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JRA상 부내국산마)]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야에노_무테키.jpg|width=100%]]}}} || ||<-2> 이름 || ヤエノムテキ[br]Yaeno Muteki || ||<-2> 출생 || [[1985년]] [[4월 11일]] || ||<-2> 죽음 || [[2014년]] [[3월 28일]] (29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밤색 (栗毛,쿠리게) || ||<-2> 아비 || 야마닌스키 (ヤマニンスキー) || ||<-2> 어미 || 츠루미 스타 (ツルミスター) || ||<-2> 외조부 || 옐로우 갓 (Yellow God) || ||<-2> 생산자 || 미야무라 목장 || ||<-2> 마주 || (유) 후지 || ||<-2> 조교사 || 오기노 미츠오 (릿토) || ||<-2> 성적 || 23전 8승 (8-4-3-8) || ||<-2> 총상금 || 5억 2422만 7500엔 || ||<|2> 주요[br]우승 || G1 || [[사츠키상]](1988)[br][[천황상#s-3|천황상·秋]](1990) || || G2 || [[교토신문배]](1988)[br][[나루오 기념]](1988)[br][[오사카배]](1989) || ||<-2> 주요 수상 || 1990년 [[JRA상]] 최우수 부내국산마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61(1988) / 59(1989)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85104215/|[[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179698/|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무테키.jpg|width=100%]]|| || '''도쿄 2000m에서 피어난 무적의 춤[* 무적을 가타카나 "무테키"(ムテキ)로 표기했다.][br]{{{-2 東京の二千に咲いたムテキの舞い}}}''' || || '''{{{#white 히어로 열전 No.31}}}''' || ||[[파일:Yaeno_Muteki_Portrait.jpg|width=100%]]|| || '''빛과 뜨거움과[br]{{{-2 輝きと熱さと}}}''' || || '''{{{#white 2021년 명마의 초상}}}''' || >'''빛과 뜨거움과''' > >길항하는 별들 >맞서 싸우는 영혼들 >작은 방심과 주저함이 >곧 열세를 부른다 > >자신 안에 있는 >빛을 잃지 마라 >열을 식히지 마라 > >그것들은 주위를 격파하고 >이겨나가기 위한 >무적의 힘이 되는 법이니까 >---- >JRA 명마의 초상 일본의 경주마.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야마닌스키[br]{{{-2 ヤマニンスキー[br]1975}}}||<|2>'''[[니진스키 2|니진스키]]'''[br]{{{-2 Nijinsky[br]1967}}}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노던 댄서]][br]{{{-2 Northern Dancer}}}|| ||플레이밍 페이지[br]{{{-2 Flaming Page}}}|| ||<|2>언멘셔너블[br]{{{-2 Unmentionable[br]197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벅패서'''[br]{{{-2 Buckpasser}}}|| ||페티코트[br]{{{-2 Petticoat}}}|| ||<|4>츠루미 스타[br]{{{-2 ツルミスター[br]1980}}}||<|2>옐로우 갓[br]{{{-2 Yellow God[br]196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레드 갓[br]{{{-2 Red God}}}|| ||샐리 딘스[br]{{{-2 Sally Deans}}}|| ||<|2>후지코[br]{{{-2 フジコウ[br]1964}}}||솔로너웨이[br]{{{-2 Solonaway}}}|| ||하마 미도리[br]{{{-2 ハマミドリ}}}|| ||<-3>* 메노 5×5×5 9.375%[br]* [[네아르코]] 5×5 6.25% || 모계 4대모 후지 사카에(フジサカエ)는 후지키타(伏木田)목장의 사위가 미야무라 목장으로 독립하면서 데려온 유일한 번식암말이다. 