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마하/전자악기 목록)] [include(틀:야마하 신디사이저)] [목차] == 개요 == '''세계 최초로 양산된 Physical Modeling 방식의 신디사이저''' [[스탠포드 대학교]]의 CCRMA 에서 연구된 Physical Modeling Synthesis 기술을 [[야마하]]에서 라이선스 받았고, 이를 개선한 후, 여기에 Virtual Acoustic 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양산된 [[신디사이저]] 모델이다. 당시로서는 이전과 완전히 다른 합성방식을 채용한 덕에 매우 독특하고 개성있으며, 매우 사실적인 소리를 만들어내는 신기한 물건이었다. VL1 출시 당시 [[장 미셸 자르]], [[사카모토 류이치]] 등이 극찬을 하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기존 아날로그, FM, PCM 방식 등의 음 합성 방식과 차이점은, 기존 방식은 주어진 기술을 가지고 가능한 모든 소리를 내고 음을 합성하는 방법을 만들었다면, Physical Modeling 방식은 기존에 존재하던 악기의 물리적 특성을 말 그대로 모델링하여 이를 재현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애초부터 이렇게 설계되어 탄생했기 때문에 이전에 나온 신디사이저 대비 개성이 있으면서 매우 자연스러운 소리를 만들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윈드 컨트롤러]] 연주자에게 환영받았다. 호흡의 변화에 따른 음색의 변화를 매우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VL 시리즈 용으로 제공되었던, 컴퓨터에서 VL 시리즈 음원의 패치를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Visual Editor 화면(아래 그림)을 보면 더욱 잘 알 수 있다. [[파일:yamama-vl-visualeditor.png]] 편집 가능한 음색 파라미터를 보면 다른 신디사이저와 차이를 더욱 잘 알수 있다.[* 너무 커서 각주로 뺐다. 주소 복사 후 새 창에서 전체 사이즈로 보면 잘 보인다. [[파일:야마하 VL-70m 파라미터.jpg|width=100%]]] 더불어, Driver 를 Bow 로 하고, Pipe/String 을 Conical 로 하는 등 VL 시리즈는 VL 시리즈에서만 가능한 괴랄한 패치를 만들 수도 있다. == 모델 == === VL 시리즈(S/VA 음원) === VL70-m 을 제외한 VL 시리즈는 나중에 ROM 이 Version 2 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 VL1 ==== [[파일:yamaha-vl1.jpg|width=100%]] 1993년 발매. 최초로 양산된 Physical Modeling 신디사이저 타이틀을 딴 바로 그 물건이다. 당시에는 키보드 매거진. Sound Of Sound 등의 전문 잡지에서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이 적용된, 매우 독특한 소리를 내는 신디사이저로 대대적으로 소개했다. VL1에 사용된 음원 방식은 야마하에서 S/VA(Self-oscillating Virtual Acoustic Synthesis)으로 명명했다. 49건반에 최대 동시발음은 2음. 그런데 일단 눈에 보이는 사양과 성능 대비 엄청나게 비싼 가격[* 이 시절에 팔리던 신디사이저는 일본 현지 가격으로 보통 싼 것이 20만엔 대, 비싼 것이 30만엔 대였고, 40만엔을 넘어가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드물다. 그런데 건반 갯수가 61건반도 아닌 꼴랑 49건반인 주제에 동시발음(Max Polyphony)이 고작 2 밖에 안되는 물건의 출시 가격이 47만 엔이었다. 2000년대가 되어서야 솔로 파트 연주를 목적으로 하는 49건반 이하의 개성있는 고가 신디사이저가 꽤 등장했으나, 1990년대에 이러한 개념의 신디사이저는 흔한 물건이 아니었고, 한 대로 연주는 물론 미디신호를 녹음, 편집까지 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 개념의 신디사이저가 대부분이었다.]덕에 야마하의 다른 신디사이저에 비하면 전세계적으로 그다지 많이 팔린 편은 아니었다. ~~하지만 흉악한 VP1 을 생각하면 이건 많이 팔린거다.~~ [youtube(OYWxCrz3vmQ)] ==== VL1-m ==== [[파일:yamaha-vl1-m.jpg|width=100%]] 1994년에 발매. VL1의 3U 랙 마운트 모듈형이다. 음원부는 VL1 과 동일하다. 건반이 빠진 덕에 30만엔이 되었다. [[윈드 컨트롤러]]를 연주하는 사람들한테는 애초에 건반이 별 필요가 없으므로 이쪽이 더 인기가 있다. 그나마 비교적 쉽게 eBay 등지에서 중고 매물을 볼 수 있으나, 보통 2,500 ~ 3,000 USD 사이의 가격에서 거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VL7 ==== [[파일:yamaha-vl7.jpg|width=100%]] 1994년에 발매. VL1 의 저가 버젼. S/VA 음원을 채용했으나 동시발음이 1로 줄었다. 