * '''[[타도코로 메구미]]''' * 코바야시 요시오 * 아카시 세이주로 * 미타마 마나미 * 토요토미 히데요시 * [[센리 아카네]] * 시마즈 무츠키 * 5조 * '''[[이즈미 사기리]]''' * '''[[서벌(케모노 프렌즈)|서벌]]''' * '''[[리쿠 도라]]''' * '''[[유이(소드 아트 온라인)|유이]]''' * [[시엘 팬텀하이브]] * [[오오토리 치하야]] * 쿠루스 쿠로고 * 오이카와 신 * 구로다 간베에 * 사쿠라메 키리에 * 6조 * '''[[도마 우마루]]''' * '''[[미카사 아커만]]''' * '''[[쿠로코 테츠야]]''' * 오오시바 코스케 * '''[[지브릴(노 게임 노 라이프)|지브릴]]''' * 미야마 츠바메 * 카이 폰 그란츠라이히 * 파르네제 * [[오토와 카나에]] * 7조 * '''[[텐마 가브릴 화이트]]''' * '''[[에르네스티 에체바르리아]]''' * '''[[하나바타케 요시코]]''' * 마스터 * '''[[도마 타이헤이]]''' * 키사라기 스미레 * 키카쿠죠 메어리 * 노무라 엘 * 나라쿠 쿄코 * 8조 * '''[[아렛타]]''' * '''[[유키미 코우메]]''' * 하루키 미소라 * [[칸베 코토리]] * '''네프렌''' * 아이바 루이 * 스미하라 사토카 * 키쵸가사키 유즈 * '''[[아나스타샤(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아나스타샤]]''' * 9조 * '''[[카니 나유타]]''' * '''[[나키리 에리나]]''' * '''아구리''' * 점주 * '''[[시부야 린]]''' * 알바스 * 라일라 * 하세 미즈키 * 벤텐 * 10조 * '''[[키스샷 아세롤라오리온 하트언더블레이드]]([[오시노 시노부]])''' * '''[[고토우 준]]''' * 히나시 코유키 * 카이도 하루 * 하세쿠라 아사야 * 시로 * '''[[C.C.(코드 기어스)|C.C.]]''' * 지타 * '''[[쿠라타 유이]]''' * 11조 * '''[[치야(우라라 미로첩)|치야]]''' *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 * '''[[토오사카 린]]''' * 로타 * 엘리자베스 미드포드 * 미야타 유리 * '''[[카가미 타이가]]''' * 브루노 폰 그란츠라이히 * 퍼크 * 12조 * '''[[카후우 치노]]''' * '''[[카구라(은혼)|카구라]]''' * '''[[하시마 치히로]]''' * '''[[헤스티아(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헤스티아]]''' * 카미네 아야카 * 카이도 아키 * 아마미야 카나데 * [[오리베 리리코]] * 쿠가 아키네 * 13조 * '''제로''' * '''[[오쿠무라 린]]''' * 카이도 렌 * '''[[선도부장]]''' * 소마 스미레 * '''레비아탄''' * 그랑 * 카타야마 미나미 * [[줄리아 미카엘 보르지에|줄리아 사제]] * 14조 * '''[[츠키노세 비네트 에이프릴]]''' * 히야마 아카네 * [[시노미야 시오리]] * '''[[와타나베 요우]]''' * 아마츠키 메구루 * '''[[쿠시다 키쿄]]''' * 메구로 메구미 * '''라쿤''' * 하나사키 켄스케 * 15조 * '''[[쿠루미자와 사타니키아 맥도웰]]''' * '''[[히메라기 유키나]]''' * '''[[알리샤 디프다]]''' * 쿠르스 노노 * [[시마다 마유]] * 노로 마코토 * [[빌렘 크메슈]] * '''[[텐도 테루]]''' * 니카이도 야마토 * 16조 *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 '''[[코사카 아키호]]''' * 아키츠키 후우카 * '''[[아야노코지 키요타카]]''' * 니나 * '''[[카네시로 소라]]''' * [[오쿠무라 유키오]] * 이나바 유시 * 사쿠라바 카오루 * 17조 * '''[[에비나 나나]]''' * [[코하루 요시노]] * '''[[센쥬 무라마사]]''' * 포우 * '''[[사쿠라우치 리코]]''' * '''미나가와 유키''' * 아사이 케이 * [[아카츠키 나기사]] * [[올가 이츠카]] * 18조 * '''[[스미노 사야카]]''' * '''그리''' * [[아다시노 베니오]] * '''[[테데자 리제]]''' * 세타가와 마사히로 * 시모가모 야사부로 * '''사이죠 리나''' * 토키사카 쿠로마루 * 사탄 * 19조 * '''[[타츠미 콘]]''' * '''[[가방(케모노 프렌즈)|가방]]''' * [[가츠]] * '''[[쿠로사와 루비]]''' * [[크리스타 렌즈]] * '''[[아라라기 코요미]]''' * [[미카즈키 오거스]] * [[아이바 아사기]] * [[하야시다 아이리]] * 20조 * '''[[슈비 도라]]''' * '''[[호리키타 스즈네]]''' * '''아델트루트 오르타''' * 모구로 후쿠조 * '''[[아사미 리리스]]''' * 니노 * 이와미 사라 * [[스레이]] * 휴가 아키토 * 21조 * '''[[하토리 치세]]''' * '''[[세이버(5차)|세이버]]''' * 진 오티스 * '''리온''' * '''[[엘런 예거]]''' * 키리하라 아톰 * [[베토벤(클래시컬로이드)|베토벤]] * [[엔마도 로쿠로]] * 스테파니아 세라티 * 22조 * '''텐도 카렌''' * '''[[쿠로(이세계 식당)|쿠로]]''' * '''[[세바스찬 미카엘리스]]''' * '''카미하라 히메노''' * [[히라가 요셉 코우]] * [[유키히메(UQ HOLDER!)