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식투자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0719_popup.jpg|width=100%]]}}}|| || 액면분할 공고 || {{{+1 額面分割 / Stock split }}} [[주식회사]] 자본금 [[증자(경제)|증자]]없이 기존 주식의 [[액면가]]를 떨어뜨려서 총 [[주식]]수를 늘리는 것. 예를 들면,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을 500원짜리 주식으로 분할함으로써 주식 수를 10배로 늘리는 것을 일컫는다. 반댓말로는 [[액면병합]]이 있다. == 상세 == === 한국의 경우 === 액면분할은 실제 증자를 해서 주식 수를 늘리기는 어렵고, 그렇다고 현재의 주가가 너무 높아서 거래가 활발하지 못하는 진퇴양난의 상황일 때 선택한다. [[2000년]] [[SK텔레콤]] 주가가 '''500만원'''에 이르자 액면분할을 선택하여 주가를 1/10로 떨어뜨리고 주식 수를 늘려서 거래를 촉진하기 시작한 이후로 주로 [[코스닥]]시장 쪽에서 액면분할이 활발히 일어났다. 일반적으로 액면분할을 결의하면 거래 활성화와 신규 주주 유입 기대심리로 주가가 오르는 게 보통이었으나, 요즘에는 액면분할로 인한 [[주식]]수 증가를 우려하여 주가가 역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많다. 기업 가치에는 변동이 없고 주식 수만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증자]]와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IT버블]] 시절 [[코스닥]]시장에 불어닥친 액면분할에 이어서 [[유가증권시장]] 쪽에서도 조금씩 액면분할이 늘어나고 있다. [[삼성생명]]이나 [[삼성화재]], [[SK텔레콤]], [[현대글로비스]], [[NHN]], [[엔씨소프트]][* NHN과 엔씨소프트는 [[코스닥]]시절에 액면분할을 하였다.], [[한국타이어]] 등등이 존재하며, [[코스피]]의 거물인 [[삼성전자]]가 [[2018년]] [[5월 4일]] 50:1으로 1주당 250만원에서 1주당 5만원의 액면분할을 완료했다. 또한 [[롯데|롯데지주]]와 [[롯데칠성]], [[아모레퍼시픽]], [[신세계]] 등도 역시 액면분할을 거쳤다. === 미국의 경우 === [[미국]]에서는 주가가 100달러를 돌파하면 액면분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에 들어갈 수 있는 주가의 상한선이 150달러 수준이기 때문. 다우지수는 나스닥 등 다른 지수와 다르게 지수 산출 기준을 시가 총액이 아닌 한 주당 가격으로 선정하기 때문에, 다른 지수들에 비해 한 주의 가격에 좌지우지되는 경향이 강하다. 그 때문에 다우지수는 상한선을 두어 지수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것이다. [[구글]]과 [[아마존닷컴]]이 다우지수에 들어가지 못한 것도 이 이유인데, 이들은 주가가 '''너무 비싸기'''때문이다. 그러나 2022년 6월과 7월을 기점으로 이 두 그룹이 각각 20:1 액면분할을 완료하면서 둘 다 추후 다우지수 편입을 기대해볼 수 있게 되었다. === 일본의 경우 === 한국의 경우는 2012년 상법 개정을 통해 '무액면주식'이 겨우 도입되어 액면주식과 병용되는 상태이지만, 일본의 경우 두 종류가 모두 존재하고 있었다가 2001년에 [[상법]] 개정을 통해 아예 액면주식 자체를 폐지하고 모든 상장기업의 주식은 '무액면주식(無額面株式)'으로 자동 전환되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더이상 '액면분할'이라고 부르지 않으며, 권리를 분할한다는 의미에서 '권면분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주식분할(株式分割)'이라고 하는 것은 편의상 명칭이며 일본의 무액면주식의 분할을 표현하는 것은 권면분할이다. ==== 기록적인 주식분할을 한 기업들 ==== * 2004년 2월 1일 뉴딜 (도쿄증권거래소 마더스) 1000:1 * 2007년 9월 29일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 (도쿄증권거래소 1부) 1000:1 * 2009년 1월 4일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도쿄증권거래소 1부) 1000:1 * 2013년 3월 27일 [[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도쿄증권거래소 자스닥[* 분할 당시, 현재는 1부]) '''10:1''', 6월 30일 '''10:1''', 12월 30일 '''100:1'''[* 1년 사이에 액면가가 '1/1만'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고] == 기타 == 기업 경영을 소재로 삼는 소설에도 꼭 등장한다. 대게 주인공 보정으로 주인공의 기업은 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액면 분할로 주가를 떨어뜨려도 순식간에 원래 주가를 찾는다. [[명품]] 기업들은 액면분할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주당 가격이 높으면 자신들의 럭셔리 이미지가 더욱 굳건해진다고 믿기 때문. [[분류: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