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앨런 멩컨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음악상|{{{#e5d85c '''음악상'''}}}]] || || '''제61회[br]([[1989년]])''' || {{{+1 → }}} || '''제62회[br]([[1990년]])''' || {{{+1 → }}} || '''제63회[br]([[1991년]])''' || || [[데이브 그루신]][br](반항의 계절) || {{{+1 → }}} || '''앨런 멩컨[br]([[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 {{{+1 → }}} || [[존 배리]][br]([[늑대와 춤을]]) || ||<-5> || || '''제63회[br]([[1991년]])''' || {{{+1 → }}} || '''제64회[br]([[1992년]])''' || {{{+1 → }}} || '''제65회[br]([[1993년]])''' || || [[존 배리]][br]([[늑대와 춤을]]) || {{{+1 → }}} || '''앨런 멩컨[br]([[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 {{{+1 → }}} || 앨런 멩컨[br]([[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 ||<-5> || || '''제64회[br]([[1992년]])''' || {{{+1 → }}} || '''제65회[br]([[1993년]])''' || {{{+1 → }}} || '''제66회[br]([[1994년]])''' || || 앨런 멩컨[br]([[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 {{{+1 → }}} || '''앨런 멩컨[br]([[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 {{{+1 → }}} || [[존 윌리엄스]][br]([[쉰들러 리스트]]) || ||<-5> || || '''제67회[br]([[1995년]])''' || {{{+1 → }}} || '''제68회[br]([[1996년]])''' || {{{+1 → }}} || '''제69회[br]([[1997년]])''' || ||<|2> [[한스 짐머]][br]([[라이온 킹]]) ||<|2> {{{+1 → }}} || [[루이스 바칼로프]][br]([[일 포스티노]]) ||<|2> {{{+1 → }}} || 가브리엘 야레드[br]([[잉글리쉬 페이션트]]) || || '''앨런 멩컨''', [[스티븐 슈워츠]] [br] '''([[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 레이첼 포트먼[br]([[엠마#s-2.2.2]]) || ||<-5> [[아카데미 주제가상|{{{#e5d85c '''주제가상'''}}}]] || || '''제61회[br]([[1989년]])''' || {{{+1 → }}} || '''제62회[br]([[1990년]])''' || {{{+1 → }}} || '''제63회[br]([[1991년]])''' || || 칼리 사이먼[br]Let the River Run[br](워킹 걸) || {{{+1 → }}} || '''앨런 멩컨[br][[하워드 애쉬먼]][br][[Under the Sea]][br]([[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 {{{+1 → }}} || [[스티븐 손드하임]][br]Sooner or Later[br]([[딕 트레이시#s-2]]) || ||<-5> || || '''제63회[br]([[1991년]])''' || {{{+1 → }}} || '''제64회[br]([[1992년]])''' || {{{+1 → }}} || '''제65회[br]([[1993년]])''' || || [[스티븐 손드하임]][br]Sooner or Later[br]([[딕 트레이시#s-2]]) || {{{+1 → }}} || '''앨런 멩컨[br][[하워드 애쉬먼]][br][[Beauty and the Beast]][br]([[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 {{{+1 → }}} || 앨런 멩컨[br][[팀 라이스]][br][[A Whole New World]][br]([[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 ||<-5> || || '''제64회[br]([[1992년]])''' || {{{+1 → }}} || '''제65회[br]([[1993년]])''' || {{{+1 → }}} || '''제66회[br]([[1994년]])''' || || 앨런 멩컨[br][[하워드 애쉬먼]][br][[Beauty and the Beast]][br]([[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 {{{+1 → }}} || '''앨런 멩컨[br][[팀 라이스]][br][[A Whole New World]][br]([[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 {{{+1 → }}} || [[브루스 스프링스틴]][br]Streets of Philadelphia[br]([[필라델피아(영화)|필라델피아]]) || ||<-5> || || '''제67회[br]([[1995년]])''' || {{{+1 → }}} || '''제68회[br]([[1996년]])''' || {{{+1 → }}} || '''제69회[br]([[1997년]])''' || || [[엘튼 존]][br][[팀 라이스]][br][[Can You Feel the Love Tonight]][br]([[라이온 킹]]) || {{{+1 → }}} || '''앨런 멩컨[br][[스티븐 슈워츠]][br][[Colors of the Wind]][br]([[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 {{{+1 → }}} || [[앤드류 로이드 웨버]][br][[팀 라이스]][br]You Must Love Me[br]([[에비타(영화)|에비타]]) || ||<-5> || ---- ||<-5>
{{{#e5d85c '''역대 [[토니상|{{{#e5d85c 토니상}}}]] 시상식''' }}} || ||<-5> [[파일:tonyawards.png|width=80]] || ||<-5> {{{#e5d85c '''음악상'''}}} || || '''제65회[br]([[2011년]])''' || {{{+1 → }}} || '''제66회[br]([[2012년]])''' || {{{+1 → }}} || '''제67회[br]([[2013년]])''' || || [[로버트 로페즈]][br]트레이 파커[br]맷 스톤[br]([[북 오브 몰몬]]) || → || '''앨런 멩컨[br]잭 펠드먼[br]([[뉴시즈(뮤지컬)|뉴시즈]])''' || → || [[신디 로퍼]][br](킹키 부츠) || ||<-5> || ---- ||<-5>
{{{#e5d85c ''' 역대 [[그래미 어워드|{{{#e5d85c 그래미 시상식}}}]]'''}}}[* 그래미 시상식의 가장 중요한 상들로 여겨지는 올해의 레코드상, 올해의 앨범상, 올해의 노래상, 최고의 신인상만이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 부문의 상들은 따로 문서 내 수상 목록에 수록해 주길 바랍니다.] || ||<-5> [[파일:external/www.brooklynvegan.com/grammy.jpg|width=150]] || ||<-5> {{{#e5d85c '''올해의 노래상'''}}} || || '''제35회[br]([[1993년]])''' || {{{+1 → }}} || '''제36회[br]([[1994년]])''' || {{{+1 → }}} || '''제37회[br]([[1995년]])''' || || [[에릭 클랩튼]], 윌 제닝스[br]Tears in Heaven[br]([[에릭 클랩튼]]) || {{{+1 → }}} || '''앨런 멩컨, [[팀 라이스]][br][[A Whole New World]][br](피보 브라이슨, 레지나 벨)''' || {{{+1 → }}} || [[브루스 스프링스틴]][br]Streets of Philadelphia[br]([[브루스 스프링스틴]]) || ||<-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앨런 멩컨,영어명=ALAN MENKEN,분야=영화,입성날짜=2010년 11월 10일,위치=6834)] }}} || ||<-2> '''{{{+1 앨런 멩컨}}}[* 90년대 초중반만 해도 앨런 멘킨이라는 이름으로도 영화월간지에 소개되기도 했고 서울음반에서 낸 인어공주나 미녀와 야수 등의 애니메이션 사운드트랙 속지에서도 이 이름으로 표기되었었다.][br]Alan Menke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images.onset.freedom.com/odzkur-b88801123z.120160923191108000gcuj19ph.10.jpg|width=100%]]}}} || || '''본명''' ||앨런 어윈 멩컨[br]Alan Irwin Menken|| ||<|2> '''출생''' ||[[1949년]] [[7월 22일]] ([age(1949-07-22)]세)||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가족''' ||아내 재니스 멩컨^^(1972~)^^[br]딸 애나 멩컨^^(1985년생)^^, 노라 멩컨^^(1988년생)^^|| || '''학력''' ||[[뉴욕 대학교]] 스타인하르트 대학 {{{-2 (음악학 / 졸업)}}}|| || '''직업''' ||[[작곡가]], [[피아니스트]], 음반 