|유키히메]] * 아리무라 히나에 * 사사키 준야 * 시모가모 야이치로 * 23조 * '''[[크톨리 노타 세니오리스]]''' * '''용병''' * '''[[모미지다니 노조미]]''' * 호시노모리 치아키 * '''[[하네카와 츠바사]]''' * 레피야 비리디스 * 이즈미 미츠키 * [[프로듀서(아이돌 마스터 SideM/애니메이션)|프로듀서]] * 카라시 * 24조 * '''[[야마다 엘프]]''' * '''[[엘리어스 에인즈워스]]''' * '''[[시라카와 미야코]]''' * 올가마리 아니무스피아 * '''[[유키히라 소마]]''' * 유즈리하 카나데 * [[쿠델리아 아이나 번스타인]] * 이즈미 이오리 * 무라세 톤보 === 이야깃거리 === * 오후 4시부터 2차 예선이 시작된다고 했으나, 20~30분넘게 아직 몇 몇 사람들은 서버에 들어가지지 않는다. * 각 조별로 인원수 불균형으로 인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서인지 1차 예선 최상위 득표자들이 10명이 들어가는 1~5조에 배정되었다. 다만 2016년 대회부터는 지난 라운드의 성적을 반영해 조 편성을 하므로 이로 인해 억울하게 탈락하는 캐릭터들은 얼마 없을 것으로 보인다. === 경기 전 예상 === 전체적으로 1~2위의 윤곽은 거의 드러나 있으며, 3위와 4위 자리를 누가 차지하느냐가 핵심인 조들이 많다. * 1조: 칸나와 긴토키의 무난한 진출이 예상된다. 나머지 캐릭터들은 모두 고만고만해서 3~4위 자리 싸움이 더 볼만하겠다. * 2조: 4위를 제외하고는 아스나와 코바야시, 우즈키의 1~3위는 거의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 * 3조: 아이즈와 코코아, 실키의 진출 가능성이 높다. * 4조: 이 조에는 [[마토 사쿠라]]라는 절대 강자가 버티고 있다. 사쿠라의 1위는 확정적이며 [[타도코로 메구미]] 또한 2위를 노릴 수 있는 캐릭터이므로 1조와 마찬가지로 3~4위 싸움이 더 중요해 보인다. * 5조: 사기리와 서벌, 유이, 리쿠 도라의 무난한 진출이 예상된다. 나머지 캐릭터들에게는 그저 묵념을... * 6조: 우마루와 지브릴의 진출이 유력한 조. 나머지 캐릭터들이 다 고만고만한지라 [[쿠로코 테츠야]]도 3차 예선 진출이 가시권에 들어와 있다. * 7조: 가브릴과 요시코의 1~2위가 예상, 남캐인 타이헤이가 4위 내에 들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 8조: 아나스타샤를 제외하면 예측불허 조 1. 나머지 캐릭터들이 전부 고만고만한 캐릭터들이라 진흙탕 싸움이 예상된다. * 9조: 에리나와 린의 진출이 유력하다. 점주의 2차 예선 통과가 변수. * 10조: 키스샷을 제외하면 예측불허 조 2. 고토 준 정도가 예선 통과가 유력해보이고, 를르슈 등이 탈락한 상황에서 C.C.가 올라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 11조: 키리토와 린의 1~2위 싸움으로 소아온과 페이트 진영간의 사투가 막을 올렸다. 나머지 캐릭터들은 3~4위라도 차지해서 올라가는 게 중요하다. * 12조: 작년 애캐토 우승 캐릭터인 렘의 성우인 [[미나세 이노리]]가 맡은 두 캐릭터가 자리한 조. 치노와 헤스티아의 진출이 유력하며 카구라까지는 3~4위가 무난해 보이지만 나머지 한 캐릭터가 누가 될 지가 변수. * 13조: 절대 강자가 없는 조. 그나마 선도부장과 제로가 유력해보이며 여타 조와 마찬가지로 3~4위 쟁탈전이 더 중요해 보인다. * 14조: 비네와 요우의 무난한 진출이 예상. 서벌, 가방에 비해 1차 예선에서 득표 수가 낮았던 라쿤이 회생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15조: 사타냐와 유키나, 알리샤의 진출이 유력. 사이마스와 아이돌리쉬 세븐은 자칫 2차 예선에서 대표 캐릭터들이 모두 전멸하는 것을 각오해야 할 판이다. * 16조: 토르, 아키호의 진출이 유력한 가운데, 같은 밴드물 애니메이션인 후우카와 천사의 3P의 아키츠키 후우카, 카네시로 소라의 대결이 볼만하겠다. * 17조: 에비나 나나와 센쥬 무라마사, 사쿠라우치 리코의 진출이 유력한 가운데 사쿠라 퀘스트의 [[코하루 요시노]]가 3차 예선에 진출해 [[SHIROBAKO]]의 선전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 18조: 사야카와 리제의 진출이 유력. 역시나 3~4위 쟁탈전이 치열하겠다. * 19조: 가방과 루비, 아사기의 진출이 유력한 가운데 콘이 3~4위를 차지하게 될지, 아니면 두 남캐인 가츠와 코요미 중 한 명이 올라갈 수 있을지가 변수로 보인다. * 20조: 슈비와 스즈네가 유력한 조. 