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야로대교'''}}}[br]{{{-2 '''冶爐大橋'''}}}[br]{{{-2 '''Yaro Grand Bridge'''}}}}}} || || [[고서JC|{{{#!html광주 방면}}}]][br][[가조IC]] || [[파일:Korean_Highway_logo.png|width=20px]][br][[광주대구고속도로|{{{#!html
광주대구선}}}]]'''{{{#white {{{+1 BR}}}}}}''' || [[옥포JC|{{{#!html대구 방면}}}]][br][[해인사IC]] || ||<-3> [include(틀:지도, 장소=35.692850%2C128.168049,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구조형식'''}}} || ||<-3> 엑스트라도즈교 || ||<-3> {{{#fff '''총연장'''}}} || ||<-3> 760m || ||<-3> {{{#fff '''관리기관'''}}} || ||<-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한국도로공사|[[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width=140]]]]}}} || ||<-3> {{{#fff '''개통'''}}} || ||<-3> [[2015년]] [[12월 22일]] || [[파일:external/www.iusm.co.kr/631961_232957_1333.jpg]] [[http://kko.to/HK_FCPH0j|카카오 지도]]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에 있는 엑스트라도즈교[* 사장교로 많이 착각하고는 하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i1he2s3&logNo=110126754737|이 자료에 따르면]] 공식 입찰 시에도 엑스트라도즈교임을 분명히 했다고 한다.]로, 총 길이는 760.0m이다. 교량의 높이만 109.7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교량이다. [* [[광주대구고속도로]]가 확장 이설되기 전에는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 5km 인근에 있는 [[성기대교]]가 이 타이틀을 갖고 있었다.] [[광주대구고속도로]]의 [[거창 휴게소]] ~ [[고령IC]] 구간 신도로의 일부로, 이 다리와 가장 가까운 [[광주대구고속도로]]상의 IC는 [[해인사IC]]다. 교량 명칭은 당연히 야로면에서 따온 것이다. 가운데 두 개의 주탑을 포함해 총 4개의 교각을 가지고 있으며, 다섯 경간의 길이는 각각 105m, 180m, 190m, 180m, 105m이다. 즉 최대경간장은 190m라는 의미가 된다. 길이나 최대경간장 면에서는 특출난 정도는 아니지만, 이 다리가 유명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국내에서 상판과 지면 간의 거리가 가장 먼 다리이기 때문이다. 해인사에서 내려오며 해인사IC를 향해 가다 보면 야로대교가 시야에 들어오는데 진짜로 산꼭대기에 도로가 걸려 있는 듯한 착각을 받는다. 아파트 층수로 따져봐도 약 40층 가까이 된다. 다만 주탑 높이까지 국내 최고인 것은 아니다. 다리 높이가 1등이라고 해서 주탑 높이도 1등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다수 있는 듯하지만, 야로대교의 주탑 높이인 148.9m보다 주탑이 높은 다리는 [[이순신대교]], [[울산대교]], [[인천대교]] 등 다수 있다. == 여담 == 야로대교는 너무 높게 지어진 탓에 가야산에서는 야로2터널과 이어지지만 동쪽에 있는 산은 터널로 이어지지 않고 꼭대기에서 고가대교가 이어진다. 가장 가까운 나들목인 [[해인사IC]]가 동쪽에 있다. 대구 방향으로 가조터널 입구에서 야로대교 지난 지점까지 10.3km [[구간단속]]이 시행 중이다. 터널 연속구간이라 그렇다.[* 가조터널, 가야 1~3터널, 야로 1~2터널] [[분류:대한민국의 교량]][[분류:광주대구고속도로]][[분류:2015년 건설]][[분류:높이 100m 이상의 타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