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타코마 레이니어스/로스터)] ---- ||
'''애덤 올러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6번}}}''' || || [[유스메이로 페팃]][br](2018~2021) || {{{+1 →}}} || '''{{{#003831 애덤 올러[br](2022~2023)}}}''' || {{{+1 →}}} || [[스펜서 왓킨스]][br](2023)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슬레틱스올러.jpg|width=100%]]}}} || ||<-2> '''타코마 레이니어스 No.''' || ||<-2> '''{{{+2 애덤 올러}}}[br]Adam Oller''' || || '''본명''' ||애덤 새뮤얼 올러[br]Adam Samuel Oller || ||<|2> '''출생''' ||[[1994년]] [[10월 17일]] ([age(1994-10-17)]세) || ||[[텍사스]] 주 콘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콘코디아 루서런 고등학교 - 루이지애나 노스웨스턴 주립대학교^^(생물학 전공)^^ || || '''신체''' ||193cm / 102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 MLB 신인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 20라운드]] (전체 615번, [[피츠버그 파이리츠|PIT]])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2~2023) ---- [[시드니 블루삭스]] (2020-21) || || '''계약''' ||1yr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damoller,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adamoll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애틀 매리너스]] 산하 마이너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대학 시절엔 선발투수로 뛰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2015 시즌에는 108⅓이닝을 뛰며 이닝 소화 부문에서 학교 역대 2위에 이름을 올렸다. 2016 시즌에는 15경기에서 109⅔이닝을 소화해 ERA 1.23을 찍는 등 에이스로 활약했다. 이와 같은 활약으로 [[2016 MLB 신인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에서 20라운드로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지명받았다. 2018 시즌에는 산하 하이싱글A팀에서 주로 불펜 투수로 출장했으나 58⅔이닝 ERA 6.75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이후 올러는 독립리그로 무대를 옮겨 [[프런티어 리그]]의 윈디시티 선더볼츠에 입단하였고, 4경기에서 27이닝 동안 단 하나의 자책점을 허용하는 호투를 펼친다. 이를 눈여겨 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2019년 5월 마이너 계약을 맺고 싱글A팀에 배정되어 선발 로테이션을 돌았고, 17경기에서 87⅓이닝 ERA 4.02를 마크했다. 시즌 종료 후 열린 [[룰5 드래프트/2019년|2019 룰5 드래프트]]에서 마이너 페이스 전체 16번으로 [[뉴욕 메츠]]에 지명받아 팀을 옮겼다. 2020-21년 겨울에는 [[호주 야구 리그]]에 파견되어 [[시드니 블루삭스]] 소속으로 참가했으나 3경기에서 ERA 10.24로 부진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올러.jpg|width=100%]]}}} || 2021년에는 메츠 산하 AA팀 빙햄튼 럼블포니스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15경기 76이닝 ERA 4.03을 기록했고, 시즌 중반 AAA팀 시라큐스 메츠로 승격되었다. 여기서 8경기 ERA 2.45로 호투를 펼쳤고, 시즌 종료 후 처음으로 40인 로스터에 포함되는 쾌거를 누렸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클랜드올러.png |width=100%]]}}} || 2022년 3월 12일, J.T. 긴과 함께 [[크리스 배싯]]을 상대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2022 시즌 ==== 오클랜드 이적 후에는 트레이드로 떠난 [[크리스 배싯]], 부상으로 자리를 비운 [[제임스 카프렐리안]]의 빈자리를 두고 [[달튼 제프리스]], [[브렌트 허니웰 주니어]] 등과 경쟁할 확률이 높다. 3월 23일 [[시카고 컵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등판하였다. 1회 [[닉 마드리갈]] - [[제이슨 헤이워드]] - [[윌슨 콘트레라스]]에게 삼진 두 개 포함 삼자범퇴 이닝을 이끌어냈다. 2회에는 볼넷과 2루타로 무사 2,3루의 위기를 맞았고, 이후 [[니코 호너]]의 적시타가 나오며 1실점했다. 이후 [[브레넌 데이비스]]에게 병살을 유도하며 이닝을 정리했다. 3회 마운드를 [[커비 스니드]]에게 넘겼다. 최종적으로 2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3월 29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경기에서 [[저스틴 그림]]의 뒤를 이어 6회 등판하였다. 1사 이후 [[맷 더피]]에게 2루타를 맞았고, 후속타자 [[맷 타이스]]를 뜬공 처리했으나 [[테일러 워드]]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며 실점했다. 이후 [[조 아델]]을 중견수 뜬공으로 돌려세우며 이닝을 끝냈다. 7회에도 마운드에 올라왔으나 아웃카운트 한 개를 잡는 동안 2루타 두 개에 이어 [[앤드루 벨라스케스]]에게 투런 홈런을 허용하며 무너졌다. 결국 1⅓이닝 4실점을 기록하고 [[샘 셀먼]]으로 교체되었다. ERA는 13.50이 되었다. 시범경기에서는 부진했으나 현장 평이 좋았는지, 4월 1일 [[마크 캇세이]] 감독이 올러가 개막 로스터에 승선할 것임을 발표했다. 4월 24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홈 경기에서도 계속해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5이닝 88구 5피안타 2피홈런 5자책을 기록했고, 그대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참고로 이날 상대팀 선발이었던 [[글렌 오토]]와는 고등학교 선후배 사이로, 깊은 친분을 맺고 있다고 한다. 5월 1일 [[제임스 카프렐리안]]이 복귀하면서 옵션되었다. 5월 14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더블헤더 2차전 선발투수로 낙점되며 콜업되었으나 5이닝 6피안타 3볼넷 2홈런 8자책으로 여지없이 탈탈 털리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ERA는 12.27로 상승했다. ==== 2023 시즌 ==== 9경기에 등판해 1승 1패 19⅔이닝 ERA 10.07 WHIP 2.085 fWAR -0.5 bWAR -1.0으로 부진한 뒤 7월 12일 웨이버 클레임을 통해 [[시애틀 매리너스]]로 이적했다. 시즌 후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덤올러포심패스트볼.gif|width=100%]]}}} || || '''포심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덤올러슬러브.gif|width=100%]]}}} || || '''슬러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덤올러컷패스트볼.gif|width=100%]]}}} || || '''컷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덤올러체인지업.gif|width=100%]]}}} || || '''체인지업''' || 패스트볼은 평균 92~94마일에 머물며, 최고 96마일까지 나온다. 컨트롤이 좋아 스트라이크 존에 꽂아넣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80마일 중반대에서 형성되는 슬라이더는 우타자를 상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써드피치로는 80마일 중반대의 체인지업을 구사하며, 이는 2020~21년 메츠에서 갈고닦은 구종이라고 한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애덤 올러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19 || 2 || 8 || 0 || 1 || 74⅓ || 6.30 || 82 || 17 || 39 || 2 || 46 || 1.628 || 59 || -1.1 || -1.0 || || 2023 || 9 || 1 || 1 || 0 || 0 || 19⅔ || 10.07 || 29 || 5 || 12 || 1 || 13 || 2.085 || 41 || -0.5 || -1.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28 || 3 || 9 || 0 || 1 || 94 || 7.09 || 111 || 22 || 51 || 3 || 59 || 1.723 || 54 || -1.6 || -1.9 || == 여담 == * 형 조시 올러도 야구선수였는데, 같은 대학의 투수로 2014~15시즌 활약하였다. 프로에 진출하지는 못하였다. * 삼촌 그렉 코치 (Greg Koch)는 미식축구 선수였으며, NFL 통산 159경기에 출전했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콘로(텍사스)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