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야생소녀)] [[분류:야생소녀]] [목차] == 개요 == [[파일:야생소녀던전.jpg|height=100%&width=100%&align=center]] 각 지역의 캠페인을 일정 부분이상 클리어 시 개방되는 컨텐츠로 클리어 시 배양, 특수제작에 필요한 재료 일부와 모든 레어도의 던전 장비를 획득 할 수 있다. 높은 지역을 클리어 할 수록 더 높은 티어의 장비를 획득할 수 있다. == 폐쇄된 배양실 - 타일런트 드래곤 == 맹공의 세트, 원기의 세트, 저항의 세트를 가진 장비를 얻을 수 있는 던전. 딜러에게 유용한 옵션인 맹공의 세트를 얻을 수 있어 흔히 '''맹공 던전'''이라고 부른다. === 보스 정보 === [[파일:야생소녀맹던10층.jpg]] ||<-4> '''폐쇄된 배양실 10지역''' || || '''정신 내성''' || '''드래곤 클로''' || '''드래곤 하울''' || '''역린''' || || Passive || Normal || 4턴 || Passive || || 자신을 기절, 수면, 혼란 효과에 면역 상태로 만듭니다. || 거대한 손을 휘둘러 적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80% 확률로 치명적인 상처와 2턴 동안 출혈을 부여합니다. || 드래곤 하울링으로 적 전체에게 피해를 입히고 1턴 동안 기절 상태로 만듭니다. || 적에게 공격당할 때 마다 역린 버프를 획득합니다. 역린 버프 1개당 공격력과 방어력이 10% 상승하며 역린 버프가 6개가 되면 즉시 적 전체에게 피해를 준 후 모든 역린 버프를 해제합니다. || === 공략 === 타 던전들과 달리 잡몹의 데미지가 강하고, 공격력 증가나 회복 등의 버프를 거능 몹도 있어서 1스테이지의 난이도는 모든 던전들 중에서도 최강을 달린다. 이 때문에 보스에게 가지도 못하고 아니마가 터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플레이 시 주의가 필요하다. 보스의 경우 기본적인 데미지가 높으며, 광역 기절이 있으나 던전 보스들 중에서 유일한 '''단일''' 공격이 있다는 약점[* 역린 6스택 때 사용하는 브래스는 제외.]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게 관건이 된다. 이 때문에 광역기 사용을 묶고 공격력을 낮추는 [[델리(야생소녀)|델리]]는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며[* 이론상이지만 도발+공깎이 스킬 사용 때마다 걸려준다면 보스의 광역 기절을 한 번도 맞지 않고 클리어 할 수 있다.], 브래스와 평타의 데미지를 상쇄하면서 딜링을 할 수 있는 조합을 요구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합은 '''[[델리(야생소녀)|델리]]/[[도로시(야생소녀)|도로시]]/[[엘리샤(야생소녀)|엘리샤]]/[[아이린(야생소녀)|아이린]][* 딜링을 순수 데미지가 아닌 독 디버프에 맡기기 때문에 장비 세팅을 다르게 하는 경우도 많다.]'''이다. 스펙이 애매할 경우 엘리샤 대신 [[이자벨(야생소녀)|이자벨]]이나 [[퀸(야생소녀)|퀸]]을 선택하여 생존률을 높히거나, 혹은 [[베아트리스(야생소녀)|베아트리스]]을 넣어 추가적으로 출혈 데미지를 노리는 방법을 노릴 수 있다., 또한 아이린 대신 [[체이스(야생소녀)|체이스]][* 다만 이쪽은 생존력이 낮기 때문에 높은 층일수록 권장되지 않는다.]나 [[갈리]]를 딜러로 픽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위에서 서술한 대로 델리는 대체가 불가능한 수준이니 던전을 돌기 전에 꼭 육성하는 것이 좋다. 