덕분에 가격이 조금 싸져서 30만엔이 되었으나, 역시 많이 팔리지는 않았다. ==== VL70-m ==== [[파일:yamaha-vl70-m.jpg|width=100%]] 1996년에 발매. VL1, VL7 은 유저 뱅크를 온전히 쓸 수 있었고, 신디사이저만 가지고도 뱅크의 모든 패치를 편집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VL70-m 은 VL7 처럼 S/VA 음원을 쓰면서 최대 동시발음이 1이며, 패치 뱅크가 롬에 구워져서 나오는 프리셋 256 패치, 약간의 파라미터를 편집할 수 있는 유저 70 패치가 제공된다. VL1, VL7 처럼 자유롭게 새로운 음색을 편집할 수 있는 뱅크의 패치 수를 6개로 줄이고, 기기 자체의 편집 기능을 삭제했으며, DTM 장비인 XG 음원과 연계되는 모드인 VL-XG 모드가 탑재되어 출시된 초 염가판. 59800엔이 권장 소비자가였다. ~~이제 좀 가격이 만만해졌다. 하지만 야마하는 일본 밖으로 나가면 가격이 1.5 ~ 2배가 되는 함정이 있지.~~ 가장 오래 살아남은 VL 시리즈로, 2011년에 단종되었다. 야마하의 윈드컨트롤러 WX5 와는 전용 케이블로 연결되며, EWI 나 다른 윈드 컨트롤러도 MIDI IN 단자로 문제없이 연결할 수 있다. 단종되기 전에는 자체 음원이 없는 WX5 와 사실상 한 세트로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윈드 컨트롤러에 최적화된 Windlist P-ROM, Patchman TURBO Chip 등 기본 롬 패치를 아예 바꿔버리는 롬을 사서 꼽을 수 있다. 초염가판임에도 S/VA 음원의 특징은 어디 가지 않았고, 아예 사제 롬으로 패치를 바꿀 수도 있으며, 갯수가 매우 적지만 어쨌든 6개의 패치를 컴퓨터를 써서 마음대로 고쳐 쓸 수 있는 등의 이유로 인기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아래의 동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youtube(3JArKnmsSl4)] ==== PLG100VL / PLG150VL ==== || [[파일:yamaha-plg150vl.jpg|height=330]] || [[파일:yamaha-plg100vl.jpg|height=330]] || PLG100VL 은 야마하의 XG Plugin System 용 확장보드, PLG150VL 은 MSPS(Modular Synthesis Plugin System)용 확장보드다. 둘이 거의 차이가 없으며, VL70-m 과 스펙이 동일하나 VL70-m 과 비교하여 일부 패치의 옥타브가 하나 높거나 낮은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VL70-m 과 달리 사제 롬을 꼽을 수는 없게 되어있다. (DIP 소켓이 아닌 땜질이 되어있고, SMD 규격의 롬을 사용한다.) 이 확장카드는 XG Plugin 단자가 있는 야마하의 구형 사운드카드 또는 MU90, MU100, MU2000 과 갈은 XG 음원모듈, MSPS 용 확장단자가 있는 MU200, MOTIF Classic, ES 시리즈 등에 장착할 수 있다. === VP 시리즈 (F/VA 음원) === ==== VP1 ==== [[파일:yamaha-vp1.jpg|width=100%]] 1994년 발표. VP1 은 [[사카모토 류이치]] 등 유명 키보드 연주자들의 요청에 의해 탄생한 것으로, S/VA 방식 음원과 함께 VL1 에는 없던 Physical Modeling 방식의 타악기 음원부가 추가됐으며, 연주 도중 음색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이 VL 시리즈보다 용이하다. 이 방식의 음원을 F/VA(Free-oscillating Virtual Acoustic Synthesis)로 명명했다. 건반이 76건반으로 늘었으며, 최대 동시발음이 16 으로 늘었다. 그 덕에 가격도 매우 크고 아름답게 270만엔에 발표되었다. ~~어이쿠 차 한대 값이네~~ VP1 은 야마하가 CS-80 에 했던 짓을 또 다시 반복한 물건 중 하나이다. ~~음원회로 복붙~~ 이 시대에 생산된 신디사이저는 소비전력이 보통 20W 내외인데, 이 물건은 180W 를 퍼먹는다. VP1은 안그래도 많이 팔리지 않은 VL 시리즈와 비교해도 매우 적게 생산되었으며, 중고 구입은 포기하는 것이 좋다.[* 근데 희귀도를 보면 중고구입을 포기 수준이 아니라 왠만하면 귀해도 유튜브에 나오지만 '''이 신디사이저는 너무 구하기 어려워서 데모만 재외하면 인증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을정도다.'''] == 사용 뮤지션 == ※ ㄱ-ㅎ/A-Z 순서로 작성 * [[아사쿠라 다이스케]]([[access]]) : VL1, VP1 * [[코무로 테츠야]]([[TM NETWORK]]) : VP1 * 후지이 마키([[Soft Ballet]]) : VL1 == 여담 == VL 시리즈는 [[메구리네 루카]] 의 모티브가 되었다. [[http://www.dtmm.co.jp/archives/2009/01/vocaloid2_cv031_1.html|#]] --다른 보컬로이드 보다 원작고증이 뛰어나다-- 대부분 보컬로이드는 외형만 모티브가 되어 제작되고 고증은 안하지만, 메구라네 루카는 항목을 보면 외형뿐만이 아닌 쿨하고 신비스러우며 독특한 소리를 낸다는 컨셉도 일부분 공유하고 있다. 의상은 전반적으로 이 문서에서 다루는 VL 시리즈의 디자인을 모티브로 삼으면서 군데군데 DX 시리즈의 모듈 버젼인 TX 시리즈 기기의 모습도 심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단순히 보컬로이드 역할뿐만이 아니라 관악기(...)역할도 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신디사이저]] * [[윈드 컨트롤러]] [[분류:신디사이저]][[분류:야마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