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2 愛欲のプリズナー}}}'''[br](Prisoner of Love and Desire)[br](애욕의 Prisoner)}}} || || '''가수''' || [[카가미네 린·렌]] || || '''작곡가''' ||<|2> [[히토시즈쿠P]] x [[야마△]] || || '''작사가''' || || '''일러스트레이터''' || [ruby(鈴ノ助, ruby=스즈노스케)] || || '''페이지''' || [[http://www.nicovideo.jp/watch/sm2594376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KVLZH3Mbeb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 2015년 4월 3일 ||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게 사랑 받은 자는 【저주 받아】 죽어버린다 하네? [* 원문: 君に愛された者は【呪われ】て死んでしまうらしい?] >---- > ''― 작가의 코멘트'' 애욕의 Prisoner(愛欲のプリズナー)는 [[히토시즈쿠P]]가 2015년 4월 3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카가미네 린·렌]][* 메인 보컬은 렌, 서브 보컬은 린]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장르 [[일렉트로 스윙]]. 듀엣이지만 대부분 렌 시점에서 노래하며 중앙에 고조되는 부분에선 합창, 마지막에 여자의 말이 나오는 부분만 린이 단독으로 부른다. 보컬로이드 전당에 입성했고 앨범 Shape of lovE와 Shuffle!!2에 수록되었다. == 스토리 == [include(틀:스포일러)] [[카가미네 린|저주 받은 여자]]에 대한 이야기로 여자가 좋아하는 남자는 모두 "저주 받아" 죽는다. 그 때마다 여자는 관 위에 엎드려 울고 [[카가미네 렌|왕자]]가 나타나 위로해주며 흰 튤립을 건넨다. 여자가 다른 남자와 사랑에 빠질 때마다 이 상황이 반복된다. 노래 중간중간에 흰 튤립의 색이 반전되어 검게 변할 때가 있다. 어느 날, 왕자는 여자가 새로운 애인과 함께 있는 것을 본다. 후에 여자의 애인을 낫으로 죽이면서 여자가 저주 받은 것이 아니라 왕자가 여자가 사랑에 빠질 때마다 여자의 애인을 다 죽인 것으로 밝혀진다. 또한 왕자는 이 사실을 숨김으로써 여자가 실연을 겪을 때마다 찾아오게 하며 위로했다. 그러나 어느날 여자는 왕자가 살인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말고 왕자는 그의 저주를 없애달라고 부탁한다. 여자는 왕자가 여자의 애인을 죽일 때 쓰던 낫으로 왕자를 죽인다. 끝에 호사스러운 관 앞에서 여자는 붉은 튤립을 손에 들고는 [ruby(왕녀가, ruby=내가)] 사랑한 [ruby(왕자는, ruby=사람은)] 저주 받아서 죽었다며 웃는다. 마지막에 여자가 "[[카가미네 린|왕녀]]가 사랑한 [[카가미네 렌|왕자]]가 저주 받아 죽었다"는 말 때문에 여자와 왕자가 남매였다는 추측이 많았는데 Shape of lovE에 수록되었을 때 명제가 [[근친상간|근친애]]x[망집(망상을 버리지 못하고 집착하다)]=?[* 원문: 命題:近親愛×妄執=?]로 밝혀져 가족으로 확실시 되었다. [[튤립#s-2|튤립의 꽃말]]로 인물의 감정이나 생각을 상징한 듯하다. 왕자가 여자에게 건네는 튤립은 흰색, 코러스에서 흰색 튤립이 검은색 튤립으로 바뀌고, 마지막 여자가 들고 있는 튤립의 색은 붉은색이다. [* 흰색 튤립의 꽃말은 실연, 용서, 사과이고 검은 튤립의 꽃말은 당신을 저주합니다, 그리고 붉은 튤립은 사랑의 고백(영원한 사랑)이다.] 흰색 튤립의 꽃말인 실연은 여자가 애인을 잃은 것과 동시에 왕자가 겪은 실연, 검은 튤립은 왕자가 여자의 애인을 죽여 저주로 만든 것, 그리고 붉은 튤립은 사실 여자가 왕자를 사랑하는 것을 상징한다. == 영상 == ||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ffffff 니코니코 동화}}}''' || || [nicovideo(sm25943769, width=640, height=360)] || || '''애욕의 Prisoner 【카가미네 린・렌 feat. 