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분류:매직 더 개더링]][[분류:유희왕/OCG/룰]] [목차] == 개요 == '''Ante''' 사전적 의미로는 사업 등에 필요해 분담하는 자금을 말한다. 이것에서 파생되어 [[포커]] 등의 [[카드 게임]]에서 참가자가 거는 돈을 뜻하기도 한다. 이것이 돌고 돌아 [[트레이딩 카드 게임]]에서도 퍼져나가 서로 카드를 거는 플레이 방식을 지칭하게 되었다. --[[앤티가 바부다|바보의 룰]]-- == [[포커]] == 베팅 룰의 하나. 이 룰이 적용되면, 모든 플레이어[* 포커 토너먼트의 경우 모두가 앤티를 내는 대신 빅 블라인드 포지션 플레이어만 빅 블라인드만큼 내는 경우도 많다(BB ANTE 룰)] 자신의 패를 받기 전에 기본적으로 정해진 양 만큼의 베팅을 해야만 한다. 돈을 걸지 않은 채 패만 보고 빠져나가는 플레이가 불가능해지고, 승자에게 돌아가는 보상은 그만큼 커지게 되어 앤티 없이 블라인드만 있을 때와 비교하여 플레이어들에게 조금 더 공격적인 플레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칩이 적은 플레이어에게는 한 게임 한 게임마다 빠져나가는 기본 베팅만으로도 허리가 휘어질 지경. 일반적인 블라인드만 내는 게임에 비해 수비적인 플레이보단 다소 공격적인 플레이가 요구된다. 몇 명의 플레이어[* 주로 스몰-빅 까지 2명]에게만 기본 베팅을 강요하는 것은 블라인드(blind)라 부른다. == [[TCG]] == 덱에 포함되어 있는 카드 중 1장을 무작위로 선정, 승자가 그 카드를 소유하는 룰. 실제로 카드의 소유권을 뺏는 것은 [[뿌요뿌요]] 버금...아니 그 이상의 우정파괴 효과를 갖는다. 더구나 학교 및 학부모, 그리고 언론에서 '도박'이라고 인식되어 TCG에 대한 인식을 왜곡시켜 버리기도 했다. 언론의 왜곡보도로 인해 TCG(대표적으로 [[유희왕]])의 인식이 좋지 않은 관계로, TCG 관련 매장에서는 앤티 룰을 엄격히 금하고 있다. 장난으로라도 하면 분위기가 험악해지니 매장에서는 자제하는 게 좋다. 기왕 하고 싶다면, 각자 자신에게 필요없는 카드를 거는게 상책. === [[매직 더 개더링]] === ||
<#fff> {{{#!folding[ 금지 및 제한 목록 ] [include(틀:매직 더 개더링의 금지 제한 카드: 레거시)] [include(틀:매직 더 개더링의 금지 제한 카드: 빈티지)] [include(틀:매직 더 개더링의 금지 제한 카드: 커맨더)]}}} || 덱을 섞고 선을 결정하면, 서로 카드를 드로우하기 전에 서고 맨 위의 카드를 '''[[매직 더 개더링/구역#s-1.6|앤티 존]]'''이라는 별도의 장소에 앞면으로 놓는다. 그리고 게임이 끝나면 앤티 존에 존재하는 카드는 전부 승자의 소유가 된다는 룰. '''처음에는 기본 룰이었다.''' 당연히 뭐가 나올지 모르는 랜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대지 카드가 걸리면 매우 감사하겠지만, 1장에 최소 부스터 몇 팩, 개중에는 빈티지에서나 쓰이는 몇천불씩 하는 카드가 앤티로 걸리면...~~물론 [[듀얼 랜드|아무나 거들떠 '''볼''' 대지 카드]]가 걸린다면 더더욱 [[캐삭빵]]급 더비매치가 될 것이다~~ 원래 [[리처드 가필드]]가 이 룰을 만든 이유는 [[파워 나인]]과 비슷한 면이 있는데 한 사람 당 어차피 카드는 몇 개 안 살거고 덱을 그 카드로 그대로 유지하느니 안티로 얻은 카드로 새로운 덱을 짜고 안티로 뺏긴 카드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덱을 짜는 식으로 놀기 위해서였다. 매직이 미친듯이 성공하면 이게 문제가 되겠지만 그건 그때가서 생각하면 되겠지가 리처드의 생각. 