프로듀서|| || '''링크''' ||[[https://www.alanmenke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imenken, 크기=20)] [[https://instagram.com/alanmenke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facebook.com/alanmenk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앨런 멩컨과 [[하워드 애쉬먼]]은 현대 디즈니 뮤지컬을 창조했다. >He and Howard Ashman basically created the modern Disney musical. >---- >크리스틴 앤더슨로페즈 ([[겨울왕국]]의 작곡가) 미국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다. [[아카데미 음악상]] 4회, [[아카데미 주제가상|주제가상]] 4회, 도합 8회를 수상하여 [[아카데미상]]을 역대 4번째로 많이 받은 사람이다.[* 아카데미상 최다 수상자는 22회 수상한 [[월트 디즈니]]이며 세드릭 기번스(11회), [[알프레드 뉴먼]](9회)에 이어 [[이디스 헤드]], 데니스 뮤런과 공동으로 8회 수상을 기록 중이다. 데니스 뮤런은 공로상을 1회 수상하였으나 경쟁 부문에서는 8회 수상으로 취급된다.] 영화음악 거장으로 일컬어지는 [[엔니오 모리코네]]나 [[존 윌리엄스]]보다 많은 기록인 것은 물론 현재 살아있는 인물 중 데니스 뮤런과 공동으로 경쟁부문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7번의 [[골든글로브상]] 수상, 11번의 [[그래미 어워드]] 수상, 뮤지컬 [[뉴시즈(뮤지컬)|뉴시즈]]로 [[토니상]]도 1회 수상하였고 [[라푼젤 시리즈(TV 시리즈)|라푼젤 시리즈]]의 [[Waiting in the Wings]]가 데이타임 [[에미상]]을 받아 미국 엔터테인먼트계 4대 시상식 상을 전부 수상한 명예의 [[EGOT]]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음악 활동 == 주로 뮤지컬 쪽에서 활동한다. 특히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참여한 것으로 유명한데, [[디즈니 르네상스]]의 핵심주역 중 한 명이라고 할 수 있다. 르네상스 작품 중 [[라이온 킹]], [[뮬란]], [[타잔(애니메이션)|타잔]]을 제외한 모든 작품의 노래를 작곡했다. 즉 [[Under the Sea]], [[A Whole New World]], [[Colors of the Wind]], [[Beauty and the Beast]], [[I See the Light]] 같은 주옥같은 곡들이 전부 이 사람 손에서 탄생한 것. 2010년 [[라푼젤(애니메이션)|라푼젤]] 이후 2011년 [[알라딘(뮤지컬)|알라딘 뮤지컬판]]과 2014년 [[노틀담의 꼽추(뮤지컬)|노틀담의 꼽추 뮤지컬판]]의 북미 공연 버전을 작업한 뒤 ~~2016년에 [[소시지 파티|충격적인 외도]]를 한번 한 후에~~ 2017년에 개봉하는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 실사판]]으로 디즈니 작품에 참여했다. 함께 협업을 많이 한 작사가로는 [[하워드 애쉬먼]], [[팀 라이스]], [[스티븐 슈워츠]], 글렌 슬레이터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애쉬먼의 경우 뮤지컬 Kurt Vonnegut's God Bless You, Mr. Rosewater(1979)을 시작으로 뮤지컬 [[리틀 샵 오브 호러스]](1982)와 이를 스크린으로 옮긴 뮤지컬 영화(1986)를 거쳐 디즈니 애니메이션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1989),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1991),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1992)을 함께 작업하였다. 알라딘의 작업 중 애쉬먼이 [[에이즈]]로 세상을 떠나고, 이를 대신하기 위해 [[팀 라이스]]가 알라딘에 투입되며 인연을 맺었다. 이후 라이스와는 주로 뮤지컬과 실사 영화 작업을 진행해서 미녀와 야수를 뮤지컬로 옮긴 [[미녀와 야수(뮤지컬)|미녀와 야수]](1994)의 작업을 비롯해 뮤지컬 King David(1997), 영화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2017)를 함께 작업하였다. [[하워드 애쉬먼]]이 작고한 뒤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노래 작업은 뮤지컬 [[위키드(뮤지컬)|위키드]]로 유명한 [[스티븐 슈워츠]]와 함께하여 [[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1994), [[노틀담의 꼽추(애니메이션)|노틀담의 꼽추]](1996), 뮤지컬 [[노틀담의 꼽추(뮤지컬)|노틀담의 꼽추]](1999, 2014), [[마법에 걸린 사랑]](2007)의 노래를 함께 하였다. 