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애드포스트}}}[br]AdPost'''}}} || || '''설립''' ||2009년 6월 30일 || || '''운영사''' ||[[네이버(기업)|네이버 주식회사]]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공식 홈페이지''' ||[[https://adpost.naver.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애드포스트(AdPost)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네이버]] 미디어 3종[*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 밴드]]]을 광고 매체로 사용하여 수익을 발생할 수 있는 창작 보상 플랫폼이다. == 상세 == [[구글 애드센스]]처럼 자신이 운영하는 미디어에 광고를 게재하고 이에 대한 수익금을 [[네이버(기업)|네이버]]와 사용자가 나눠 갖는 방식이다. 2012년 6월부터 네이버가 아닌 외부 매체의 모바일 미디어에도 광고를 게재할 수 있었으나 2015년 5월부터는 지원이 종료되었고 2019년 9월부터 [[네이버 포스트]]와 [[네이버 밴드]]에도 광고를 게재할 수 있게 되어 네이버 미디어 3종 전용 광고 수익 분배 플랫폼이 되었다. == 역사 == 2009년 6월 30일 애드포스트 [[베타 서비스]]가 오픈되었다. 네이버 2008 [[파워 블로거]]에게 서비스가 우선 제공되었으며, 6월 30일부터 7월 13일까지 신청을 받아 총 1,000명의 네이버 블로거에게 7월 17일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베타 테스트를 운영했다. 2010년 3월 31일에는 애드포스트 회원 가입이 네이버 전체 블로그에 오픈되었다. 만 20세 이상의 '''개인''' 사용자라면 누구나 가입을 신청하고 일정한 가입 기준[* 블로그 운영 기간, 지난달의 월 방문자수(UV) 및 페이지뷰(PV), 전체 공개 포스트 개수]을 충족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1월 26일부터는 개인 사업자와 영리법인에게도 서비스 이용 자격을 부여하였다. 본래 개인 사용자도 개인 사업자로 전환할 수 있도록 했다. 2012년 6월 12일부터 [[네이버 블로그]]뿐만 아니라 외부 매체의 모바일 미디어(모바일 웹 또는 앱)에도 광고를 게재할 수 있게 되었으나, 3년 뒤인 2015년 4월 30일자로 네이버 모바일배너 서비스가 종료됨에 따라 외부 매체의 모바일 미디어에서는 광고를 게재할 수 없게 되었다. 2013년 1월 10일부터는 모바일 네이버 블로그(m.blog.naver.com)에도 광고를 게재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의 'PC 환경'은 해당되지 않는다. 2013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민법상 성년 기준이 만 20세에서 만 19세로 낮아짐에 따라 애드포스트 가입 연령 기준도 만 19세 이상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9월 24일에는 [[네이버 밴드]] 페이지와 [[네이버 포스트]]에도 광고를 게재할 수 있게 되었다. == 유사 서비스 == === 운영 중인 서비스 === *[[구글 애드센스]] : 2003년 6월 18일에 [[구글]]이 발표해 운영 중인 서비스이다. *[[카카오애드핏]] : 2019년 11월 11일부터 시작된 [[카카오(기업)|카카오]]의 서비스이다. === 종료된 서비스 === *[[애드클릭스]] : 2010년 7월 1일 서비스를 종료한 [[다음]]의 광고 프로그램이다. [[다음 블로그]]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었으며 국내 서비스이기 때문에 수익을 원화로 지급한다. *다음 애드핏: 2020년 8월 6일 서비스가 종료되어, 2019년 11월 11일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애드핏]]으로 이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네이버의 서비스)] [[분류:네이버(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