히토시즈쿠 x 야마△ x 스즈노스케】'''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ffffff 유튜브}}}''' || || [youtube(KVLZH3Mbebs, width=640, height=360)] || || '''【카가미네 린・렌】 애욕의 Prisoner 【오리지널】''' || == 가사 == || '''{{{#ffffff,#191919 카가미네 린}}}''' || '''카가미네 렌''' || '''{{{#ffffff 합창}}}''' || ||<-2> {{{#ffffff,#191919 廻る運命論のその先で 僕と一緒に踊ろうよ}}} || ||<-2> 마와루 운메이론노 소노 사키데 보쿠토 잇쇼 니 오도로우요 || ||<-2> 도는 운명론의 그 끝에서 나와 함께 춤추자 || ||<-2> {{{#ffffff 狂った愛に囚われた 愛欲のプリズナー}}} || ||<-2> {{{#000000 쿠룻타 아이니 토라와레타 아이요쿠노 푸리즈나-}}} || ||<-2> {{{#000000 미친 사랑에 붙잡힌 애욕의 Prisoner}}} || ||<-2> || ||<-2> {{{#ffffff 豪奢な棺の前で【不幸】な女が泣いてる}}} || ||<-2> 고우샤나 히츠기노 마에데 후쿠우나 온나가 나이테루 || ||<-2> 호사스러운 관 앞에서 【불행】한 여자가 울고 있어 || ||<-2> {{{#ffffff 君に愛された者は【呪われ】て死んでしまうらしい?}}} || ||<-2> 키미니 아이사레타 모노와 노로와레테 신데시마우 라시이 || ||<-2> 네게 사랑 받은 자는 【저주 받아】 죽어버린다 하네? || ||<-2> {{{#ffffff さめざめと嘆く君の か細いその手を取って}}} || ||<-2> 사메자메토 나게쿠 키미노 카호소이 소노 테오 톳테 || ||<-2> 하염없이 울며 한탄하는 네 가냘픈 손을 잡고 || ||<-2> {{{#ffffff 優しい[ruby(王子, ruby=僕)]が慰めよう}}} || ||<-2> 야사시이 보쿠가 나구메사요우 || ||<-2> 다정한 [ruby(왕자가, ruby=내가)] 위로해주자 || || {{{#ffffff 忘れたいの?}}} || {{{#ffffff そう......なら、もっと強請りなよ}}} || || {{{#000000 와스레타이노}}} || 소우...... 나라 못토 네다리나요 || || {{{#000000 잊고 싶니?}}} || 그렇......다면 더욱 보채라니까? || ||<-2> {{{#ffffff 背徳の哀に溺れて......}}} || ||<-2> {{{#000000 하이토쿠노 아이니 오보레테......}}} || ||<-2> {{{#000000 배덕의 슬픔에 빠져서......}}} || ||<-2> || ||<-2> {{{#ffffff 廻れ 運命論の、その先で 欲の髄まで貪って}}} || ||<-2> {{{#000000 마와레 운메이론노 소노 사키데 요쿠노 즈이마데 무사봇테}}} || ||<-2> {{{#000000 돌아라 운명론의 그 끝에서 욕심의 골수까지 탐하여서}}} || ||<-2> {{{#ffffff 狂った愛の牢獄に繋がれて 踊ろう ぐるぐる}}} || ||<-2> {{{#000000 쿠룻타 아이노 로우고쿠니 츠나가레테 오도로우 구루구루}}} || ||<-2> {{{#000000 미친 사랑의 감옥에서 이어져서 춤추자 빙글빙글}}} || ||<-2> {{{#ffffff 代替愛で埋めていく その心は傷だらけ}}} || ||<-2> {{{#000000 다이타이 아이데 우메테이쿠 소노 코코로와 키즈다라케}}} || ||<-2> {{{#000000 대체하는 사랑으로 메워지는 그 마음은 상처투성이}}} || ||<-2> {{{#ffffff どうやったって満たされない 愛欲のプリズナー}}} || ||<-2> {{{#000000 도우 얏탓테 미타사레나이 아이요쿠노 푸리즈나-}}} || ||<-2> {{{#000000 어찌해도 가득 차지 않는 애욕의 Prisoner}}} || ||<-2> || ||<-2> {{{#ffffff 名声、地位、富、容姿と すべてを手に入れた[ruby(王子, ruby=僕)]は}}} || ||<-2> 