그리고 생각보다 카드에 대한 유저들의 집착~~과 카드 가격~~이 높아 결국 없어지게 된다. 매직이 나온지 얼마 안 된 시점부터 이미, 게임 시작시 자리에 앉자마자 '''노 앤티'''라 말하는게 국룰이었을 정도. 때문에 이 룰은 바로 기본 룰에서 옵션 룰로 빠지게 된다. 매직의 여명기에 나왔던 카드 중에는 앤티와 관련된 카드가 몇 장쯤 있었다. 당연히 앤티 룰을 적용하지 않는 게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거의 모든 카드들의 사용을 허용하고, [[파워 나인|웬만한 개사기 카드들]]도 제한으로나마 쓸 수 있는 [[빈티지(매직 더 개더링)|빈티지]] 포맷에서도 전부 금지되어 있다. 5 Color Intro 정도가 앤티 룰을 차용하는 포맷. 이하는 앤티 룰에서만 쓸 수 있는 카드들. 개중에는 효과가 직접적으로 앤티와 관계없지만, '''카드의 소유자를 영구적으로 변경시키는''' 효과를 지닌 카드들도 여기에 속한다. * 앤티 1장을 더 거는 대신, 1마나로 핸드를 7장까지 채워주는 [[Contract from Below]]. 당연히 [[어둠의 의식]]이 있던 시절이었고, 이렇게 7장을 채우면 보통은 이기니 한 개쯤 더 걸어봤자 (카드를 잃지 않을테니) 의미가 없다! 앤티룰을 인정하는 포맷에서도 얘는 별개로 금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 앤티 1장을 더 거는 대신, 남이 앤티로 걸어 놓은 카드를 따먹을 수 있는 ~~[[다크 팩트]]~~Darkpact. 승패와 관련 없이 비싼 카드만 먹튀할 수 있어 엔티 허용인 경우에도 별개로 금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 양 플레이어의 서고 맨 위의 카드를 또 앤티로 거는 Demonic Attorney * 카드 자신이 앤티로 걸리는 대신 이미 앤티로 걸려 있는 자기 카드를 전부 회수할 수 있는 [[Jeweled Bird]] * 상대에게 라이프 10점을 지불할 것을 강요, 이를 거부하면 상대의 패를 랜덤으로 1장 골라 이 카드 자신과 그 카드의 소유권을 즉시 바꾸는 Tempest Efreet * 이 카드와 상대의 지속물 하나를 추방하고 상대에게 라이프 10점 지불을 강요, 이를 거부할 경우 이 카드와 그 지속물의 소유자를 바꾸는 Bronze Tablet[* 만약 효과 해결시에 이 Bronze Tablet이 그 자리에서 없어져버리면 상대의 지속물만 추방되고, 라이프 지불을 상대가 거부하면 그 지속물만 '''일방적으로''' 자신의 소유가 된다.] * 양 플레이어에게, 서고 맨 위의 카드를 추가로 앤티에 거는 대가로 라이프를 풀 회복할 기회를 주는 [[새생명]] * 상대에게 앤티 1장 더 걸 것을 강요하고 이를 거부하면 '''바로 동전을 던져 게임의 승부를 결정짓는''' [[Amulet of Quoz]] * 역시 상대에게 앤티 1장 더 걸 것을 강요하고 이를 거부하면 이 카드와 목표 마법물체의 소유를 바꾸는 Timmerian Fiends 당연한 이야기지만, 카드 1장 1장이 전략적으로 소중하며 ~~카드들의 가격도 눈돌아가게 비싼데다~~ 카드들의 비율까지도 계산해야 하는 공식 토너먼트에서는 앤티 룰을 사용하지 않는다. === [[유희왕]] === 번역 과정에서 일본식 발음인 '''안티''' 룰로 굳어졌다. [[유희왕]] 원작 및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원래 언급되지 않았지만, 듀얼리스트 킹덤편에서 [[다이노서 류자키]]와 [[죠노우치 카츠야]]가 각각 [[붉은 눈의 흑룡]]과 [[시간의 마술사]]를 걸고 듀얼한 결과 붉은 눈의 흑룡을 죠노우치가 획득했다. 