다시 말하지만 이 조도 3~4위 싸움이 더 중요하다. * 21조: 치세와 세이버의 1~2위 쟁탈전이 이뤄지는 가운데 예거 정도가 3~4위를 노릴 수 있을 듯하다. * 22조: 카렌과 쿠로의 진출이 유력하며, 세바스찬이 여성향 애니의 자존심을 세워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 23조: 크톨리와 노조미, 츠바사의 진출이 유력. 315 프로듀서는 타케우치P의 기운을 받을 수 있을까? * 24조: 엘프와 엘리어스의 진출이 유력하며 미야코와 올가마리, 소마의 3~4위 쟁탈전 양상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 2차 예선 결과 === * 2차 예선에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탈락한 작품 (31개):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 [[슈퍼 러버즈]] 2기, [[MARGINAL\#4|MARGINAL#4 KISS에서 창조되는 빅뱅]], [[Chaos;Child/애니메이션|Chaos;Child]], [[ACCA 13구 감찰과/애니메이션|ACCA 13구 감찰과]], [[TRICKSTER -에도가와 란포 「소년 탐정단」에서-|TRICKSTER]], [[스쿨걸 스트라이커즈 Animation Channel|스쿨걸 스트라이커즈]], [[후우카(만화)/애니메이션|후우카]], [[클래시컬로이드]],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2기, [[쌍성의 음양사/애니메이션|쌍성의 음양사]], [[가부키부!]], [[사쿠라 퀘스트]], [[사쿠라다 리셋/애니메이션|사쿠라다 리셋]], [[복면계 노이즈]], [[왕실교사 하이네]], [[유정천 가족]] 2기, [[트윈엔젤 BREAK]], [[베르세르크(新 시리즈)|베르세르크]], [[웃는 세일즈맨|웃는 세일즈맨 NEW]], [[바티칸 기적 조사관/애니메이션|바티칸 기적 조사관]], [[독점 마이 히어로]], [[요괴 아파트의 우아한 일상]], [[유큐 홀더! 마법선생 네기마! 2]], [[전각 나이트 블러드]], [[Wake Up, Girls!(애니메이션)|Wake Up, Girls! 신장]], [[츠우카아]], [[호오즈키의 냉철]] 제2기, [[드림페스!|드림페스! R]], [[아이돌리쉬 세븐(애니메이션 1기)|아이돌리쉬 세븐]] * 2차 예선에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3차 예선에 진출한 작품 (20개): [[가브릴 드롭아웃/애니메이션|가브릴 드롭아웃]], [[우라라 미로첩/애니메이션|우라라 미로첩]], [[은혼(애니메이션)|은혼]],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에로망가 선생/애니메이션|에로망가 선생]], [[신데렐라 걸즈 극장|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극장]],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1기)|어서 오세요 실력 지상주의 교실에]], [[바보걸]], [[천사의 3P!/애니메이션|천사의 3P!]], [[러브 라이브! 선샤인!!(애니메이션 2기)|러브 라이브! 선샤인!! 2기]], [[마법사의 신부(애니메이션 1기)|마법사의 신부]], [[식극의 소마/애니메이션|식극의 소마 세 번째 접시]], [[여동생만 있으면 돼./애니메이션|여동생만 있으면 돼.]],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R]],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키즈모노가타리|키즈모노가타리 냉혈편]],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Ⅰ.presage flower]], [[주문은 토끼입니까?/애니메이션#s-3|극장판 주문은 토끼입니까?? ~dear my sister~]], [[노 게임 노 라이프 제로]] * 2차 예선 최다 득표 캐릭터: 1차 예선과 마찬가지로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의 [[칸나 카무이]]가 1,459표(1조 35.5%)로 가장 많은 득표를 차지했다. 호불호가 갈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인기를 얻을 법한 캐릭터이며, 전통적으로 애캐토에서 [[교토 애니메이션]]이 강세를 보인 것을 감안했을 때 1분기 방영작 사상 최초의 결승 진출~우승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 작년 [[드림페스!]]와 [[노래의 왕자님]]이 2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한 것에 이어 올해 대회에서도 [[MARGINAL\#4|MARGINAL#4 KISS에서 창조되는 빅뱅]], [[드림페스!|드림페스! R]], [[아이돌 마스터 SideM/애니메이션|아이돌 마스터 SideM]], [[아이돌리쉬 세븐(애니메이션 1기)|아이돌리쉬 세븐]] 소속 캐릭터들이 사이마스의 [[텐도 테루]]를 제외하고 모두 2차 예선의 벽을 넘지 못하면서 남성 아이돌 애니의 애캐토 잔혹사가 계속되었다. 