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22 포뮬러 원 팀 차량)] ||[[파일:3DD87AE4-F523-4BE5-ACD4-2C6B6BF7F817.jpg|width=100%]]|| [목차] == 개요 == ||[[파일:AMR22.jpg|width=100%]]|| [[애스턴 마틴]] AMR22은 [[애스턴 마틴 아람코 카그너전트 포뮬러 원 팀]]이 포뮬러 1 2022시즌 규정에 맞춰 제작한 차량이다. 규정이 대격변급으로 바뀌는 시즌인지라 레드불을 비롯한 많은 팀들이 세부 디테일을 가린 채 쇼카에 리버리만 씌운 차량을 공개하는 데 반해 애스턴 마틴은 처음부터 완성차를 가져와 공개 다음날부터 실버스톤 서킷에서 롤아웃을 진행하며 여러모로 신경쓴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R 사우디아라비아 GP가 종료된 시점에서, 충격적이게도 그 어떤 포인트도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기본적인 섀시나 에어로 문제를 넘어 올 시즌 삐걱거리는 메르세데스산 파워 유닛 자체에도 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 현재까지는 순위권 경쟁에 있어 어떤 펀치력도 보여주지 못하는 모습이다. 때문인지 매번 자신의 차에 애칭을 붙이던 페텔이 이번만큼은 --구리다고-- 애칭을 붙이지 않았다. == 여담 == --드디어-- BWT가 스폰서를 이탈하고 아람코가 신규로 들어와 분홍색 포인트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AMR의 상징인 라임그린이 들어갔다. || [[파일:2CBB26B4-DB7B-4D7A-A0CD-572DC15BAFB2.jpg|width=100%]] || [[파일:7B1DFEC6-DEB5-4AF6-AF35-7AD50C36DB68.jpg|width=100%]] || || [* 시즌 중 프랑스 GP를 앞두고 애스턴 마틴의 첫 그랑프리 참가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프런트 윙의 로고를 그 당시의 오리지널 로고로 바꿔서 참가하였다.] || [* 같은 프랑스 GP에서, 애스턴 마틴의 18살 신인 견습생이던 제이크 패들리(Jake Pedely)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나자 그를 추모하기 위해 이름을 기리는 문구를 부착하였다.] || [[파일:8CEC71DE-ED0D-465A-AB68-B8ECBBEBD093.jpg|width=300]] * 이탈리아 GP를 앞두고 [[엘리자베스 여왕]]이 향년 96세로 타계하여 기념하기 위해 헌사 문구를 부착하였다. ||[[파일:1161A16D-461C-4E70-92AD-8270A8B60B07.jpg|width=100%]]||[[파일:66E9B600-CECD-462A-AB09-BE50808C5560.png|width=100%]]|| * 폐막전 아부다비 GP를 마지막으로 F1을 은퇴하는 [[제바스티안 페텔]]을 기념하면서 헤일로와 프론트 윙에 DANKE SEB 데칼을 부착하였으며 그에 대한 감사함을 표시하였다. == 제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93135 45%, #2E4D4D 55%, #2E4D4D 69%, #4A928E)" Aston Martin AMR22}}} || || 차급 || [[포뮬러 1]] || || 컨스트럭터 || [[애스턴 마틴 아람코 카그너전트 포뮬러 원 팀]] || || 이전 모델 || [[애스턴 마틴 AMR21]] || || 후속 모델 || [[애스턴 마틴 AMR2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93135 45%, #2E4D4D 55%, #2E4D4D 69%, #4A928E)" 기술 제원}}} || || 엔진 || [[메르세데스 AMG HPP|메르세데스-AMG]] F1 M13 E 퍼포먼스 || || 하이브리드 시스템 || [[메르세데스-AMG]] 전기 모터 || || 변속기 || [[메르세데스]] 8단 변속기 || || 공차 중량 || 795kg || || 전폭 || 2000mm || || 연료 || [[페트로나스]] E10 || || 타이어 || [[피렐리]] P 제로(슬릭), 신투라토(트레드) || || 휠 || [[BBS Kraftfahrzeugtechnik|BBS]] || || 전륜 서스펜션 || [[카본 파이버]] 위시본 & 내부 토션 바 및 댐퍼 시스템 기반 푸시 로드 서스펜션 || || 후륜 서스펜션 || [[카본 파이버]] 위시본 & 내부 토션 바 및 댐퍼 시스템 기반 풀 로드 서스펜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93135 45%, #2E4D4D 55%, #2E4D4D 69%, #4A928E)" 경기 기록}}} || || 운용 팀 || [[애스턴 마틴 아람코 카그너전트 포뮬러 원 팀]] || || 드라이버 || 5.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제바스티안 페텔]][br] 18.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랜스 스트롤]][br] 27.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니코 휠켄베르크]] || || 데뷔 || 2022 [[바레인]] [[그랑프리|GP]] || || 경기 수 || 18회 || || 우승 || 0회 || || 포디움 || 0회 || || 폴 포지션 || 0회 || || 패스티스트 랩 || 0회 || || 컨스트럭터 순위 || 7위 || || 드라이버 종합 우승 || 0회 || == 성적 == ||<:><#000000> '''{{{#ffffff 번호}}}''' ||<:><#000000> '''{{{#ffffff 드라이버}}}''' ||<:><#000000> '''{{{#ffffff 점수}}}''' ||<:><#000000> '''{{{#ffffff 총점}}}''' || || '''{{{#fff 5}}}'''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제바스티안 페텔]][* 코로나 19 확진으로 1~2R 불참] || '''32''' ||<|3> '''45''' || || '''{{{#fff 18}}}''' ||[[파일:캐나다 국기.svg|height=24]] [[랜스 스트롤]] || '''13''' || || '''{{{#fff 27}}}''' ||[[파일:독일 국기.svg|height=24]] [[니코 휠켄베르크]][* 코로나에 확진된 페텔을 대신하여 1~2R 대타 출전] || '''0''' || == 둘러보기 == [Include(틀:애스턴 마틴의 레이스카)] [각주] [[분류:레이스카]][[분류:애스턴 마틴/생산차량]][[분류:포뮬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