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전사족]]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희왕 러시 듀얼의 야수전사족, rd1=유희왕 러시 듀얼/종족, anchor1=야수전사족)] [include(틀:유희왕/OCG/종족)] ||<#fff> [[파일:card100066948_1.jpg|width=100%]] || || ['''야수전사족'''/효과] 카테고리를 가진 [[신수왕 바르바로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ype-BeastWarrior-LOD2.png]]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ruby(獣戦士, ruby=じゅうせんし)][ruby(族, ruby=ぞく)]'''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야수전사족'''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Beast-Warrior'''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등장하는 종족.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은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다. == 특징 == 야수족과 전사족 사이에서 파생된 종족으로, 기본적으로 야수족과 유사하게 짐승 형태의 몬스터가 많지만, [[오크]]처럼 2족 보행을 하며, 손에 다양한 무기를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염성 이후로는 평범한 인간을 베이스로 동물의 특징을 가미한 디자인도 많아진 편. 투박한 이미지 탓인지 타점이 높은 몬스터가 많은 편. 한때는 제대로 된 서포트 카드가 없어 야수전사족 단일 덱 구축은 불가능했다. 대신 야수족, 비행야수족과 공유하는 서포트 카드가 많아 세 종족을 적절히 혼용하는 덱이 유행했다. 그도 그럴 것이, 염성이 나오기 전에는 야수족과 관련 없는 순수 야수전사족 서포트는 '''단 3장'''밖에 없었다. 그러다 '''[[염무-「천기」]]'''로 대표되는 야수전사족 서포트 카드를 다량 가진 [[염성(유희왕)|염성]]이 등장하며 그 입지가 바뀌었다. 염성의 등장 이후로 '''[[십이수(유희왕)|십이수]]''', [[문라이트(유희왕)|문라이트]], [[전황(유희왕)|전황]] 등 다양하고 강력한 야수전사족 단일 카드군이 등장했다. 만능 서치 카드인 천기의 존재만으로도 야수전사족에 속하는 것이 큰 메리트가 되어 현 유희왕에서는 꽤 입지가 좋은 종족이라고 할 수 있다. == 소속 카드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총검사령 가톰즈.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신왕 바르바로스.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입염성.png|width=100%]]}}} || || '''[[X-세이버|{{{#BCBCBC 가톰즈}}}]]'''[br]{{{-2 예시 : [[총검사령 가톰즈|{{{#BCBCBC 총검사령 가톰즈}}}]]}}} || '''[[바르바로스(유희왕)|{{{#BCBCBC 바르바로스}}}]]'''[br]{{{-2 예시 : [[바르바로스(유희왕)#수신왕 바르바로스|{{{#BCBCBC 수신왕 바르바로스}}}]]}}} || '''[[염성(유희왕)|{{{#BCBCBC 염성}}}]]'''[br]{{{-2 예시 : [[입염성-토우케이|{{{#BCBCBC 입염성-토우케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십이수 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문라이트 샤벨댄서.