특히 본가 및 신데마스와의 접점이 있는 사이마스조차도 소속 캐릭터들이 한 명 빼고 모두 탈락하면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3차 예선에 진출한 [[신데렐라 걸즈 극장]]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게 되었다. * 2014년 이후 3년 만에 애캐토에 복귀한 [[Wake Up, Girls!(애니메이션)|Wake Up, Girls!]]도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3차 예선 진출에 성공한 [[신데렐라 걸즈 극장]], [[러브 라이브! 선샤인!!(애니메이션 2기)|러브 라이브! 선샤인!! 2기]]와는 달리 여러 남성 아이돌 애니와 마찬가지로 또 다시 3차 예선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물론 애니메이션이 2쿨 방영이니만큼 내년에도 한번 더 출전이 가능하고, 정치성 논란으로 인해 애니플러스는 고사하고 아예 국내에서 방영조차 되지 않은 [[아이돌 사변]]보다는 낫지만 전망은 매우 어두운 편이다. *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전멸한 WUG와는 달리 [[신데렐라 걸즈 극장]], [[러브 라이브! 선샤인!!(애니메이션 2기)|러브 라이브! 선샤인!! 2기]]는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3차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 특히 일명 '''한센루(한국 센터걸 루비)'''라는 별명을 가진 [[쿠로사와 루비]]는 조 2위로 진출한 요우, 리코와는 달리 2차 예선 조 1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다만 총득표 수는 요우가 823표로 루비의 809표에 앞선다.] 이변적으로 3차 예선까지 진출하면서 본선진출도 가능하다는 희망을 보여주었다. 지난 대회 1기 방영 당시 최약체로 1차 예선에서 탈락했던 비극과는 정반대의 구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Aqours 내한 공연과 월드 이미지걸 한국 센터걸 및 동 시기에 방영된 애니메이션의 에피소드에서도 푸시를 받은 영향이 컸다. [[와타나베 요우]]는 지난 애캐토에서도 그렇지만 이번에는 Aqours 내한 당시 요소로드 연출과 성우 [[사이토 슈카]]가 요소로드 팜플렛 인증샷을 올렸던 영향으로 지난번과 다르게 다소 상승세를 보인다. * 지난 대회에서 [[칸베 코토리]]와 [[오오토리 치하야]]가 3차 예선까지 진출했던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는 3차 예선은커녕 2차 예선에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전멸하면서 애니메이션의 박한 평가와 흥행 참패를 다시금 증명해야만 했다. 경쟁 작품/캐릭터 수가 더 늘어났다는 이유는 있겠지만 같은 미소녀 게임/비주얼 노벨 원작으로 2년 연속으로 출전한 [[칭송받는 자: 거짓의 가면/애니메이션|칭송받는 자: 거짓의 가면]][* 2015년에는 [[쿠온(칭송받는 자)|쿠온]]이 3차 예선에 진출, 2016년에는 쿠온과 [[네코네]], [[루루티에]]가 3차 예선에 진출.]과 [[그리자이아 시리즈]][* 2014년에는 2차 예선에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탈락, 2015년 대회에서는 [[스오우 아마네]], [[카자미 카즈키]]가 3차 예선까지 진출.]도 본선 진출은 이루지 못했지만 2회째 출전한 대회에서 더 나은 성적을 기록한 것과는 정반대이다. * 2년 전 [[SHIROBAKO]]로 출전해 [[미야모리 아오이]], [[사카키 시즈카]], [[야스하라 에마]]가 본선에 진출하며 선전했던 일하는 여자아이 시리즈의 후속작 [[사쿠라 퀘스트]]도 전작의 흥행을 그대로 이어가지 못한 채 소속 캐릭터 3명이 모두 3차 예선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 10년 지기 터줏대감이자 여성향 애니의 강자인 [[은혼(애니메이션)|은혼]]의 [[사카타 긴토키]]는 남캐들의 무덤인 애캐토의 마력을 잘 버텨내며 3차 예선에 진출하여 본선진출을 노리고 있다. 만약 긴토키가 본선진출을 할 경우 은혼 캐릭터 중에 한 명이 본선에 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선으로 가는 관문인 3차 예선에서 후배격 캐릭터들과의 싸움을 피할 수 없는데다가 여캐들의 강세도 버텨야한다. 그 이외에 [[카구라(은혼)|카구라]], [[시무라 신파치]]도 3차 예선에 진출하였지만 이들 중 한 명이 탈락할 가능성도 있다. * 이번 대회부터 첫 출전한 주문은 토끼입니까 캐릭터들은 예상대로 3명 모두 3차 예선에 진출하여 본선진출을 노리고 있다. 3명 모두 본선으로 진출할 가능성도 있지만 이변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 은혼과 함께 10년 지기였던 코드 기어스의 [[C.C.(코드 기아스)|C.C.]]는 여캐의 강세로 인해서 무난히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만약 C.C.