또한 글렌 슬레이터와의 작업에서는 [[카우 삼총사]](2004), 뮤지컬 [[인어공주(뮤지컬)|인어공주]](2008), 뮤지컬 Sister act(2009), [[라푼젤(애니메이션)|라푼젤]](2010), 뮤지컬 Leap of Faith(2012), 뮤지컬 A Bronx Tale: The Musical(2016) 등의 작품을 탄생시켰다. [youtube(QYthXY3yhn4)] [[겨울왕국]]의 작곡가 크리스틴 앤더슨로페즈가 앨런 멩컨을 인터뷰하며 멩컨의 삶과 음악 인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영상이다. == 참여 작품 == [[나무위키]]에 개별 항목이 만들어진 곡은 작품 하단에 함께 표시하였다. [youtube(m-WhOZZstiU)] 디즈니 작품에서 작곡한 노래들을 앨런 멩컨 본인이 메들리로 연주하며 부르는 영상.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Under the Sea]]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1. [[Friend Like Me]] -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1. [[Colors of the Wind]] - [[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1. [[Be Our Guest]] -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1. [[Go the Distance]] - [[헤라클레스(애니메이션)|헤라클레스]] 1. [[Part of Your World]]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1. [[Beauty and the Beast]] -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1. [[A Whole New World]] -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youtube(Syzw3znAW7o)] 10분 메들리. === 영화 === * [[흡혈식물 대소동(1986)|흡혈식물 대소동]] (1986년) [*A [[하워드 애쉬먼]]과 협업] * [[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1988년) * Polly (1989년) *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1989년) [*A] * [[Fathoms Below]] * [[Daughters of Triton]] * [[Part of Your World]] * '''[[Under the Sea]]''' * [[Poor Unfortunate Souls]] * [[Les Poissons]] * [[Kiss the Girl]] * 록키 V (1990년) - The Measure of a Man *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1991년) [*A] * [[Belle]] * [[Gaston]] * [[Be Our Guest]] * [[Something There]] * [[The Mob Song]] * '''[[Beauty and the Beast]]''' * [[Human Again]] * [[뉴시즈]] (1992년) * [[Carrying the Banner]] * [[Santa Fe]] * [[My Lovey-Dovey Baby]] * [[The World Will Know]] * [[Seize the Day]] * [[King of New York]] * [[High Times, Hard Times]] * [[Once and for All]] * [[나 홀로 집에 2]] (1992년) - My Christmas Tree *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1992년) [*A][*R [[팀 라이스]]와 협업] * [[Arabian Nights]] * [[One Jump Ahead]] * [[Friend Like Me]] * [[Prince Ali]] * '''[[A Whole New World]]''' * 마이클 J. 