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DefectiveSquealingUnequaledJewel, 합의사항1=야고보 복음서를 신약 성경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include(틀:기독교의 위경 및 제안된 문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fff {{{+2 야고보 복음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모_성전봉헌.jpg|width=100%]]}}}|| ||<-2> {{{-2 성모 마리아의 성전 봉헌을 그린 작품이다. [br]우측 상단에 계단을 오르는 성모 마리아가 보인다.}}} || ||<-3> '''언어별 명칭''' || || '''영어''' ||<-2>Gospel of [[제임스|James]] [br] Protoevangelium of [[제임스|James]]|| || '''라틴어''' ||<-2>Protevangelium Jacobi|| || '''한국어''' ||<-2>야고보 복음서 [br] 야고보 원복음서|| ||<-3> '''기본 정보''' || || '''저자''' ||<-2>[[예수의 형제 야고보]] (전승) || || '''기록 연대''' ||<-2>AD 150년경 (2세기 중반) || || '''수신자''' ||<-2>기독교인 || [목차] [clearfix] == 개요 == >주님의 천사가 다가와 말하였다. "안나야, 안나야, 주님께서 네 기도를 들으셨다. 네가 잉태하여 아이를 낳을 터이니, 온 세상이 네 아이를 노래할 것이다" >야고보 복음서 4장 1절 [[성모 마리아]]의 기적적인 잉태,[* 마리아의 어머니 '''안나가 마리아를''' 잉태한 일을 지칭한다.] 유년기와 [[나자렛의 요셉]]과의 혼인, 베들레헴으로의 여정, [[예수]]의 탄생 등을 기록한 [[외경]][*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쓰여진 것들 중 신구약성서 경전에 포함되지 못한 작품을 말한다.]이다. [[예수의 형제 야고보]]의 저술로 알려져 있다. '''야고보 복음서''' 혹은 '''야고보 원(原)복음서'''[* 原은 예수 탄생 이전의 역사를 기록했기에 연대 순으로 복음서들 가운데 첫번째라는 뜻이다.] 등으로 불린다. '''[[성모 마리아|성모]] 평생동정의 근거'''가 되는 현존 문헌 중 가장 오래된 문헌이며, 마리아에 대한 많은 문헌들의 출처이기도 하다. == 저자 == 3세기 초반 활동한 [[오리게네스]]와 2세기 말에 활동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야고보 복음서를 알고 있던 점으로 보아, 2세기 중반에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Ehrman, B. D. (2003). ''Lost scriptures books that did not make it into the new testament''. Oxford Univ. Press. p 63.] 저자는 자신이 [[나자렛의 요셉]]과 기존의 처의 아들인 [[예수의 형제 야고보|야고보]]라고 말하나, 저자가 누구인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 사본 == 학자들은 야고보 복음서가 [[그리스어]]로 쓰여진 것으로 추정하며, 140건이 넘는 그리스어 사본이 전해진다.[* Vuong, L. C. (2019). The protevangelium of james. Eugene, OR: Cascade Books. doi:[[https://www.nasscal.com/wp-content/uploads/2019/07/Vuong-Protevangelium-of-James-Preview.pdf|#]], p 2.] 또한 고전 [[시리아어]], 에티오피아어, [[콥트어]], [[조지아어]], [[교회 슬라브어]], [[아르메니아어]], [[아랍어]]와 [[라틴어]]로 번역됐으며,[* Vuong][* Vanden Eykel, Eric M. “Protevangelium of James.” e-Clavis: Christian Apocrypha. 3번 항목 [[http://www.nasscal.com/e-clavis-christian-apocrypha/protevangelium-of-james|#]]] 가장 오래된 [[사본]]은 3세기나 4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5번 [[보드머 파피루스 사본]]이다. 이 사본은 1952년 발견됐으며 스위스 제네바의 [[보드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가장 완전한 사본은 프랑스 파리의 국립도서관에 있는 10세기의 [[그리스어]] [[코덱스]]이다. 인쇄술의 발달 후 [[수기]]가 아닌 대량 인쇄된 판본은 스위스 바젤의 기욤 포스텔이 그리스어 사본을 직접 라틴어로 번역해 간행한 1552년 판본이며, 현대에 들어서는 1961년 에밀 드 스트라이커가 간행했고 이를 기반으로 1995년 로버트 혹이 영문으로 번역하여 간행했다. == 역사 == [[성서비평학]]계에서는 보통 2세기 중반에 형성된 문서로 추정한다. 마태오 복음서와 루가 복음서를 종합하고 그 빈틈을 채우려 하고 있으며, 오리게네스에게 언급되고 보드머 파피루스에 수록되었음이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기독교 세계 동방에서 높은 인기를 얻었다고 여겨진다. 서방교회에서는 영향력 있는 교부 [[히에로니무스]]에 의해 그 영향력이 감소되었는데, 그는 성 요셉까지 동정이었다고 주장하여 야고보 복음서의 ‘예수의 형제들’에 대한 묘사를 거부하고 그들을 친척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서방교회에서는 후대에 작성된 비슷한 문서인 ‘유사 마태오 복음서(Gospel of Pseudo-Matthew)’에 비해 영향력이 밀리는 모습을 보였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405년 툴루즈 주교 엑수페리우스(Exuperius)에게[* [[생텍쥐페리]]의 성의 어원이다.] 