모계 2대모 후지코의 마주가 은퇴하면서 후지코를 목장에 양도했기에 미야무라 목장주는 감사하는 마음을 항상 간직하고 있었다. 후지코가 1985년부터 수태하지 못했지만 다른 곳으로 보내거나 용도변경[* 작은 목장에서 활용가치가 없어진 말을 계속 기르는 것은 어려운 결정이다.]하지 않고 끝까지 길렀다고 한다. 야에노 무테키가 사츠키상을 우승한 후에 미야무라 목장주는 가장 보고 싶은 사람으로 후지코의 마주를 꼽았다. 어미인 츠루미스타는 추선마[* 츄센바(抽選馬). 구매자를 찾지 못한 말 중 일부를 JRA에서 구매해 자체로 조교 후 추첨 형식으로 회원에 판매 혹은 분배하는 제도로 2003년부터는 JRA 육성마 제도로 바뀜.]였는데, 3회에 걸쳐 경주에 출주했지만 결국 미승리로 끝났던 말이다. 마주는 승마나 사역마로 전환할 생각이었지만 이 말의 조교사였던 오기노 미츠오씨는 마체에 힘이 있고, 혈통도 나쁘지 않다는 점에 주목해서 마주를 설득. 망아지를 분할 소유[* 仔分け, 어미말의 마주가 교배비와 어미말의 사육비를 분담. 생산자가 망아지의 육성비 일체를 분담하여 서로의 부담을 줄이고 망아지에 대한 권리를 나눠 갖는 방식]하는 조건으로 번식 암말로 삼았다. 그리고 조교사인 오기노씨의 선택으로 교배 첫해에는 [[니진스키 2|니진스키]]의 자식이지만 조건전 우승에 그친 야마닌스키와 교배시켜, 야에노 무테키가 태어나게 되었다. == 생애 == === 데뷔 전 === 큰 몸집과 근육량을 타고났지만 기성이 거칠고 주위 말들과 다투며 암말의 뒤를 쫓기도 하는 등 말썽이 잦아 결국 목장에서는 방목지에 혼자 풀어 놓기도 했다. 성장과정을 자주 보러 온 조교사 오기노 미츠오는 당시 맡은 같은 나이의 경주마 야에노 다이아[* 17전 4승. 1988년 [[고베신문배]] 우승마]의 마주 오이케 마사오에게 권유해 1300만엔의 가격으로 오이케의 마주 법인 소유가 되었다. 오기노 마사에 들어 오고 당초에는 여름에 데뷔하려 했지만 뒷다리의 성장이 충분치 않고 앞다리에도 문제가 있어 늦어졌다. 여전히 기성이 거칠어서 다른 조교 조수들이 맡기 꺼렸기 때문에 오기노의 아들인 조교 조수 오기노 마사오가 담당할 수밖에 없었고 미국의 마사에서 2년간 유학을 다녀온 마사오에게도 야에노 무테키를 다루는 게 쉽지 않았다고 한다. === 1988년 === [include(틀:1988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4세(현 3세) 2월에야 늦은 데뷔를 하게 되었지만 주전 기수로 니시우라 카츠이치[* 테루 텐류, 아그네스 테스코, [[카츠라기 에이스]], 카츠라기 하이든 등의 주전기수. 조교사로서는 [[티엠 오션]], [[카와카미 프린세스]], [[홋코 타루마에]] 등을 담당했다.]가 정해진 후 첫 경기는 7마신 차, 2번째 경기는 12마신 차의 압승으로 더트에서 2연승을 달렸다. 이에 고무된 진영은 클래식 경주 출주 조건을 채우기 위해 8일 만에 첫 잔디 중상 [[마이니치배]]에 출주 했다. 그러나 게이트 불량, 중마장으로 인한 고전으로 카사마츠에서 온 괴물 [[오구리 캡]]의 승리를 바라보며 4착에 그쳤고 사츠키상 출주를 위한 수득상금 확보에 실패했다. 야에노 다이아가 크리스탈 컵에 나가게 되면서 일단 야에노 무테키도 같이 미호로 이동했다. 그 사이 [[사커 보이]] 등 유력마들이 부상의 이유로 출주 회피가 이어지면서 야에노 무테키는 추첨으로 6마리 중 3마리가 사츠키상에 나가게 되는 상황이 되었고 여기에 뽑히면서 극적으로 사츠키상에 나가게 되었다. || [youtube(stxDZgGBqqI)] || || 1988년 사츠키상 || 1988년 [[사츠키상]]은 나카야마 경마장이 개수 공사 중이어서 도쿄 경마장에서 펼쳐졌다. 