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의학]][[분류:수면장애]][[분류:잠]] ||<-2> {{{#fff {{{+1 '''야경증'''}}}[br]'''夜驚症 | Night terrors'''}}} || || '''{{{#fff 이명}}}''' ||<#fff,#2d2f34>''Sleep terror'' || || '''{{{#fff 국제질병분류기호[br](ICD-10)}}}''' ||<#fff,#2d2f34>F51.4 || || '''{{{#fff 의학주제표목[br](MeSH)}}}''' ||<#fff,#2d2f34>D020184 || || '''{{{#fff 진료과}}}''' ||<#fff,#2d2f34>[[가정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 || '''{{{#fff 관련 증상}}}''' ||<#fff,#2d2f34>수면 중 자율신경 항진 || || '''{{{#fff 관련 질병}}}''' ||<#fff,#2d2f34>[[악몽|병적 악몽]][br]{{{-2 (Nightmares)}}}[br][[불면증]][br]{{{-2 (Insomnia)}}}[br][[몽유병]][br]{{{-2 (Somnambulism)}}}[br]렘수면 행동 장애[br]{{{-2 (REM sleep behavior disorder)}}}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면]] 도중 극심한 공포를 느끼거나 화들짝 놀라면서 잠에서 깨는 증상으로, 식은땀을 흘리거나 비명을 지르는 경우도 있다. 의학에서는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어 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경우 수면장애로 보고 치료를 시도한다. == 특징 == 주로 소아에게 다발하는 증상으로, 수면장애 중 가장 극적이고 심하게 표현되며 보호자에게 우려를 끼치는 증상이다. 몸을 크게 휘두르거나 침대를 뛰어나와 방, 또는 집 밖으로 뛰어 나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집을 뛰쳐나오는 것만이 아니라 극단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돌아다니는 것도 포함이 된다.] 마치 [[공황장애]]처럼 극심한 불안 상태를 보여 말을 해도 듣지 않고 주변의 제지가 어려운 것이 [[몽유병]]과는 다른 점이다. 또한 광분 상태에서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주변 사물에 의해 자신을 다치게 할 수도 있다.렘수면 2~3단계에서 대부분 발생된다. 유병률은 소아는 1~6%, 성인은 1% 미만이다. 소아의 경우 2~5세에 시작하고 청소년기에는 자연적으로 해소된다.[* 대표적으로 야경증 발생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이 예시이다.] 성인은 20~30세 사이에 시작되고 대개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다. 다음 날 일어나면 밤동안 보인 증상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희미하게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 증상 == * 맥박과 호흡이 빨라지고 땀을 많이 흘림. 자율신경 항진 증상을 보인다. * 공포에 질린 것같이 비명을 지름. 몸부림을 치기도 함[* 사람 마다 비명을 지르거나 몸부림을 치는 것이 없는 사람도 있고 있는 사람도 있다.] * 피부 홍조, 발한, 동공확대, 근육긴장도 증가를 보임 * 몇몇 사람들은 망상을 같이 하며 오기도 한다. == 원인 == 스트레스, 과도한 긴장, 피로, 수면 부족 등이 있다. 성인의 경우 스트레스 상태에서 [[음주]]를 한 경우 발생할 수도 있다. == 치료 == 소아의 경우 수면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해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는 않는다. 증상을 보일 때 부모가 당황하지 않고 아이를 달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3주 이상 거의 매일 지속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치료를 요한다. 증상이 심한 경우 약물치료(항불안제)를 하기도 한다. 수면이 불규칙하거나 신체적으로 피로한 경우 또는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이를 해소해 규칙적인 수면을 하도록 한다. 사춘기의 경우 심리적인 원인을 찾고 정신치료를 진행하며 성인에게는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하기 전 질병 후 생기는 경우도 많다. == 기타 == * [[빌리 아일리시]]는 "11살부터 시청한 [[포르노]]의 폭력적인 장면들 때문에 야경증을 경험했다"고 고백했다. [[https://m.news1.kr/articles/?4523418&31|국내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