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0C0000>'''{{{#ffd700 이름}}}'''||<:><#0C0000>'''{{{#ffd700 앨버트 킹[br]ALBERT KING}}}'''||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0C0000>'''{{{#ffd700 멤버}}}'''||<:><#0C0000>{{{#ffd700 (개인자격)}}}|| ||<:><#0C0000>'''{{{#ffd700 입성 연도}}}'''||<:><#0C0000>'''{{{#ffd700 2013년}}}'''|| ||<:><#0C0000>'''{{{#ffd700 후보자격 연도}}}'''||<:><#0C0000>'''{{{#ffd700 1988년}}}'''|| ||<:><#0C0000>'''{{{#ffd700 후보선정 연도}}}'''||<:><#0C0000>'''{{{#ffd700 2013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250대 기타리스트)]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2> '''{{{+1 앨버트 킹}}}[br]Albert K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77yiluf9own61.jpg|width=100%]]}}} || || '''본명''' ||앨버트 넬슨[br]Albert Nelson|| ||<|2> '''별명''' ||블루스의 왕[br]Kings of the Blues|| ||벨벳 불도저[br]The Velvet Bulldozer|| ||<|2> '''출생''' ||1923년 4월 25일|| ||[[미국]] [[미시시피주]] 인디애놀라|| ||<|2> '''사망''' ||1992년 12월 21일 (향년 69세)||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미국)|멤피스]]|| ||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프로듀서|| || '''장르''' ||[[블루스]], 소울 블루스, [[R&B]]|| ||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기타]], [[드럼]]|| || '''활동''' ||1949년 ~ 1992년|| || '''신체''' ||200.6cm[* "Billboard", 1974.7.13., 51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RQkEAAAAMBAJ&lpg=PA51&dq=Albert%20King%20blues&hl=ko&pg=PA51#v=onepage&q&f=false|#]]], 113kg 이상[*A Tim Sampson, "[[https://memphismusichalloffame.com/inductee/albertking/|ALBERT KING]]", memphismusichalloffame.com, 2022년 11월 2일 확인]||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vpI_n6WYAAj4PR.jfif.jpg|width=100%]]}}} || 미국의 음악가. [[비비 킹]], [[프레디 킹]]과 함께 3킹 중 한 명이다.[* 3킹은 일본 팬들이 만든 말이다.] == 생애 == === 유년기 === 1923년 4월 25일, 미시시피주 인디애놀라 근처의 농장에서 태어났다.[*B David G. Whiteis, "Southern Soul-Blu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2013.5.1.), 258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hNSrpKdf7ygC&lpg=PA258&dq=Albert%20King%20blues&hl=ko&pg=PA258#v=onepage&q&f=false|#]]] 킹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아버지는 5살 때 가족을 떠났고 8살에 어머니와 [[아칸소주]] 포레스트시티로 이주했다.[*C "[[https://msbluestrail.org/blues-trail-markers/albert-king|Albert King]]", msbluestrail.org, 2022년 11월 2일 확인] 포레스트시티에서 그는 [[목화]]를 따고 [[블루스]]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A] 그에겐 12명의 형제자매가 있었고, 양아버지이자 아마추어 기타리스트던 윌 넬슨은 그에게 영향을 미쳤다. 인근의 교회의 가족 [[가스펠]] 그룹에서 노래를 부른 것도 음악적 영향을 주었다.[*D Taylor Hagood, "[[https://mississippiencyclopedia.org/entries/albert-king/|Albert King (Albert Nelson)]]", mississippiencyclopedia.org, 2017.7.11., 2022년 11월 2일 확인][*E Jim Kelton, "[[https://encyclopediaofarkansas.net/entries/albert-king-617/|Albert King (1923–1992)]]", encyclopediaofarkansas.net, 2022년 11월 2일 확인] 그의 가족은 한 때 미시시피주 알콜라에 살았으며, 12살[* 정일서, "더 기타리스트 The Guitarist 그들의 기타가 조용히 흐느낄 때" (2013.9.30.), 65쪽]에 [[시가]] 상자 등을 이용해 기타를 만들었다.[*C] 그는 기타를 독학하면서 [[티-본 워커]]와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의 영향을 받았다.[*A] 또한 드럼도 독학했다.[*B] 그는 19살에 1.25달러에 첫 기타를 구입했다.[*D] 그는 음악가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 때까지 여러 일을 해왔다.[*C] 그는 1940년대를 육체노동을 하며 보냈고 종종 가족의 가스펠 그룹에서 노래를 불렀다.[*F Peter Watrous, "[[https://www.nytimes.com/1992/12/23/arts/albert-king-a-master-of-the-blues-is-dead-at-69.html|Albert King, a Master of the Blues, Is Dead at 69]]", 「[[뉴욕 타임즈]]」, 1992.12.23.] 나중에 그는 자신을 [[비비 킹]]과 엮으려고 했다. 