최근 13~14층의 던전이 열렸는데, 이 층부터는 역린이 4스택이 되면 반격이 들어오는 것[* 사실상 독 디버프를 가진 멤버 이외에는 공격을 봉인 당한다고 생각하면 된다.]과 보스의 상태이상 내성의 강화 또한 2턴의 회복불가 디버프와 기절 디버프의 여러가지 악조건들이 겹쳐 사실상 같은 층의 던전에서 가장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게 되었다. 사실상 장비를 잘 맞추어도 운요소가 상당하게 따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난이도 조절이 반드시 필요할 정도. == 독 나무의 숲 - 켈베로스 == 철벽의 세트, 치명의 세트, 적중의 세트를 가진 장비를 얻을 수 있는 던전. 치명의 세트를 얻을 수 있어 '''치명 던전''' 또는 던전의 이름을 따와 '''독 던전'''이라고 부른다. 여담으로 속도를 추가옵션으로 붙일 수 있는 블랙 카드를 얻을 수 있어 이를 노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지이다. === 보스 정보 === [[파일:야생소녀독던10층.jpg]] ||<-4> '''독 나무의 숲 10지역''' || || '''정신 내성''' || '''맹독성 가스''' || '''황천의 불꽃''' || '''생명의 연결''' || || Passive || Normal || 3턴 || Passive || || 자신을 기절, 수면, 혼란 효과에 면역 상태로 만듭니다. || 적 전체에게 맹독성 가스를 뿜어 강력한 피해를 입히고 2턴 동안 독과 출혈 상태로 만듭니다. || 불꽃 회오리를 생성하여 적 전체에게 강력한 피해를 입힙니다. 자신에게 적용된 디버프 수가 적 전체에게 걸린 디버프 수 보다 적은 경우 스킬 쿨타임을 2턴 감소 시킵니다. || 피격 시 공격한 대상을 70% 확률로 2턴 동안 독 상태로 만들고 턴 종료시 자신에게 적용된 디버프 수가 적 전체에게 걸린 디버프 수보다 적은 경우 자신의 체력을 15% 회복합니다. || === 공략 === 우선 보스의 모든 스킬은 모두 지속적인 DOT형 디버프를 걸고, 만약 자신의 디버프 보다 상대가 디버프가 많으면 자신의 체력을 회복하는 방식이다. 그러다 보니 아군의 상태이상 회복과 동시에 회복 불가를 붙일 수 있는 [[델핀(야생소녀)|델핀]]을 필수멤버로 하여, 디버프를 누적 시킬 수 있는 멤버인 [[베아트리스(야생소녀)|베아트리스]]를 넣어 상대의 디버프 개수를 늘리고, 주요 뎀딜은 [[피리스|피리스]]와 [[에코(야생소녀)|에코]]로 담당하는 형식으로 운영해야 한다. 요건은 아군의 디버프 개수를 줄이고, 적극적으로 상대의 디버프를 늘리는 동시에 회복불가 디버프를 통해 회복을 막는 것이니 반드시 회복불가를 걸 수 있는 멤버를 투입해야 할 것. == 카프톨 발전소 - 프로토타입 오로치 == 광기의 세트, 신속의 세트, 저항의 세트를 가진 장비를 얻을 수 있는 던전. 지원형이나 방어형이 자주 쓰는 신속의 세트를 얻을 수 있어 '''신속 던전'''이라고 부른다. === 보스 정보 === [[파일:야생소녀신속던10층.jpg]] ||<-4> '''카프톨 발전소 10지역''' || || '''정신 내성''' || '''트라이 블래스터''' || '''아토믹 블래스터''' || '''과충전 시스템''' || || Passive || Normal || 3턴 || Passive || || 자신을 기절, 수면, 혼란 효과에 면역 상태로 만듭니다. || 레이저를 발사하여 적 전체에게 강력한 피해를 입힙니다. 