폭스의 스타 만들기 (1993년) * [[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1995년) [*Sch [[스티븐 슈왈츠]]와 협업] * [[The Virginia Company]] * [[Steady as the Beating Drum]] * [[Just Around the Riverbend]] * [[Listen with Your Heart]] * [[Mine, Mine, Mine]] * '''[[Colors of the Wind]]''' * [[Savages]] * [[If I Never Knew You]] * [[노틀담의 꼽추(애니메이션)|노틀담의 꼽추]] (1996년) [*Sch] * [[The Bells of Notre Dame]] * [[Out There]] * [[Topsy Turvy]] * [[God Help the Outcasts]] * [[Heaven's Light]] * [[Hellfire(노틀담의 꼽추)|Hellfire]] * [[A Guy Like You]] * [[The Court of Miracles]] * [[Sanctuary!]] * [[Someday(노틀담의 꼽추)|Someday]] * [[헤라클레스(애니메이션)|헤라클레스]] (1997년) * [[The Gospel Truth]] * [[Go the Distance]] * [[One Last Hope]] * [[Zero to Hero]] * [[I Won't Say (I'm in Love)]] * [[A Star Is Born]] * [[Shooting Star]] * [[카우 삼총사]] (2004년) [*Sl 글렌 슬레이터와 협업] * 스위트 크리스마스 (2004년) * [[크리스마스 캐롤]] (2004년) * 쉐기 독 (2006년) * [[마법에 걸린 사랑]] (2007년) [*Sch] * [[True Love's Kiss]] * [[Happy Working Song]] * [[That's How You Know]] * [[So Close]] * [[Ever Ever After]] * [[라푼젤(애니메이션)|라푼젤]] (2010년) [*Sl] * [[When Will My Life Begin?]] * [[Mother Knows Best]] * [[I've Got a Dream]] * [[I See the Light]] * [[Healing Incantation]] * [[The Tear Heals]] *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져]] (2011년) - Star Spangled Man * Jock the Hero Dog (2011년) * [[백설공주(2012)|백설공주]] (2012년) * [[소시지 파티]] (2016년) ~~충격과 공포~~ * Aria for a Cow (2016년) * [[미녀와 야수(2017)|미녀와 야수]] (2017년) [*R] * [[Aria(미녀와 야수)|Aria]] * [[How Does a Moment Last Forever]] * [[Days in the Sun]] * [[Evermore(미녀와 야수)|Evermore]]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2018년) * [[A Place Called Slaughter Race]] * [[In This Place]] * [[홈즈와 왓슨]] (2018년) - Strange Sensation * [[하워드(다큐멘터리)|하워드]] (2018년)[* 다큐멘터리 영화에 사용된 음악을 작곡하고 직접 출연도 하였다.] * [[알라딘(영화)|알라딘]] (2019년) * [[Speechless(알라딘)|Speechless]] * [[Desert Moon]] * [[마법에 걸린 사랑 2]] (2022년) [*Sch] * [[Andalasia]] * [[Even More Enchanted]] * [[The Magic of Andalasia]] * [[Fairytale Life]] * [[Perfect(마법에 걸린 사랑 2)|Perfect]] * [[Badder]] * [[Love Power]] * [[Hard Times for Heroes]] * [[Something Different This Year]] * [[인어공주(영화)|인어공주]] (2023년) * [[스펠바운드]] (2023년) === TV === * [[Sesame Street]] (1989~1990년) * Cartoon All-Stars to the Rescue (1990년) - Wonderful Ways to Say No * Lincoln (1992년) * The Neighbors (2013년) * Galavant (2015~2016년) * [[라푼젤 시리즈(TV 시리즈)/사운드트랙|라푼젤 시리즈]] (2017~2020년) === 뮤지컬 === * Dear Worthy Editor (1974년) * Kurt Vonnegut's God Bless You, Mr. Rosewater (1979년) [*A] * [[리틀 샵 오브 호러스]](흡혈식물 대소동) (1982년, 2003년) [*A] * Weird Romance (1992년) * [[미녀와 야수(뮤지컬)|미녀와 야수]] (1994년) [*R] * [[No Matter What]] * [[Me(미녀와 야수)|Me]] * [[Home(미녀와 야수)|Home]] * [[How Long Must