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앤디 위어'''}}}[br]Andy Weir}}}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ndy_weir.jpg|width=100%]]}}} || || {{{#white 출생}}} ||[[1972년]] [[6월 16일]] ([age(1972-06-16)]세)[br][[미국]] [[캘리포니아 주]] [[데이비스]] || || {{{#white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white 학력}}} ||[[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br]{{{-2 ([[컴퓨터공학]]/중퇴)}}} || || {{{#white 직업}}} ||[[소설가]], [[프로그래머]] || || {{{#white 서명}}} ||[[파일:andy_weir_signature.png|bgcolor=#white]]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테미스(소설)|아르테미스]]>, <[[마션(소설)|마션]]>, <[[프로젝트 헤일메리]]> 등의 저서를 낸 [[미국]]의 1972년생 [[SF]] [[소설가]].[* 마션과 아르테미스의 공통점이라면 지구(평소)에서 일어날 만한 일들이 지구가 아니라 우주에서 일어난다는 점이다. [[하드 SF]]를 넘어서 그냥 '근미래 우주가 배경인 소설'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을 정도. 하지만 3번째 장편 [[프로젝트 헤일메리]]에서는 주인공이 영웅이 아닌 평범한 성격인 점은 전작과 같으나 멸망을 앞둔 지구, 외계생명체의 등장 등 스케일이 커졌다.] 평범한 공대생 출신으로 자신의 이상을 소설에 집합시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소설가가 되기 전에는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일했으며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워크래프트 2]] 개발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 활동 == 어느 날 재미있는 소설책이 있나 살펴보던 그는 그만 짜증이 났고 소설책을 찾아보는 것보다 [[내가 해도 이것보단 잘하겠다|자신이 소설을 쓰기로 결심한다.]] 수 년 간 짧은 단편들을 본인의 웹사이트에 올리던 중, 2009년작 단편 [[http://www.galactanet.com/oneoff/theegg_mod.html|'The Egg']]가 주목을 받게 되며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 ||[youtube(q7vVk1k2-IQ)]|| || [[Kurzgesagt]]에 업로드된 《The Egg》의 애니메이션판. || 2009년부터 소설 <[[마션(소설)|마션]]>을 연재하던 중 출판해달라는 요구가 쇄도하자 [[아마존 킨들]] [[E-Book]] 버전을 99센트에 냈는데, 이게 킨들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면서 엄청난 화제를 모으고 책으로 출판되어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에 오르게 되었다. 그리고 끝내 [[리들리 스콧]] 감독에 의해 2015년 영화화되며 위어는 대성공을 거둔 작가가 된다. 2016년에는 [[어스타운딩상|존 W. 캠벨 신인작가상]]을 받았다. ZHEK란 소설도 계획했지만 안 나온다. == 저서 == === [[마션(소설)|마션]] === 그래서 그는 자신이 평소 좋아하던 분야를 접목한 [[SF]] 소설을 써내는데 그것이 [[마션(소설)|마션]]이다. 처음엔 인터넷 게시판에 연재되던 온라인 소설이었으나 인기에 힘입어 완결 후 오프라인 종이책으로 출시되었고, 더 큰 사랑을 받게 된다. [[로빈슨 크루소]]과 같은 생존이야기가 화성에서 일어나는 줄거리이다. [[마션(영화)|영화]]로도 만들어져서 대중들도 잘 아는 이야기가 되었다. === [[아르테미스(소설)|아르테미스]] === 후속작으로는 아르테미스가 있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이다. 도시에서면 충분히 일어날 만한 이야기가 달의 도시(아르테미스)에서 일어난다는 내용이다. 무난한 내용이지만 장소가 우주라서인지 내용이 신선하게 느껴진다. === [[프로젝트 헤일메리]] === 3번째 장편소설. 근미래에 항성의 에너지를 빨아먹으며 번식하는 외계미생물 아스트로파지가 태양에 감염된 때문에 태양이 점차 에너지를 잃게 되어 지구에 영원한 빙하기가 닥쳐올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이 위기를 타개할 방법을 찾기 위해 [[타우 세티]] 항성계로 돌아올 수 없는 여행을 떠난[* 해결책을 찾으면 그 데이터를 실은 무인 우주선만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 우주선 헤일메리 호의 유일한 생존자인 주인공의 노력을 다룬다. 소설 출판때부터 헐리웃에서 판권경쟁이 벌어졌으며, 결국 [[라이언 고슬링]] 주도로 영화화 계획이 잡혔다. === 체셔 크로싱 === 첫번째 [[그래픽 노블]]. 여학생들에게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처하는 법을 가르치는 학교 이야기다. 앤디 위어가 소설을 쓰기 전 작성한 글을 기반으로 사라 앤더슨이 작화를 맡아 타파스에서 연재되었다. 한국어 번역은 [[황석희]]가 맡았다. [[분류:미국의 소설가]][[분류:미국 남성 작가]][[분류:미국의 프로그래머]][[분류:SF 작가]][[분류:1972년 출생]][[분류:데이비스(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UCSD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