그는 종종 비비 킹의 친아버지의 이름이 '앨버트 킹'임을 이용해 본인이 비비 킹의 이복형제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1942년 사회 보장 카드에서 출생지를 인디애놀라로 작성하지 않았으며, '앨버트 넬슨'으로 서명했으며 아버지 성명도 윌 넬슨이라 적었다. 1940/50년대 음악가들도 앨버트 넬슨으로 알고 있었다.[*C] === 음악가 활동 === 1940년대 말엔 음악가가 되기 위해 [[세인트루이스]]와 [[시카고]]를 다녀왔다.[*D] 1950년 그는 [[아칸소주]] 오스체올라의 T-99 나이트클럽의 소유자 MC 리더를 만났다. 그는 얼마 후 오스체올라로 이사하여 T-99 클럽의 하우스 밴드인 인 더 그루브 보이즈 (In The Groove Boys) 에 합류했다. 밴드는 지역 라디오 방송국을 포함하여 T-99 클럽 외에도 여러 아칸소주 지역에서 공연을 펼쳤다.[*G Stephen Thomas Erlewine, "[[https://www.allmusic.com/artist/albert-king-mn0000617844/biography|Albert King: Biography]]", [[올뮤직]], 2022년 11월 2일 확인] 그는 그룹에서 활동하며 [[엘모어 제임스]] 등의 음악가들을 접할 수 있었다.[*E] 그는 아칸소주에서 성공을 거두고 1953년에 [[인디애나주]] 게리로 이주하여 지미 리드 (Jimmy Reed) 와 존 브림 (John Brim) 이 몸 담은 밴드에 들어갔다. 지미와 존이 기타리스트였기에 그는 드럼을 맡게 됐다. 그는 비비 킹이 같은 해 'Three O'Clock Blues'로 큰 인기를 얻자 곧 본인도 앨버트 킹이란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G] 그는 1953년에 [[머디 워터스(음악가)|머디 워터스]]의 제안으로 첫 녹음을 했다.[*F] 꽤 팔렸음에도 레코드와 재세션없이 결별했으며, 본인은 돈을 거의 받지 못했다.[*E] 1954년 초에 그는 오스체올라로 돌아와 다시 인 더 그루브 보이즈에 합류했으며 이후 2년을 아칸소주에 머물렀다. 이후 1956년에 [[세인트루이스]]로 이주하고 밴드를 결성해 활동하기 시작했다.[*H 정일서, "더 기타리스트 The Guitarist 그들의 기타가 조용히 흐느낄 때" (2013.9.30.), 66쪽] 같은 해 가을엔 그는 그곳의 지역에서 유명한 블루스 음악가가 돼있었다.[*G] 그는 1959년에 'I'm a Lonely Man'으로 소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1961년에 'Don't Throw Your Love on Me So Strong'로 첫 성공을 거두었다. 이 곡은 [[빌보드 R&B 차트]] 14위를 기록했다. 이후 1966년에 [[멤피스(미국)|멤피스]]로 이주해 스택스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유명 음악가들과 활동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특히 다음 해 'Born Under a Bad Sign'이 성공하면서 그는 미국 전역에서 명성을 얻게 된다.[*H][* 블루스 뮤지션 중에서는 상당히 늦게 빛을 봤다. 그와 비슷한 세대는 대체로 1950년대에 이미 빛을 봤었다.] 특히 1968년에 발매된 'Live Wire/Blues Power'는 [[지미 헨드릭스]], [[게리 무어]], [[에릭 클랩튼]] 등에게 큰 영향을 미친 명반이다. 1970년대 들어선 [[펑크 음악]]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줬다.[*H] 1972년엔 앨범 'I'll Play the Blues for You'를 녹음했다. 그러나 1975년에 스택스 레코드가 문을 닫았다.[*A] 그는 유토피아 레코드로 옮겨서 활동을 이어갔으나 이전만한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1980년대 중반엔 은퇴를 발표했으나 얼마 가지 못했다. 그는 죽기 전까지 활동을 계속 이어나갔다.[*G] === 사망 === 1992년 12월 21일, 멤피스에서 [[심장마비]]로 숨졌다. 사망 직전 [[비비 킹]], [[바비 블랜드]]와의 유럽 투어를 기획하고 있었다.[*F] == 여담 == * 그는 [[왼손잡이]]로 기타 줄 순서를 바꾸지 않고 그냥 돌려서 연주했다. 위 사진에 보면 당시 깁슨의 최신상이자 실험작이었던 [[플라잉브이]]를 사용하는데 최초 모델 구매자이기도 하며, 원래 상하대칭인 플라잉V를 그대로 돌려 쓰기 때문에 잭을 꼽는 부분이 위에 있고 자세히 보면 굵은 줄이 아래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백인 [[블루스]] 기타의 영웅이라 불리는 [[스티비 레이 본]]에게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주 스타일이나 사용하는 음계 테크닉 등이 그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두 명이 함께 공연한 영상이 남아 있으며 블루스계의 명 협연으로 꼽힌다. [youtube(X72fXW5Cs3U)] == 음반 목록 == * The Big Blues (1962) * Born Under a Bad Sign (1967) * Years Gone By (1969) * Jammed Together (1969) * Blues for Elvis - King Does the King's Things[* [[엘비스 프레슬리]]의 곡들을 리메이크한 앨범이다.](1970) * Lovejoy (1971) * I'll Play the Blues for You (1972) * I Wanna Get Funky (1974) * Truckload of Lovin' (1976) * Albert (1976) * King Albert (1977) * The Pinch[* 나중에 The Blues Don't Change로 제목이 변경돼서 재발매된다.] (1977) * New Orleans Heat (1978) * San Francisco '83 (1983) * I'm in a Phone Booth, Baby (1984) * The Lost Session (1986) == 둘러보기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분류:1923년 출생]][[분류:1949년 데뷔]][[분류:1992년 사망]][[분류:인디애놀라(미시시피) 출신 인물]][[분류:미국 남가수]][[분류:미국의 기타리스트]][[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