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마하/전자악기 목록)] [include(틀:야마하 신디사이저)] [목차] == 개요 == [[야마하]]의 일본 내수용 신디사이저. 야마하에서 초급자에게[* 코무로가 [[EOS]]의 제품 컨셉이 "여성도 쓸 수 있는 신디사이저"라고 했지만 실질적으론 초보자들에게 적합한 신디사이저. 어차피 여자들도 일반적인 신디사이저의 사용 방법만 알면 잘 쓸 수 있다.] 맞춘 '''역대 최초의 파생형 신디사이저'''[* V시리즈가 최초의 파생형이라는 의견도 있다.]이고 '''역대 최초로 파생형 베스트 셀러'''[* 일본 내수용이고 사용자도 별로 없긴 했지만 사용자들도 거장급이고, 일본 내에서도 많이 사용했고, 베스트셀러에 가까운 기염을 토해냈다.] 개발 참여 겸 이미지 캐릭터는 [[코무로 테츠야]], [[아사쿠라 다이스케]]이다. == 장점 == * '''앰프 내장''' : [[앰프]]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로 앰프나 헤드폰을 구비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큰 무대가 아니면 딱히 앰프나 여러가지 등의 불편함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YS200, YS100, BX는 앰프가 없다. 아사쿠라가 홍보했던 마지막 모델인 BX가 앰프가 없어서 입문자들에게 별로 추천하지 않고 오히려 BX 발매 기준에서 10년 전에 발매한 B500을 더 좋아하는 모양이다. 그 시점에는 이미 추천하기에는 구닥다리 모델이라서 좀 그렇고 생산 종료는 한참 되었다.] * '''초보자들을 위한 신디사이저''' : 장점이자 단점이자 이 신디사이저를 제작한 목적이다. 일단 신디사이저는 초보자들에게 설계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퀀서는 제일 평가가 좋은 편. * '''EOS만의 오리지널 [[MIDI]]''' : 코무로 테츠야가 EOS 제작에 참여해서인지 오리지널 MIDI가 내장되어 있다. 방송에도 나와서 놀라게 한 적이 있다. * '''저렴한 가격''' : 일단 지금으로 보면 파생형 신디사이저로 따지면 비싼 가격이지만, 당시 기준으로 10만엔 대면 저렴한 편이다.[* 물론 그 시절에도 10만엔 미만의 신디사이저도 존재했었지만 건반이 미니 사이즈거나 61건반 미만이거나 또는 뭔가가 없었다.] 그리고 '''파생형이 없는 시점'''이라서 인기가 많을 수 밖에 없었고, 애초에 EOS가 시대를 잘 만났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 신디사이저들의 가격들을 보면 웬만한 건 2~30만엔대로 비쌌다. 같은 회사의 SY99는 42만엔으로 한화로 420만원이다.] * '''적극적인 인재 양성과 마케팅''' : 초중반 한정이지만 89년부터 94년까지 EOS 콘테스트를 열어 인재를 양성하고[* 심사위원은 당연히 코무로 테츠야와 아사쿠라 다이스케] 당시 [[리즈 시절]]이었던 야마하가 적극적인 지원으로 CF를 보내는 등 여러가지로 EOS를 알렸다. [[https://youtu.be/V4DWTVp5WMs|코무로가 직접 예능에서 소개]], [[https://youtu.be/6YkP6Xa-tzk|EOS B500 CM1]], [[https://youtu.be/wWEF4sWGNYw|EOS B500 CM2]], [[https://youtu.be/VX8a309tmrk|EOS B200 CM]], [[https://youtu.be/vsL066D57Pg|아사쿠라가 직접 예능에서 소개]] --하나를 제외하면 B500이다.--- == 단점 == * '''초보자들을 위한 신디사이저''' : 장점이자 단점이자 이 신디사이저를 제작한 목적이다. 일단 초보자들에게는 많이 사용됐지만 상급자들에게는 사용된 적이 별로 없었다. 심지어 미디도 초보자들에게 맞춰져 있어서 라이브에 사용해도 EOS에 있는 기존 미디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모델의 미디를 사용해야 했다.[* 코무로, 아사쿠라가 사용하는 EOS들은 그냥 컨트롤러로 봐야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 '''[[영 좋지 않은]] 케이블 연결 부분''' : 일단 신디사이저 케이블 연결 부분이 중앙에 있어서 당시 인기있었던 ULTIMATE의 T모양 스탠드를 사용하면 중앙이 막혀서 불편하다. 하지만 중앙이 막혀있는 스탠드가 아니라면 해당 사항 없다. 그런데 이건 [[https://youtu.be/wLKgbq-_DSY|모델에 따라 다른 모양이다.]](영상은 B200(위), B500(아래) 모델)[* B500부터 중앙에 놓아있다.] * '''일본 내에서만 생산(내수용)''' : 일본에서만 생산해서 일본 아니면 진짜 구하기 힘든 신디사이저이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덜 유명한 신디사이저. == 모델 == 일단 성능에 대해선 [[http://jp.yamaha.com/products/music-production/synthesizers/synth_40th/history/column/eos_series/|여길 참조 하는게 좋다.