This Go On?]] * [[If I Can't Love Her]] * [[Maison des Lunes]] * [[End Duet / Transformation]] * [[A Change in Me]] * 크리스마스 캐롤 (1994년) * King David (1997년) [*R] * [[노틀담의 꼽추(뮤지컬)|노틀담의 꼽추]] (1999년, 2014년) [*Sch] * [[Rest and Recreation]] * [[Rhythm of the Tambourine]] * [[Into Notre Dame]] * [[Top of the World]] * [[Tavern Song (Thai Mol Piyas)]] * [[Esmeralda]] * [[Entr'acte]] * [[Flight into Egypt]] * [[In a Place of Miracles]] * [[Justice in Paris]] * [[While the City Slumbered]] * [[Made of Stone]] * [[Finale(노틀담의 꼽추)|Finale]] *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2003년)[* 2011년의 브로드웨이 뮤지컬과는 다른 버전으로 디즈니랜드에서 공연된 작품이다.] * [[To Be Free]] * [[시스터 액트(뮤지컬)|시스터 액트]] (2006년) [*Sl] * [[인어공주(뮤지컬)|인어공주]] (2007년) [*Sl] * [[The World Above]] * [[Human Stuff]] * [[I Want the Good Times Back]] * [[She's in Love]] * [[Her Voice]] * [[Sweet Child]] * [[Positoovity]] * [[Beyond My Wildest Dreams]] * [[One Step Closer]] * [[If Only]] * [[The Contest]] * [[Finale Ultimo(인어공주)|Finale Ultimo]] * [[뉴시즈(뮤지컬)|뉴시즈]] (2011년) * [[The Bottom Line]] * [[That's Rich]] * [[I Never Planned on You / Don't Come a-Knocking]] * [[Watch What Happens]] * [[Brooklyn's Here]] * [[Something to Believe in]] * [[Finale(뉴시즈)|Finale]] * [[Letter from the Refuge]] * [[알라딘(뮤지컬)|알라딘]] (2011년) * [[Proud of Your Boy]] * [[These Palace Walls]] * [[Babkak, Omar, Aladdin, Kassim]] * [[A Million Miles Away]] * [[Diamonds in the Rough]] * [[Act One Finale]] * [[High Adventure]] * [[Somebody's Got Your Back]] * [[Finale Ultimo(알라딘)|Finale Ultimo]] * Leap of Faith (2012년) [*Sl] * The Apprenticeship of Duddy Kravitz (2015년) * A Bronx Tale: The Musical (2016년) [*Sl] * [[헤라클레스(뮤지컬)|헤라클레스]] (2019년) === 기타 === * [[신밧드 스토리북 보야지|Compass of Your Heart]] (2007년) [* 일본의 [[도쿄 디즈니씨]]의 어트랙션인 [[신밧드 스토리북 보야지]]에서 나오는 노래로, 앨런 멩컨이 직접 작곡하였다.] == 기타 == * 2022년 막스 슈타이너 영화 음악 공로상(Max Steiner Film Music Achievement Award)을 수상했고 이를 기념해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에서 앨런 멩컨이 작곡한 디즈니 클래식 음악을 주제로 'Hollywood in Vienna' 공연이 열렸다.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인어공주]],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알라딘(애니메이션)|알라딘]], [[포카혼타스(애니메이션)|포카혼타스]], [[노틀담의 꼽추(애니메이션)|노틀담의 꼽추]], [[헤라클레스(애니메이션)|헤라클레스]], [[카우 삼총사]], [[라푼젤(애니메이션)|라푼젤]]과 [[리틀 샵 오브 호러스]]의 음악을 공연했고 수잔 이건, 애덤 제이콥스, 트레버 디온 니콜라스 등 함께 애니메이션 영화와 뮤지컬을 작업했던 배우들이 노래를 불렀다. 본래 2020년으로 예정되어있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년 연기되었다. [youtube(2UmwgZ9pH9A)] [[분류:앨런 멩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