과충전 버프가 4개 이상인 경우 자신을 3턴 동안 공격력 증가 상태로 만든 후 트라이 블래스터를 한 번 더 사용합니다. || 레이저를 난사하여 적 전체에게 강력한 피해를 입힙니다. 과충전 버프가 4개 이상인 경우 자신을 3턴 동안 속도 증가 상태로 만든 후 추가 턴을 획득합니다. || 턴 종료시 과충전 버프를 1개 획득합니다. 과충전 버프는 해제되지 않으며 1개당 공격력이 5% 상승합니다. 과충전 버프가 8개 이상일 때 자신을 면역과 반격 상태로 만듭니다. || === 공략 === 1페이즈가 보스보다도 어려워질수 있는 맹공 던전과 달리 아니마가 터져나갈 걱정은 적으나 골렘의 피 회복과 높은 체력때문에 잡몹 처리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다만 스펙이 애매할 때는 보스가 워낙 어렵기도 해서 잡몹 처리의 경우 어느 정도 여유가 있지 않는 한 하지 않는 편. 보스 턴이 시작될 때 '''과충전''' 스택이 쌓이며, 스택이 쌓일때마다 보스가 강화되는 데다 일정 스택 이상이 쌓일 경우 추가 턴을 가지는 등 사실상 플레이어를 골로 보내는 일이 많기 때문에 어떻게든 과충전 스택이 쌓이는 것을 막는 것이 핵심. 과충전 스택이 쌓이기 전에 빠르게 턴을 돌리거나 [[리안(야생소녀)|리안]]으로 보스의 행동 게이지를 밀어 스택을 아예 쌓지 못하게 하며 보스를 잡는 방법이 있고, 로제 2스킬 등 '''강화 불가'''가 붙은 스킬들을 이용해 스택을 쌓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스택이 없는 보스는 약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힐러로 꾸준히 보조를 해주고 공격을 버티면서 때리면 쉽게 잡을 수 있으니 체력과 스택 관리만 잘해주면 위닝런이라 봐도 무방. 주로 1티어 딜러로 평가받는 '''[[봄소풍 먼치킨|봄치킨]]'''이 자주 채용되며[* 최근에는 [[유즈키(야생소녀)|유즈키]]를 데려가는 경우도 많은데 그 이유는 보스전에서 봄치킨 이상으로 상당한 딜을 뽑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강화 불가 전략의 핵심인 '''[[로제(야생소녀)|로제]]'''나 정석적인 공략 캐릭터인 [[리안(야생소녀)|리안]]을 데려가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 힐러로 [[도로시(야생소녀)|도로시]], [[멜(야생소녀)|멜]] 등을 데려가는 편. 로제가 있을 경우 스킬 순서 걱정을 안해도 되기에 필수로 데려가는 경우가 많으며, 없는 경우 [[아키리나]]의 3스킬 스킬작을 전부 끝내 '''버프 제거'''를 붙이고 채용하는 등 나름대로 공략법이 많다. 다만 이렇게 데려가도 고스펙이 아닌 한 보스의 스킬에 터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절대 쉽다고는 할 수 없다. 장비는 신속셋을 주고 강화 불가를 지속적으로 걸어주자. 적중 스텟을 높여 저항이 뜨지 않게 만들어 주는 것도 좋다. 로제의 2스킬을 스킬작으로 쿨타임 감소 까지 시켜주면, 보스가 과충전을 한 번도 못쌓아보고 죽을 수도 있다. 하지만 13층 부터는 죽기 직전에 베리어가 생성되며 이를 파괴하지 못했을 때에 체력을 회복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잘 계산하여 유즈키에게 공격 버프를 주고 상대에게 방깎과 낙인 디버프를 건 상태에서 단번에 체력을 깎는 형태로 끝을 보거나, 아니면 베리어를 잘 부술수 있는 멤버를 데려갈 것[* 이외로 [[이델(야생소녀)|이델]]이 베리어를 잘 부수기 때문에 의도치 않게 입지가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