가 본선진출을 하게 되면 10년 전 방영 당시의 전성기 부흥과 동시에 10년 이상 애니 캐릭터 중 백전노장의 기운으로 후배 캐릭터들과 맞서야한다. 그러나 본선으로 가는 3차 예선이 치열한만큼 후배 캐릭터들의 강세와 유권자층인 현재의 중고생 청소년들의 표심이 그대로 유지될지가 관건이다. * 지난 대회에서 [[플라잉 위치/애니메이션|플라잉 위치]]의 치토(고양이)가 본선까지 진출하는 기염을 통했으나, 이번 대회에서는 호오즈키의 냉철의 시로, 페그오의 포우 등이 모두 2차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순수 동물 캐릭터의 반란은 일어나지 못했다. 다만 동물들을 의인화한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는 소속 캐릭터 3명이 모두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 같은 밴드 애니인 [[BanG Dream!(애니메이션 1기)|BanG Dream!]]이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되지 못해 애캐토에 나오지 못한 상황에서 16조에서는 [[후우카(만화)/애니메이션|후우카]]의 [[아키츠키 후우카]], [[천사의 3P!/애니메이션|천사의 3P!]]의 [[카네시로 소라]]의 밴드 매치가 벌어졌다. 결과는 소라가 조 4위로 3차 예선 막차를 타면서 천사의 3P! 진영의 승리로 끝났는데, 후우카는 5위는 고사하고 사이마스의 [[사쿠라바 카오루]]에게도 밀려 탈락하면서 후우카 진영의 전멸을 막지 못했다. * [[일상물 난민]] 캠프를 수행하고 있는 [[가브릴 드롭아웃/애니메이션|가브릴 드롭아웃]],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R]], [[주문은 토끼입니까?]] 등은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3차 예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대형 작품들의 틈바구니에서 다소 인지도가 밀리는 [[우라라 미로첩/애니메이션|우라라 미로첩]]도 소속 캐릭터 3명이 모두 3차 예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이번 대회에서는 일상물 애니의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 3차 예선 (96강, 12월 6일 ~ 12월 8일) == 추첨을 통해 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조에 6명씩 총 16개조로 치러지며, 각 조에서 상위 2명씩 총 32명이 진출하게 된다. 한 사람당 한 조에서 최대 2명에게 표를 줄 수 있으며, 굵은 글씨는 본선 진출 캐릭터. * 1조 * 리온 * '''[[사카타 긴토키]]''' * [[히메라기 유키나]] * 아델투르트 오르타 * '''[[유우키 아스나]]''' * [[카네시로 소라]] * 2조 * [[이나바 츠쿠요]] * [[센쥬 무라마사]] * '''[[시마무라 우즈키]]''' * '''[[호토 코코아]]''' * [[아야노코지 키요타카]] * [[유키미 코우메]] * 3조 * '''[[와타나베 요우]]''' * [[에르네스티 에체바르리아]] * [[에비나 나나]] * [[호리키타 스즈네]] * [[마슈 키리에라이트]] * '''[[토오사카 린]]''' * 4조 * '''[[키스샷 아세롤라오리온 하트언더블레이드]]([[오시노 시노부]])''' * 제로 * [[오니가와라 린]] * 그리 * '''[[텐마 가브릴 화이트]]''' * [[도마 타이헤이]] * 5조 * [[시라카와 미야코]] * '''[[칸나 카무이]]''' * [[미카사 아커만]] * [[하네카와 츠바사]] * '''[[테데자 리제]]''' * [[유이(소드 아트 온라인)|유이]] * 6조 * [[하나바타케 요시코]] * [[엘런 예거]] * '''[[지브릴(노 게임 노 라이프)|지브릴]]''' * '''[[라쿤(케모노 프렌즈)|라쿤]]''' * [[하시마 치히로]] * [[카가미 타이가]] * 7조 * [[모미지다니 노조미]] * [[카니 나유타]] * [[코사카 아키호]] * [[아렛타]] * '''[[하토리 치세]]''' * '''[[카후우 치노]]''' * 8조 * [[알리샤 디프다]] * [[유키히라 소마]] * 아구리 * '''[[가방(케모노 프렌즈)|가방]]''' * '''[[아나스타샤(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아나스타샤]]''' * 텐도 카렌 * 9조 * [[엘리어스 에인즈워스]] * [[세바스찬 미카엘리스]] * '''[[이즈미 사기리]]''' * [[카구라(은혼)|카구라]] * '''[[시부야 린]]''' * [[쿠로(이세계 식당)|쿠로]] * 10조 * '''[[세이버(5차)|세이버]]''' * 타카노 치즈루 * [[아라라기 코요미]] * [[고토우 준]] * 루리아 * '''[[서벌(케모노 프렌즈)|서벌]]''' * 11조 * 키미하라 히메노 * 사이죠 리나 * [[쿠라타 유이]] * [[나키리 에리나]] * '''[[쿠루미자와 사타니키아 맥도웰]]''' * '''[[마토 사쿠라]]''' * 12조 * [[크톨리 노타 세니오리스]] * '''[[도마 우마루]]''' * 