이후 배틀 시티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삼환신]]을 모을 목적으로 듀얼할 때마다 각기 레어 카드를 걸고 안티 룰을 적용하게 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교칙상 금지'''이기 때문에 앤티 룰을 적용한 게임이 발각되면 퇴학당한다고 한다. 작중 [[만죠메 쥰]]이 [[유우키 쥬다이]]와 함께 앤티 룰로 듀얼하다가 주변에 경비가 돌아다니자 [[텐죠인 아스카]]가 말려서 듀얼이 중단되었다.[* 둘의 필드는 비어있었으며 듀얼이 중단된 건 쥬다이의 드로우 페이즈 직후 드로우한 카드는 [[죽은 자의 소생]]이어서 듀얼을 속행했으면 쥬다이의 승리였다. OCG에서 플레임 윙맨을 융합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죽은 자의 소생으로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 [[유희왕 ZEXAL]]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No.(유희왕)|No.]] 카드 소유자들끼리의 듀얼에서 이긴 자는 진 자의 No. 카드의 소유권을 얻게 된다. 이는 현실의 앤티 룰과는 달리 '''No. 카드 자체의 설정'''이며 No. 카드는 특성상 평범한 사람은 가져봤자 좋을 게 없다.[* 갖고 있으면 오히려 '''정신지배'''를 당한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서는 기본적으로 적용되지 않는 룰이지만 초창기에 '''공식 룰로''' 추천한 적이 있었다. 1999년 발행된 STARTER BOX에 부록된 공식 룰북 및 밸류어블 북 1에서 앤티 룰 설명이 나와있는데, 독특한 점은 듀얼 시작 전에 셔플한 덱 맨위의 카드를 뒷면으로 필드 밖에 꺼내놓은 뒤 승자가 2장을 다 가져간다. 이렇게 입수한 카드는 매치 도중에 사용할 수 없으며 카드가 없어져서 대전에 사용할 덱이 40장보다 적어졌을 경우에는 사이드 덱의 카드로 보충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물론 고액의 카드가 걸렸다간 감정 싸움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고 패자는 점점 카드를 뺏기게 되는 구조인 만큼 듀얼을 할 수록 덱의 전력이 손실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박성이 짙은 규칙인 만큼 사회적 문제의 우려가 있었고 결국 2기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룰이 사라져 일체 언급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대전을 즐기려고 하는 게임에 이런 규칙이 있으면 판매량에도 지장이 생길 수밖에 없다.[* 대전에서 이기기 위해 카드를 수집하는 것인데 앤티 룰이 있으면 대전을 회피하게 되고 그럼 카드를 수집할 필요가 없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대신 내기에 걸 상품을 위해 스타칩 사용을 권장하기도 했다. 카드 금전 거래 문제나 사행성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공식 매장 등 OCG/TCG를 즐길 수 있는 매장도 앤티 룰을 금지한다. [[2007년]] 당시 한국 언론에서 앤티 룰을 언급하면서 아이들이 비싼 레어 카드를 걸고 시합을 한다는 식의 [[유희왕]] 카드게임이 사행성이 심하다는 식으로 공격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기도 했다. [[앤티 승부]]는 이 앤티 룰에서 따왔지만, 실제 앤티 룰과는 거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