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송링고르니스과]] ||<-2><#F60> '''{{{#FFF {{{+1 야노르니스}}}[br]Yanornis}}}''' || ||<#F93> '''학명''' || ''' ''Yanornis martini'' '''[br]Zhou & Zhang, 2001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아비알라이^^Avialae^^||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피고스틸리아^^Pygostyli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에우오르니스류^^Euornithes^^||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야노르니스류^^Yanornithiformes^^||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송링고르니스과^^Songlingornith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야노르니스속^^''Yanorni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야노르니스 마르티니(Y. martini)^^{{{-1 [[모식종]]}}}^^[br]Zhou & Zhang, 2001 * †야노르니스 구오잔기(Y. guozhangi)[br]Wang et al., 2013||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원시 조류. 속명의 뜻은 '[[연나라]]의 새'. 중국에서는 연조(燕鳥)라고 부르기도 한다. == 상세 == [[중국]]의 지우포탕층에서 발견된 이 원시 새는[* [[익시안층]]과 생물군이 같다.] 잘 발달한 차골과 넓은 흉골을 지녔으므로 매우 강력한 날개를 지녔을 것이다. 또한 견갑골과 오훼골이 현생 조류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날개를 뒤쪽을 향해 큰 각도로 퍼덕일 수 있었다. 야노르니스는 위턱에 10개, 아래턱에 20개의 이빨을 지녔다. 주로 물가에 살며 물고기를 섭취하고 살았을 것이다. 야노르니스의 위장에서는 위석처럼 생긴 작은 돌덩어리가 발견되는데, 이것은 위석이 아니라 죽은 물고기를 먹는 도중 실수로 삼킨 모래덩어리고, 결국 모래가 위장에 쌓이며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Zheng, X.; O'Connor, J. K.; Huchzermeyer, F.; Wang, X.; Wang, Y.; Zhang, X.; Zhou, Z. (2014). "New Specimens of Yanornis Indicate a Piscivorous Diet and Modern Alimentary Canal". PLOS ONE. 9 (4): e95036. Bibcode:2014PLoSO...995036Z. doi:10.1371/journal.pone.0095036. PMC 3986254. PMID 24733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