용병 * [[타도코로 메구미]] * '''[[쿠로사와 루비]]''' * [[선도부장]] * 13조 * [[아사미 리리스]] * '''[[치야(우라라 미로첩)|치야]]''' * 실키 * '''[[야마다 엘프]]''' * [[텐도 테루]] * [[쿠로코 테츠야]] * 14조 * '''[[사쿠라우치 리코]]''' * '''[[슈비 도라]]''' * [[타츠미 콘]] * [[쿠시다 키쿄]] *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 * 네프렌 * 15조 * 레비아탄 *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 [[오쿠무라 린]] * '''[[리쿠 도라]]''' * [[스미노 사야카]] * [[아이즈 발렌슈타인]] * 16조 * '''[[헤스티아(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헤스티아]]''' * [[시무라 신파치]] * 미나가와 유키 * [[C.C.(코드 기아스)|C.C.]] * '''[[츠키노세 비네트 에이프릴]]''' * [[고바야시(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고바야시]] === 이야깃거리 === === 경기 전 예상 === 지난 대회와는 달리 전체적으로 출전 작품, 캐릭터들의 인기가 상향 평준화되어 있어 모든 조가 죽음의 조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박터지는 대진표가 양산되었다. * 1조: 아스나의 무난한 진출이 예상되며 마성의 남자를 노리는 긴토키의 2위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 2조: 무라마사와 코코아, 우즈키의 3파전 양상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우즈키는 신데마스의 리더로서 아이돌 애니 진영의 자존심을 세울 수 있을까? * 3조: 토오사카 린과 에비나 나나의 본선 진출이 유력한 조. 지난 대회 9위인 요우는 2차 예선에서 우마루쨩과 같은 동화공방 일상물인 가브릴 드롭아웃에게도 1위를 내줬기 때문에 전망이 어둡다. * 4조: 지난 대회 준우승자인 키스샷과 가브릴의 동반 진출이 유력하다. * 5조: 이 조에는 1~2차 예선 1위인 칸나가 버티고 있다. 칸나의 1위는 따 놓은 당상이며 유이와 리제, 츠바사 중 2위 쟁탈전의 승자는 누구일까? * 6조: 지브릴과 요시코, 라쿤의 3파전. 이번 3차 예선은 이와 같은 3파전 구도의 조가 많이 나왔다. * 7조: 치세와 치노, 아키호의 3파전 구도가 예상된다. * 8조: 아나스타샤, 가방의 진출이 유력한 조. 다만 카렌도 어느 정도 인기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이므로 속단하기에는 이르다. * 9조: 사기리와 린의 본선 진출이 유력하다. * 10조: 세이버와 서벌의 본선 진출이 유력한 조. 마성의 남자 후보를 노리는 코요미는 일단 살아남는 것에 주력해야 한다. * 11조: 사쿠라와 사타냐의 본선 진출이 유력하지만 에리나가 어느 정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12조: 우마루의 1위가 유력하며, 선샤인의 조 편성 운이 전체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에서 크톨리, 메구미, 선도부장도 한국 센터 루비에게는 만만치 않은 상대다. * 13조: 엘프의 진출이 유력한 가운데, 두 남캐인 텐도 테루와 쿠로코 테츠야가 들어가 있다. 과연 둘 중 한 명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 14조: 슈비와 키리토의 진출이 유력하다. 리코는 여캐라는 이점이 있지만 아무래도 작품의 인지도를 생각하면... * 15조: 1~2차 예선 득표 2위인 토르가 유력하며, 리쿠 도라와 아이즈 발렌슈타인의 2위 쟁탈전 구도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 16조: C.C.가 코드기아스 진영에서는 유일하게 3차 예선에 진출했지만, 헤스티아와 비네를 이길 가능성은 희박하다. === 3차 예선 결과 === * 3차 예선에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탈락한 작품 (27개): [[바보걸]], [[게이머즈!/애니메이션|게이머즈!]], [[식극의 소마/애니메이션|식극의 소마 세 번째 접시]], [[히나로지]], [[스트라이크 더 블러드|스트라이크 더 블러드 2기]], [[나이츠 & 매직/애니메이션|나이츠 & 매직]], [[천사의 3P!