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칸센)] ||<-2> {{{#white {{{+1 山形新幹線車両センター}}}[br]Yamagata Shinkansen Depot[br]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2> '''위치''' || ||<-2> [include(틀:지도, 장소=山形車両センター, 너비=100%, 높이=300px)] || ||<-2> '''기본 정보''' || || '''위치''' || [[야마가타현]] [[야마가타시]] 후카마치2초메 1[br](山形県山形市深町二丁目1) || || '''철도[br]사업자''' ||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br]{{{#3ea343 JR 동일본}}}]] || || '''귀속 조직''' || 신칸센 총괄본부 || || '''약칭''' || 칸카타 (幹カタ), 야마 (山) || ||<-2> '''소속 량수''' || || '''전동차''' || 153량 || || '''기동차''' || 13량 || || '''총합''' || 166량 || [목차] [clearfix] == 개요 == [[야마가타현]] [[야마가타시]] [[야마가타역]] - [[자오역]] 중간에 있는 JR 동일본의 차량기지며, 센다이 지사 관할이다. 신조 운수구도 같이 설명한다. == 연혁 == * 1901년 4월 11일: 요네자와 기관고 야마가타 분고로 설치. * 1936년 9월 1일: 요네자와 기관구 야마가타 지소로 개칭. * 1937년 11월 10일: 야마가타 기관구로 승격. * 1986년 11월 1일: 야마가타 기관구와 야마가타 객화차구를 통합하여 야마가타 운전구 발족. * 1987년 3월 1일: 야마가타 운전소로 개칭. *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로 JR 동일본의 소속이 됨. * 1992년 7월 1일: 야마가타 운전소에서 검수부문을 분할하여, 야마가타 전차구 발족. * 2004년 4월 1일: 야마가타 차량센터로 개칭. * 2019년 4월 1일: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로 개칭. 동시에 관활지사를 신칸센 총괄본부로 이관. == 배치 차량 == 2018년 10월 1일 기준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선]], [[아테라자와선]] 차량들을 관리하고 검수한다. [[센잔선]] 열차는 [[센다이 차량센터]] 소속열차다. * [[신칸센 E3계 전동차]] (16편성 111량) * 1000번대 7량 편성 3개(L53~L55)가 배치되어 있다. * 2000번대 7량 편성 12개(L61~L72)가 배치되어 있다. * 700번대 6량 편성 1개(R18)이 배치되어 있다. * 1000, 2000번대는 야마가타 신칸센 '츠바사', 도호쿠 신칸센 '야마비코', '나스노'에 운용되고 있다. * 700번대는 '토리에유 츠바사'용으로 운용되고 있다. * [[701계 전동차]] (9편성 18량) * [[오우 본선]] 야마가타~신조 구간의 표준궤 [[개궤]] 작업에 따라 표준궤 전용 재래선 열차가 필요하여 5500번대 2량 편성 9개(Z1~Z9)가 배치되어 있다. 모든 열차가 원맨 운전에 대응한다. * 요네자와~신조 간의 보통열차로도 운용되고 있다. * [[719계 전동차]] (12편성 24량) * 오우 본선 후쿠시마~야마가타간 표준궤 개궤 작업에 따라 표준궤 전용 재래선 열차가 필요하여 5000번대 2량 편성 12개(Y1~Y12)가 배치되어 있다. Y1~Y6편성만 단독 운전에 대응하고 있다. * 야마가타선 전구간에서 보통열차로 운용된다. * [[키하 100·110계 동차|키하 101형 동차]] (13량) * 키하 101형 0번대 13량이 배치되어 있다. * [[아테라자와선]]에서 운용되며, 원맨 운전에 대응한다. * 야마가타 차량센터 구내는 표준궤 열차만 입선 가능하기 때문에, 본 차량의 검사는 [[사가에역]] 구내에 있는 유치선이나 검수 시설에서 정비를 받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JR 히가시니혼/차량기지, version=10, paragraph=3.4)] [[분류:JR 동일본]][[분류:일본의 차량사업소]][[분류:야마가타 신칸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