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황맹장.png|width=100%]]}}} || || '''[[십이수|{{{#BCBCBC 십이수}}}]]'''[br]{{{-2 예시 : [[십이수#십이수 라이카|{{{#BCBCBC 십이수 라이카}}}]]}}} || '''[[문라이트(유희왕)|{{{#BCBCBC 문라이트}}}]]'''[br]{{{-2 예시 : [[문라이트(유희왕)#문라이트 사벨 댄서|{{{#BCBCBC 문라이트 사벨 댄서}}}]]}}} || '''[[전황(유희왕)|{{{#BCBCBC 전황}}}]]'''[br]{{{-2 예시 : [[전황(유희왕)#전황맹장-쌍룡|{{{#BCBCBC 전황맹장-쌍룡}}}]]}}} || === 시리즈(카드군 미지정) === * [[라인몬스터]] *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 === 미OCG화 ===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애니메이션]]에서 == 야수전사족을 중심적으로 다루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사용 캐릭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죠노우치 카츠야]][* 듀얼리스트 킹덤 한정, 배틀 시티 편에선 팬서 워리어 1장만 썼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 [[텐죠인 후부키]][* [[텐죠인 아스카]]와의 듀얼 중 한정.] * [[유희왕 ZEXAL]] : [[카타기리 다이스케]] * [[유희왕 ZEXAL(코믹스)]] : [[비차각]] * [[유희왕 ARC-V]] : [[세레나(유희왕)|세레나]], [[배틀 비스트]] == [[유희왕 듀얼링크스]] == 야수족에 비하면 훨씬 선전하는 종족이다. 초반에 굉장히 유용한 [[미노타우로스(유희왕)|격앙한 미노타우로스]]가 있고 마찬가지로 1900이라는 준수한 하급 타점의 [[블러드 볼스]]와 조이의 '전사족의 필드' 스킬이 호궁합이라 한때는 야수전사 비트 덱도 있었다. 특히 [[헤이즈 비스트]]가 나오면서 제대로 강화되었고 [[염무]]와 [[염성]]이 나오고 지금도 지원을 받으면서 크게 강화되었다. 해당 종족 사용 캐릭터가 없는데도 나름 잘나가는 편이었다. 그러나 이건 초창기의 얘기고 점차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애초에 야수족과 마찬가지로 종족 서포트 카드가 너무 적기 때문. 야수족은 나왔는데 그게 하필 바분 팩이라 망한 거라면 얘네는 아예 야수전사를 제대로 지칭하는 카드를 찾기가 힘들다. 염무/염성이나 검투수나 공아단이나 종족 단위보다는, 카드군이 핵심이었으며 카드 풀이 너무 좁다. 야수전사 특성상 야수랑 묶이기 쉬운데 야수가 망해버린 현시점에서 야수전사라는 종족 자체가 뜨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게 그냥 묻히던 중 2020년 [[JUDGEMENT FORCE]]에서 아크파이브 시즌에서 나왔던 [[문라이트(유희왕)|문라이트]]가 풀려 야수전사족을 대표하는 테마가 되었다. 보통은 문라이트 자체보다는 [[문라이트(유희왕)#문라이트 크림즌 폭스|폭스]]만 용병으로 채용해 [[네오스 퓨전]]으로 상대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들고 날로 먹는 덱에 많이 채용되긴 하지만 2020년 6월 KC컵에서는 3위를 순수 문라이트 덱이 차지한 만큼 문라이트의 자체 파워도 상당한 수준이다. 결국 문라이트 덱이 지나친 강세를 보이자 자주 사용했던 스킬인 근성을 너프하고, 크림즌 폭스가 제한 2가 되었다. 이후에는 [[염성(유희왕)|염성]]이 대량 지원을 받았고, 야수전사족의 비중이 높은 [[염왕]]이 스트럭처덱에 등장하면서 존재감이 늘었다. 또한 문제의 [[염무-천기]]가 나오면서 상당히 강력해졌지만, 역으로 '''지원 예정'''이라는 이유만으로 기존에 조용히 지내던 [[문라이트(유희왕)|문라이트]]에 대량 금제를 가하는 바람에 이에 대한 비판도 많은 편이다. 문라이트가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만큼 밸런스는 핑계고 현질 유도가 진짜 목적이 아니겠냐는 냉소적인 태도도 보이는 편. 정작 염무-천기가 오면서 야수전사족들은 대폭 상향. 정작 본래 주인인 염성은 카드들이 너무 많이 흩어져 있어 빛을 그닥 못 본 반면, 야수족이 들어간 카드군을 사용하는 모든 카드들은 서치 속도가 순식간에 늘어났다. 이후로 문라이트는 3제를 2개 받았음에도 천기의 힘으로 비티어 최상위권에 속하고 있으며 염왕도 가네샤를 서치할 수 있게 되면서 파워가 자연스레 오르는 모습을 보여줬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 version=1397, paragraph=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