/애니메이션|천사의 3P!]], [[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애니메이션|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1기)|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Fate/Grand Order -First Order-]], [[제로에서 시작하는 마법의 서/애니메이션|제로에서 시작하는 마법의 서]],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2기)|진격의 거인 2기]], [[여동생만 있으면 돼./애니메이션|여동생만 있으면 돼.]],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 [[이세계 식당(애니메이션 1기)|이세계 식당]], [[내 여자친구가 너무 성실한 처녀 빗치인 건]], [[테일즈 오브 제스티리아 더 크로스]], [[흑집사 Book of Circus]], [[심심한 칠드런]], [[그랑블루 판타지 The Animation]], [[센토루의 고민]], [[극장판 트리니티 세븐: 유구도서관과 연금술소녀]], [[종말에 뭐 하세요? 바쁘세요? 구해 주실 수 있나요?(애니메이션)|종말에 뭐하세요? 바쁘세요? 구해 주실 수 있나요?]], [[아이돌 마스터 SideM/애니메이션|아이돌 마스터 SideM]], [[청의 엑소시스트 도쿄 부정왕편]], [[일곱개의 대죄|Sin 일곱개의 대죄]], [[코드 기아스 망국의 아키토]] * 3차 예선에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본선에 진출한 작품 (7개): [[가브릴 드롭아웃/애니메이션|가브릴 드롭아웃]], [[신데렐라 걸즈 극장|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극장]], [[러브 라이브! 선샤인!!(애니메이션 2기)|러브 라이브! 선샤인!! 2기]],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 [[노 게임 노 라이프 제로]]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 Ⅰ.presage flower]], [[주문은 토끼입니까?/애니메이션#s-3|극장판 주문은 토끼입니까?? ~dear my sister~]] * 3차 예선 최다 득표자: 1위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 (1082표/39.2%), 2위 [[이즈미 사기리]] (1,025표/35.9%), 3위 [[칸나 카무이|칸나]] (1,015표/36.1%) * [[바보걸]]과 [[식극의 소마]],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애니메이션 1기)|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천사의 3P!/애니메이션|천사의 3P!]], [[여동생만 있으면 돼./애니메이션|여동생만 있으면 돼.]]는 대표 3명이 모두 3차 예선에 진출했으나 정작 3차 예선에서 대표 3명이 모두 탈락하고 말았다. 또한 대표 2명이 3차 예선에 진출한 [[게이머즈!/애니메이션|게이머즈!]]는 8조에서 카렌과 아구리가 한 조에 편성되어 팀킬을 맞는 불운을 안고 말았으며, 결국 팀킬의 불운을 극복하지 못하고 3차 예선에서 짐을 싸게 되었다. * 2015년 대회와는 달리 일상물과 배틀물이 강세를 보이는 이번 애캐토에서 상대적으로 고전하고 있는 아이돌 애니 진영에서는 [[신데렐라 걸즈 극장|신데마스]]와 [[러브 라이브! 선샤인!!]]이 천신만고 끝에 지지난~지난 대회에 이어서 '''소속 캐릭터 3명이 모두 본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특히 3차 예선에서 죽음에 조에 편성되어 본선 진출 전망이 불투명했던 선샤인 진영은 3조의 와타나베 요우가 에비나 나나에게 신승을 거뒀고, 14조의 사쿠라우치 리코는 키리토를 상대로 승리하였으며, 12조의 루비도 크톨리와 선도부장을 여유 있게 따돌리고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특히 한센루라 불리는 [[쿠로사와 루비]]는 이번 대회가 첫 본선진출이었는데 동급생인 [[츠시마 요시코]]에 밀려서 1차 예선에서 광탈했던 비극을 딛고 2기에서의 푸쉬와 Aqours 내한 공연 및 성우의 한복 인증샷의 영감을 받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또 [[신데마스]]의 [[아나스타샤]]는 [[타케우치P]]의 부재로 그를 대신하여 첫 본선진출에 성공한다. * 여성향의 강자로 불리우는 [[은혼]]은 [[사카타 긴토키]]를 제외한 [[카구라(은혼)|카구라]]와 [[시무라 신파치]]가 끝내 본선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타 조에서도 여러 남캐들이 모두 탈락하면서 은혼 진영의 유일한 생존자인 긴토키는 [[리쿠 도라]]와 더불어 본선에 진출하게 되어 마성의 남자에 도전하게 되었다. 여성향이 짙은 [[코믹월드]]에서도 10년이 넘은 오래된 만화인데도 2000년대생들에게도 인기가 있어서 코스어들과 동인지가 많아보이는 [[은혼]] 및 긴토키지만, 여캐들의 강세와 19세 이상 시청가 애니메이션이 우승한 적이 없다는 징크스 속에서 힘겨운 싸움이 예고되고 있다. * [[주문은 토끼입니까?/애니메이션#s-3|극장판 주문은 토끼입니까?? ~dear my sister~]] 진영은 예상대로 3명 모두 본선진출에 성공하였다. 