메이세이 치이 토미 요우시토 스베테오 테니 이레타 보쿠와 || ||<-2> 명성, 지위, 부, 외모와 모든 것을 얻은 [ruby(왕자, ruby=나)]는 || ||<-2> {{{#ffffff 本当に望む願いだけ 叶わない【呪い】にかかる}}} || ||<-2> 혼토우니 노조무 네가이 다케 카나와나이 노로이니 카카루 || ||<-2> 진정으로 바라는 소원만이 이뤄지지 않는 【저주】에 걸려 || ||<-2> {{{#ffffff 今宵も 棺が増えて 君の泣き声が響く}}} || ||<-2> 코요이모 히츠기가 후에테 키미노 나키고에가 히비쿠 || ||<-2> 오늘 밤도 관이 늘어서 네 우는 소리는 메아리쳐 || ||<-2> {{{#ffffff 増えすぎて、もう 誰が誰なんだい?}}} || ||<-2> 후에 스기테 모우 다레가 다레 난다이 || ||<-2> 너무 늘어서 이제 누가 누구지? || || {{{#ffffff 繰り返される}}} || {{{#ffffff 【不幸】な愛の喪失は}}} || || {{{#000000 쿠리 카에사레루}}} || 후쿠우나 아이노 소우시츠와 || || {{{#000000 되풀이되는}}} || 【불행】한 사랑의 상실은 || ||<-2> {{{#ffffff 【必然】の君の運命?}}} || ||<-2> {{{#000000 히츠젠노 키미노 사다메}}} || ||<-2> {{{#000000 【필연】적인 네 운명?}}} || ||<-2> || ||<-2> {{{#ffffff 廻れ 運命論の、その先で 欲の髄まで貪って}}} || ||<-2> {{{#000000 마와레 운메이론노 소노 사키데 요쿠노 즈이마데 무사봇테}}} || ||<-2> {{{#000000 돌아라 운명론의 그 끝에서 욕심의 골수까지 탐하여서}}} || ||<-2> {{{#ffffff 狂った愛の牢獄に繋がれて 歌おう 縷々縷々}}} || ||<-2> {{{#000000 쿠룻타 아이노 로우고쿠니 츠나가레테 우타오우 루루루루}}} || ||<-2> {{{#000000 미친 사랑의 감옥에서 이어져서 노래하자 계속계속}}} || ||<-2> {{{#ffffff 代替愛で埋めていく その傷口 舐め合えば}}} || ||<-2> {{{#000000 다이타이 아이데 우메테이쿠 소노 키즈구치 나메 아에바}}} || ||<-2> {{{#000000 대체하는 사랑으로 메워지는 그 상처를 함께 핥으면}}} || ||<-2> {{{#ffffff 嗚呼、ちょっとは満たされた? 愛欲のプリズナー}}} || ||<-2> {{{#000000 아아 춋토와 미타사레타 아이요쿠노 프리즈나-}}} || ||<-2> {{{#000000 아, 조금은 채워졌니? 애욕의 Prisoner}}} || ||<-2> || ||<-2> {{{#ffffff 君が恋をする度に 愛した男は死んでいく}}} || ||<-2> {{{#000000 키미가 코이오 스루다비니 아이시타 오토코와 신데이쿠}}} || ||<-2> {{{#000000 네가 사랑할 때마다 사랑한 남자는 죽어가}}} || ||<-2> {{{#ffffff 嗚呼、かわいそうに、嗚呼、かわいそうに...... 僕が慰めるから......}}} || ||<-2> {{{#000000 아아, 카와이소우니, 아아, 카와이소우니...... 보쿠가 나구사메루카라......}}} || ||<-2> {{{#000000 아, 가엾게도, 아, 가엾게도...... 내가 위로해줄 테니까......}}} || ||<-2> {{{#ffffff でも何故なの? 何度泣いても 君は【次】を求める......}}} || ||<-2> {{{#000000 데모 나제나노 난도 나이테모 키미와 츠기오 모토메루......}}} || ||<-2> {{{#000000 하지만 어째서? 몇 번을 울어도 너는 【다음】을 원해......}}} || ||<-2> {{{#ffffff 何故、こうまで罪深い......? そろそろ、いい加減}}} || ||<-2> {{{#000000 나제 코우 마데 츠미부카이......? 소로소로, 이이카겐}}} || ||<-2> {{{#000000 어째서 이렇게까지 죄가 무겁지......? 슬슬 적당히 해}}} || ||<-2> {{{#ffffff もう諦めたら?}}} || ||<-2> {{{#000000 모우 아키라메타라}}} || ||<-2> {{{#000000 이젠 포기하지 그래?