보낸 편지에서 야고보 복음서를 규탄(condemn)했다. 6세기 초의 자료인 젤라시오 칙령(Gelasian decree)에서도 받아들이지 않을 문서 목록으로 여러 외경 복음서, 묵시록, 행전 등과 함께 포함되었다. == 외경으로서의 권위 == [[성모 마리아]] 공경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Shoemaker, ''Mary in Early Christian Faith and Devotion'', p 47-61 p 53-54] 다수의 사본이 존재한다는 점은 야고보 복음서의 영향력을 방증한다.[* Vanden Eykel, Eric M. “Protevangelium of James.” e-Clavis: Christian Apocrypha. 3번 항목 [[http://www.nasscal.com/e-clavis-christian-apocrypha/protevangelium-of-james|#]]] [[성모 마리아]]의 생애를 직간접적으로 다룬 외경들인 유사마태복음서[* Gospel of Pseudo-Matthew], 마리아의 탄생,[* Nativity of Mary] 아르메니아 유년기 복음서,[* Gospel of Infancy] 아랍 유년기 복음서,[* Gospel of Infancy] 목수 요셉 일대기,[* History of Joseph the Carpenter] [[고백자 막시모스]]의 동정녀 생애[* Life of the Virgin] 등에 영향을 줬다.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12월 8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신 축일[* 9월 8일], 성모 대성전 봉헌 기념일 축일[* 8월 5일] 등 [[성모 마리아]] 관련 축일에 [[성서정과|전례독서]]로 쓰이며, [[외경]]임에도 불구하고 정경에 버금가는 권위를 지녔다고 평가된다.[* Vuong, p 2-3.] 정경과 외경에 대해 연구한 프랑수와 보봉[* [[http://www.yes24.com/24/AuthorFile/Author/379457|#저자 페이지]]]은 신약 속 인물과 내용은 등장하나 정경으로 편입되지 못한 이러한 외경이 "기독교인의 영혼에 도움을 준다"고 말한다.[* Bovon, “Beyond the Canonical and Apocryphal Books,” 125–37; and Bovon, “Useful for the Soul,” 185–95.] 그에 따르면 [[교부]], [[신학자]], 또 일반 신자들은 이러한 문헌을 단순히 정경과 외경 여부, 혹은 공인 여부를 떠나 "영혼과 신앙생활에 도움을 주는" 세번째 카테고리에 분류한다고. 이러한 문헌들은 초기 교회의 신앙생활의 근간을 형성했으며, 신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고, 때로는 [[교부]]들도 이에 의존했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기독교 전승에 관해 서술하며 외경을 권위 있는 출처로 들었다. 예를 들어, 성모 마리아의 부모에 대해 저술하며 야고보 복음서에서 왔을 확률이 높은 내용을 썼다.] 또 스티븐 슈메이커는 [[성모 마리아]]와 관련된 외경은 교회의 [[성전(기독교)|성전]]의 일부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봤으며[* Shoemaker, “Between Scripture and Tradition,” p 492.], 특히 야고보 복음서는 [[기독교]] 문화와 전통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만큼 준(準) 정경으로 봐야한다고 말한다.[* Shoemaker, Mary in Early Christian Faith and Devotion, p 49.] 각각 100개 이상의 사본이 현재까지 전해지며 후대에 널리 퍼진 '유사마태복음서'나 '마리아의 탄생'과 같은 문헌이 야고보 복음서를 출처로 했다는 점은, 야고보 복음서가 외경이라는 분류를 넘어 [[기독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인 [[성모 마리아]]에 대한 권위 있는 문헌으로 여겨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야고보 복음서를 통해 [[성모 마리아]]의 잉태, 유년기의 모습, [[하느님의 어머니]]로 선택 받은 이유 등을 알 수 있으며, [[성모 마리아]]가 인류 구원의 역사에 어떤 역할을 했으며 왜 공경 받아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 Vuong, p4.] == 내용 == * [[성모 마리아]]의 기적적인 잉태와 은총 넘치는 유년기와 성장기, 요셉과의 혼인, [[성령]]으로 인한 [[예수]]의 동정[* 童貞, 순결을 지키고 있는 자] 잉태 (1장-17장) * [[예수]]의 탄생과 [[성모 마리아]]의 평생동정 (18장-20장) * [[세례자 요한]]의 아버지인 [[즈가리야]]의 죽음 (22장-24장) == 전문 == *[[https://ko.wikisource.org/wiki/%EC%95%BC%EA%B3%A0%EB%B3%B4%EC%9D%98_%EC%9B%90%EB%B3%B5%EC%9D%8C%EC%84%9C|한국어 전문]] == 관련 문서 == * [[요아킴]] == 외부 링크 == * [[https://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139109|관련 기사]] [각주] [[분류:기독교 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