(일본어 주의)]] 그리고 이 시리즈는 내수용이니 일본 사이트를 제외한다면 정보가 없다. === YS100, YS200 === [[파일:야마하 EOS YS100, YS200.jpg]] YS100과 YS200의 차이점은 8트랙 시퀀서와 애프터터치 기능의 유무이다. 있으면 YS200, 없으면 YS100. ==== TQ5 ==== YS200의 사운드모듈 버전. 원판 모델처럼 8트랙 시퀀서가 탑재되어 있다. === B200 === [[파일:야마하 EOS B200.jpg]] 사운드나 기능은 YS200과 거의 똑같으나, 스피커가 장착되었다는 점이 큰 특징. 이 때부터 EOS만의 디자인이 나온다. 그리고 이 때부터 YAMAHA에서 홍보했고 코무로가 YS부터 쭉 사용한 결과 '''이 모델의 시작으로 베스트 셀러가 된다.''' 출고될 때는 YAMAHA 로고가 붙어있지만 스티커로 EOS 로고를 붙여서 쓸 수도 있었다. 밑에 있는 TM NETWORK의 Come on everybody에서 같은 모델이지만 로고가 다른 것이 그 증거. 이후 모델부터는 출고될 때부터 EOS 로고가 붙어서 나오게 된다. === DS55 === === B500 === [[파일:야마하 EOS B500.jpg]] '''EOS 시리즈 역대 최고의 베스트셀러'''[* B200이 [[페르소나 3]] 비슷한 존재라면(유명해지기 시작한 경우) B500은 [[페르소나 4]]에 비슷한 경우다.(가장 많이 팔린 경우)] 일단 이 모델은 EOS 시리즈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모델이다. 그리고 가장 라이브에서 활발하게 뛴 모델중 하나이다. [[https://youtu.be/b6bzL_kOxSU|제작 과정이 담겨져 있는 영상을 보자.]] === B700 === [[파일:야마하 EOS B700.jpg]] 카탈로그 : [[http://waf.prit.jp/oshiire/catalogue/eosb700-1.jpg|#1]] [[http://waf.prit.jp/oshiire/catalogue/eosb700-2.jpg|#2]] [[http://waf.prit.jp/oshiire/catalogue/eosb700-3.jpg|#3]] [[http://waf.prit.jp/oshiire/catalogue/eosb700-4.jpg|#4]] [[http://waf.prit.jp/oshiire/catalogue/eosb700-5.jpg|#5]] [[http://waf.prit.jp/oshiire/catalogue/eosb700-6.jpg|#6]] === B900 === === B900EX === === B2000 === [[파일:야마하 EOS B2000.jpg]] 1999년에 발매한 시리즈. [[야마하/EX시리즈|EX]]엔진을 탑재했다. ~~이후에 이 엔진은 MOTIF에 이식된다.~~ 그리고 드디어 화보를 동시에 찍었는데 [[http://blog-imgs-69.fc2.com/k/i/s/kisaragijun/IMG_20140722_210346_594.jpg|ver.DA]]와[[http://blog-imgs-69.fc2.com/k/i/s/kisaragijun/IMG_20140722_211155_145.jpg|ver.TK]]이 있다. === B2000W === [[파일:야마하 EOS B2000W.jpg]] 한정판으로 나왔다. --[[야마하/EX시리즈|원작 고증]]이 [[쓸데없이 고퀄리티]]다.-- EX엔진을 사용했으며 EX5S의 포지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BX === [[파일:YAMAHA_EOS_BX.jpg]] 2001년에 출시 되었으며 가격은 ¥110,000이다. 엔진은 motif와 같은 '''AWM2'''엔진이고[* 사실 1998년에 출시된 [[야마하/EX시리즈|EX5]]도 같은 엔진을 사용한다.] 61건반이다. 동시발음수는 64이다. 외형 치수는 각각 976 (W) × 285 (D) × 87 (H) mm이며 무게는 6.0kg이다. == 여담 == [[파일:Ultimate SL-37B.jpg]] EOS가 한 대만 갖춰져 있을 때 이 스탠드가 빠질수 없다.[* Ultimate SL-37B] 바로 [[http://blog-imgs-69.fc2.com/k/i/s/kisaragijun/201407232358499c5.jpg|이렇게]]. 그리고 EOS가 2차 창작이 묘하게 활발하다. 다만 모에화는 없지만 [[카가미네 린·렌]]이 사용하는 모습을 그린 것도 있고 피규어에 EOS B500을 드는 사진이 있다. == 데모 영상 == [youtube(Bm6uNuHNMzk)] 아사쿠라 다이스케 - Rainbow in the universe[* 작업하는 아사쿠라가 사용하고 있는것은 야마하의 시퀀서인 QX3이다. 여담으로 코무로가 아사쿠라가 QX3를 다루는것을 보고 너무 잘 다뤄서 좋게 평가했다.] [youtube(uZLJAX6JAws)] TM NETWORK - Come on everybady [[분류:신디사이저]][[분류:야마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