}}} || ||<-2> || ||<-2> {{{#ffffff 廻る運命論の、その先で 僕と一緒に踊ろうよ}}} || ||<-2> 마와루 운메이론노 소노 사키테 보쿠토 잇쇼니 오도로우요 || ||<-2> 도는 운명론의 그 끝에서 나와 함께 춤추자 || ||<-2> {{{#ffffff 望んだって叶わないさ 君が待つハッピーエンドは}}} || ||<-2> 노존닷테 카나와나이사 키미가 마츠 핫피- 엔도와|| ||<-2> 바란들 이뤄지지 않아 네가 기다리는 해피엔드는 || ||<-2> {{{#ffffff ねぇねぇ もう気付いてるかな? 作られた【不幸】}}} || ||<-2> 네-네- 모우 키즈이 테루카나 츠쿠라레타 후쿠시아와세 || ||<-2> 저기 말이야 이제 눈치채고 있으려나? 만들어진 【불행】 || ||<-2> {{{#ffffff 嗚呼、【誰】がそんなことを......?}}} || ||<-2> 아아 다레가 손나 코토오......? || ||<-2> 아, 누가 그런 짓을......? || ||<-2> {{{#ffffff ......いやいや、【呪い】のせいだよね?}}} || ||<-2> ......이야 이야 노로이노 세이다요네?[* '''이 부분만 순간적으로 목소리가 굵어진다.'''] || ||<-2> ......아니 아니, 【저주】 때문이지? || ||<-2> || ||<-2> {{{#ffffff 今日も 運命論を振りかざし 僕の手は赤く染まる}}} || ||<-2> {{{#000000 쿄우모 운메이론오 후리카자시 보쿠노 테와 아카쿠 소마루}}} || ||<-2> {{{#000000 오늘도 운명론을 내세워서 내 손을 붉게 물들어}}} || ||<-2> {{{#ffffff 狂った哀の牢獄に繋がれる為の 【罪】作り}}} || ||<-2> {{{#000000 쿠룻타 아이노 로우고쿠니 츠나가레루 타메노 츠메 츠쿠리}}} || ||<-2> {{{#000000 미친 슬픔의 감옥에서 이어지기 위한 【죄】 만들기}}} || ||<-2> {{{#ffffff ない、ない、僕は心無し? 傷だらけのパラノイア?}}} || ||<-2> {{{#000000 나이 나이 보쿠와 코코로나시 키즈다라케노 파라노이아?}}} || ||<-2> {{{#000000 없어, 없어, 내 기분 탓? 상처투성이의 파라노이아?}}} || ||<-2> {{{#ffffff さあ、【呪い】を解くのなら 早く......その手で、終わらせて......}}} || ||<-2> {{{#000000 사아 노로이오 토쿠노 나라 하야쿠...... 소노 테데 오와라세테......}}} || ||<-2> {{{#000000 자, 【저주】를 푼다면 얼른...... 그 손으로 끝내줘......}}} || ||<-2> {{{#ffffff 君の、手で......早く......}}} || ||<-2> {{{#000000 키미노 테데...... 하야쿠......}}} || ||<-2> {{{#000000 네 손으로...... 얼른......}}} || ||<-2> {{{#ffffff さあ、さあ、さあ、嗚呼......}}} || ||<-2> {{{#000000 사아 사아 사아 아아......}}} || ||<-2> {{{#000000 자, 자, 자, 아......}}} || ||<-2> || ||<-2> {{{#ffffff 豪奢な棺の前で【幸せ】な女が笑う}}} || ||<-2> 고우샤니 히즈기노 마에데 시아와세나 온나가 와라우 || ||<-2> 호사스러운 관 앞에서 【행복】한 여자가 웃어 || ||<-2> {{{#ffffff [ruby(王女, ruby=私)]が愛した[ruby(王子, ruby=人)]は}}} || ||<-2> 와타시가 아이시타 히토와 || ||<-2> [ruby(왕녀가, ruby=내가)] 사랑한 [ruby(왕자는, ruby=사람은)] || ||<-2> {{{#ffffff 【呪われ】て死んでしまうらしい♡}}} || ||<-2> 노로와레테 신데시마우라시이 || ||<-2> 【저주 받아서】 죽는다해♡ || [[https://rajcsd2410.tistory.com/1461|가사 출처]]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5년]][[분류:VOCALOID 전당입성]][[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