이로서 토끼팬들의 염원에 따라 최대 우승까지 넘보게 될 수 있는 편. * 야심차게 준비한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더빙판 케모노 프렌즈]]도 3명 모두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애니타운 예선에도 못들어간 굴욕을 만회할 기회가 왔다. * 2000년대 중후반을 풍미하며 10년만에 부흥을 꿈꾸려 했던 [[코드 기어스]]는 최후의 보루인 [[C.C.(코드 기아스)|C.C]]마저 본선진출에 실패하면서 허무하게 애캐토를 떠났다. 2000년대에 태어난 청소년들에게 그들이 갓난아기적에 나왔던 애니메이션인지라 이들에게는 당연히 이해하기 어려운 애니였고 방영 전성기만 했어도 이들이 아주 어린 애들이라 직접보기에 매우 잔혹하고 위험하다는 점, 주 시청자층 및 팬이었던 80년대 후반 및 90년대생들 대부분도 성인이 되어서 탈덕하거나 코드 기어스에서 관심이 멀어지게 되면서 생긴 결과였다. 득표 수에서도 두 자리를 넘지 못했지만 꼴찌는 면한 셈. * 지난 대회 및 역대 애캐토에서도 본선진출을 했던 캐릭터들 일부가 이번에는 본선진출을 하지 못하는 이변이 생겼다. [[식극의 소마]] 진영은 지난 대회에서는 3명 모두 본선진출에 성공했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3명 모두 본선진출에 실패하였으며 지난 2015년 대회에서 [[타케우치P]]와 맞섰던 [[아이즈 발렌슈타인]]마저도 이번에는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소아온 진영에서는 아스나 단 한 명만이 본선에 진출했고, 우마루 진영에서도 [[4월은 너의 거짓말/애니메이션|4월은 너의 거짓말]]의 [[미야조노 카오리]]와 대결을 벌였고 캐릭터 위주 단행본도 나왔던 [[에비나 나나]]가 본선진출에 실패해 우마루 한 명만이 본선에 진출했다. 심지어 이야기 시리즈에서도 마성의 남자로 불리웠던 [[아라라기 코요미]]와 지난 대회에 첫 본선진출을 했던 [[하네카와 츠바사]]가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 또다른 마성의 남자 후보로 점쳐졌으며 [[슈비 도라]]에 이어 조 2위로 진출이 유력해보이던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의 [[키리가야 카즈토]]도 [[사쿠라우치 리코]]에게 발목을 잡히며 충격적인 광탈로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한때 자신과 상대했던 페이트 진영의 [[아처(5차)|아처]]도 이미 1차 예선에서 탈락함에 따라 기대를 모았던 이들의 재대결은 무산되었다. * 지난 대회 본선에서 [[타케우치P]]와 대결했던 [[아이즈 발렌슈타인]]은 이번 작품에서 비중이 높게 나왔지만 전작에서 비중이 높으나 이번에는 비중이 낮아진 헤스티아에 밀려서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반면 지난 대회에서 아이즈와 동반진출한 헤스티아는 2회 연속 본선진출에 성공한다. * 3년만에 애캐토에 출전한 소드 아트 온라인의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는 [[칸나 카무이]]를 제치고 3차 예선에서 최다 득표를 얻으며 3회 연속 본선진출에 성공, TOP 10 진입을 노리게 되었다. 1,2차 예선에서 [[칸나 카무이]]가 다득표를 하였으나 3차에서는 아스나에 의해서 칸나가 밀려났다. * 1,2차 예선에서 최다득표를 얻은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의 [[칸나 카무이]]는 3차 예선에서는 아스나와 사기리에 밀려서 최다득표 달성에 실패했으나 무난하게 본선진출하는데는 성공한다. 에로망가 선생의 [[이즈미 사기리]]는 칸나를 따돌리고 아스나 다음으로 다득표 달성에 성공하면서 본선진출을 하였다. * 페이트 진영 중 최초로 [[마토 사쿠라]]가 본선진출에 성공하였다. 토오사카 린과는 천적관계이면서 애캐토에서는 동반진출자이며 1차 예선에서 또다른 천적인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을 무찌르는 이변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32강에 진출한 남자 캐릭터는 긴토키와 리쿠 단 둘 뿐으로, 이는 역대 애캐토 사상 남캐의 본선 최소 진출 기록이다. 이로 인해 애캐토 전통의 홀수년 남캐 우승 징크스는 깨질 가능성이 크다. 조기에 만나지않는한 가장 화력이 높은 칸나와 사기리가 결승에서 붙어 둘 중 한명이 우승할 가능성이 높다. * 전체적으로 애니플러스의 2017년 3분기 방영작이 부진했던 가운데, 3분기와 접점이 있는 작품/캐릭터로는 [[오와리모노가타리]] 후편이 방영된 [[이야기 시리즈]]의 키스샷 단 한 명만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만약 키스샷이 이번 대회에서 우승하게 된다면 2회 이상 출전 캐릭터나 19세 이상 시청가 작품이 우승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깨지고, 반대로 키스샷이 우승하지 못한다면 3분기 방영작만이 애캐토에서 우승할 수 있다는 징크스가 깨지게 된다. [[분류: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