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고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야마구치현 제1구}}}}}}'''[br]{{{-1 {{{#ffffff 山口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Yamaguchi1.svg|width=100%]]}}}|| ||<-2><:>'''선거인 수'''||<-2><:>358,608명 (2020)|| ||<-2><:>'''상위 도도부현'''||<-2><:>[[야마구치현]]|| ||<-2><:>'''하위 행정구역'''||<-2><:>[[야마구치시]](북부 제외), [[슈난시]](동부 제외), [[호후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고무라 마사히로]]|| [목차] [clearfix] == 개요 == [[야마구치현 제3구]]와 함께 [[야마구치현]]의 중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고무라 마사히로.[* [[고무라 마사히코]]의 아들.] 주고쿠 지방 선거구들이 대부분 그렇듯, 이 선거구도 자민당 초강세 지역으로 ‘자민왕국’이라고 불리는 선거구 중 한 곳이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야마구치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7> [[고무라 마사히코]] ||<|9>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2> 고무라 마사히로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토쿠야마시, 호후시, 신난요시, 아토초, 사바군, 요시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코]][br](高村正彦)''' || '''125,924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72.57%'''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하야시 요시타케[br](林洋武) || 39,268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2.63% || 낙선 || ||<|2> [[무소속|{{{+3 {{{#fff 無}}}}}}]] || 미호 잇페이[br](三好一平) || 8,325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4.8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9,68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토쿠야마시, 호후시, 신난요시, 아토초, 사바군, 요시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코]][br](高村正彦)''' || '''143,49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5.47%'''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마자키 모모키[br](山崎桃生) || 51,49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3.5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카쿠나가 토모유키[br](魚永智行) || 24,16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0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9,68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슈난시, 호후시, 아토초, 사바군, 요시키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코]][br](高村正彦)''' || '''137,83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3.64%'''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오이즈미 히로코[br](大泉博子) || 66,67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0.79%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카쿠나가 토모유키[br](魚永智行) || 12,07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5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9,680표 ||<|2> '''투표율'''[br]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슈난시, 호후시, 아토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코]][br](高村正彦)''' || '''148,91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3.83%'''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키타즈미 요시유키[br](北角嘉幸) || 64,30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7.87%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미무라 마치요[br](三村真千代) || 20,05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6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9,680표 ||<|2> '''투표율'''[br]67.05% || || 선거인 수 || 358,226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3CA324>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슈난시, 호후시, 아토초}}}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코]][br](高村正彦)''' || '''142,10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주황색)] 추천] || '''56.99%''' || '''당선''' || ||<|2><#fff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타카무라 츠토무[br](高邑勉) || 94,25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7.80% || 낙선 || ||<|2><#DB001C>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사다요시[br](吉田貞好) || 10,11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06% || 낙선 || ||<|2><#ff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width=60]]]] || 무라타 준이치[br](村田純一) || 2,889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1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69,088 ||<|2> '''투표율'''[br]70.39% || || 선거인 수 || 359,225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슈난시, 호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코]][br](高村正彦)''' || '''133,77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5.91%''' || '''당선''' || ||<|2><#ffffff>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이이다 테츠나리[br](飯田哲也) || 35,622표 || 2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17.55% || 낙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토미무라 사토시[br](冨村郷司) || 23,813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11.73%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오나가 토모유키[br](魚永智行) || 9,75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4.8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79,680표 ||<|2> '''투표율'''[br]58.14% || || 선거인 수 || 357,488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슈난시, 호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코]][br](高村正彦)''' || '''120,084표''' || '''1위''' || || [[자유민주당(일본)|[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공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8.09%''' || '''당선''' || ||<|2> [[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타카무라 츠토무[br](高邑勉) || 39,375표 || 2위 || || [include(틀:유신당)] || 22.23% || 낙선 || ||<|2>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후지이 나오코[br](藤井直子) || 16,89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58%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6,411 ||<|2> '''투표율'''[br] || || 유권자 수 ||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D7003A> '''{{{+1 {{{#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슈난시, 호후시}}}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D7003A> '''{{{#fff 고무라 마사히로[br](高村正大)}}}''' || '''[[자유민주당(일본)|{{{#D7003A 자유민주당}}}]]''' || '''133,221[br](69.1%)''' || '''1위''' ||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오우치 가즈야[br](大内一也)}}} || [[희망의 당(2018년)|{{{#046240 희망의 당}}}]] || 36,582[br](19%) || 2위 || 낙선 || || ||<#DB001C> {{{#fff 고토 히로시[br](五島博)}}}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17,924[br](9.3%) || 3위 || 낙선 || || ||<#808080> {{{#fff 가와이 미와코[br](河井美和子)}}} || [[무소속|{{{#808080 무소속}}}]] || 5,070[br](2.6%) || 4위 || 낙선 || || || 계 ||<-2> 선거인 수 ||<-2> 362,270 || 투표율[br]54.43% || || [youtube(BjnwDfY9l0U)] || || 당선 후 환호하는 고무라 마사히로 진영 || 자민당 부총재인 [[고무라 마사히코]]가 제47회 총선 이후 정계 은퇴를 선언하면서, 자신의 아들 마사히로를 선거구에 내보냈다. 마사히로는 정치 경력도 없는 신인이었지만, 마사히코의 아들이라는 점 때문에 2위와 10만표 정도의 엄청난 차이로 선거구에서 손쉽게 당선되었다. 한국에서 [[문희상]]의 아들 [[문석균]]이 마사히로와 같이 신인이었지만, 가문 지역구인 [[의정부시 갑]]에서 떨어진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야마구치현 제1구|{{{#fff 야마구치현 제1구}}}]]}}}'''[br]{{{#fff 야마구치시, 슈난시, 호후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무라 마사히로''' || '''118,88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70.1%'''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오우치 가즈야 || 50,684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9.9%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56,209인 ||<|2> '''투표율'''[br]48.50% || || 유효표 || 169,566표 || 지난 선거에서 2위로 낙선한 오우치 카즈야가 야권단일 후보로 현직 초선인 고무라와 다시 격돌한다. 고무라가 지역구 관리를 열심히 했고 야마구치현 전체가 자민당의 텃밭이나 다름 없기에 오우치로서는 쉽지 않은 선거였고 상당히 순조롭게 고무라가 재선에 성공하게 되었다. 이는 미치 경상북도에서 보수우파계 후보가 1시간 동안만 유세해도 당선 유력이 금방 뜨는 것과 유사한 이치이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증10감으로 인해 야마구치현 선거구가 1석 감소하면서 선거구가 조정되었다. 여기서 관할하던 [[슈난시]] 전체가 2구로 넘어가고 3구에서 관할하던 [[우베시]]와 [[야마구치시]] 북부 지역이 넘어오면서 시 경계 분할이 해소되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고무라 마사히로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저번 선거에서는 3구에서 출마한 사카모토 후미코 전 메구로구의원이 이 곳으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한다. [[일본공산당|공산당]]에서는 미후지 미치코 후보가 공천받았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야마구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