야에노 무테키가 게이트 1번을 받고 선두에서 4번째 위치로 달리는 사이 제2 코너에서 후방의 경주마들이 사행으로 얽히면서 선행 집단이 유리한 전개가 되었다. 최종 코너에서 먼저 움직인 [[사쿠라 치요노 오]]와는 달리 야에노 무테키는 먼저 도주마가 실속하는 것을 안전하게 피한 후 직선 주로에서 스퍼트를 시작, 사쿠라 치요노 오를 제쳐내며 그대로 선두를 지켜 첫 중상승리로 클래식 경주 사츠키상[* 4경기만에 사츠키상에서 우승한 것은 1952년 쿠리노 하나, 1965년 치토세 오, 1979년 [[토쇼 보이]], 1985년 [[미호 신잔]] 이 후 5번째 기록이었다.]을 제패했다. 번식 암말이 6마리에 불과했던 작은 생산 목장인 미야무라 목장은 물론 마주 생활을 30년 넘게 했던 오이케 마사오에게도 첫 중상 우승이었고 조교사 오기노 미츠오에겐 첫 G1 승리였다. 우승 후 큰 기대를 받으며 나온 [[일본 더비]]에서는 사츠키상 때와 같은 스퍼트를 내지 못하고 4착으로 패배했다. 오기노 조교사는 야에노 무테키가 건강하다는 판단에 방목을 보내지 않고 여름 중상에 나갔으나 봄에 부진했기 때문에 성적을 쌓기 위해 나온 사커 보이를 만나 2착으로 패했다. 2달 후 가을 일정에서 2연승을 거두며 [[킷카상]] 출주권을 따내 1번 인기로 당당히 출주했지만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10착에 그쳤다. 이에 등급을 낮추고 나간 [[나루오 기념]]에서 코차로 승리해 중상 3승째를 채웠고 팬투표 4위에 오른 아리마 기념은 포기하며 시즌을 마쳤다. === 1989년 === 1989년 첫 경기에서 사행에 약간 불리함을 받고 8세(7세마) 랜드 히류[* 22전 7승. 1987년 [[타카마츠노미야배]] 우승마.](ランドヒリュウ)에 패했지만 [[오사카배|산케이 오사카배]]에서 설욕에 성공하며 우승, 봄의 최고 목표였던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당당히 팬투표 1위에 1번 인기를 받고 출주했다. 그러나 경주에서는 직선 주로에서 힘을 내지 못하며 7착으로 부진한다. 여름 휴양 후 복귀가 늦어져 [[천황상 가을]]에서야 나왔지만 [[오구리 캡]], [[슈퍼 크릭]], [[메지로 아르당]], [[이나리 원]]이 4강 구도로 예상되는 가운데 6번 인기라는 냉담한 시선을 받았고 오구리 캡, 슈퍼 크릭, 메지로 아르당이 직선 주로에서 명장면을 펼치는 가운데 1 3/4마신 차 떨어진 4착을 기록했다. 이어 팬투표 5위로 뽑힌 아리마 기념에서도 6착에 그치고 말았다. === 1990년 === [include(틀:1990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1990년 중상 2경기에서 1번 인기로 나왔지만 그때까지 중상 1승이던 토와 트리플, 0승이던 메지로 워스에 패하며 2, 3착을 기록하고 산케이 오사카배에서는 선전했지만 슈퍼 크릭과 [[오사이치 조지]]를 이겨내지 못했다. 아쉽게 우승을 놓치는 경기가 이어지자 결국 기수 교체를 선택한다. 오기노 마사오는 미국 유학 중에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에도 오르는 조교사 론 맥커널리(Ronald L. McAnally) 마사에 있었는데 마침 미국 원정을 온 [[심볼리 루돌프]]가 들어왔고 기수 [[오카베 유키오]]를 만나 친해졌기 때문에 야에노 무테키의 기수로 영입할 수 있었다. 그렇게 나간 [[야스다 기념]]에서 선전했지만 레코드를 세운 괴물 오구리 캡에 2마신 차 2착을 기록했고 이어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는 3착, G1의 문턱을 아깝게 놓치고 있었다. 오기노 조교사는 헤이세이 3강이 고마 최강을 다투는 사이 G1 1승에서 더 올라가지 못하고 있는 야에노 무테키가 종마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사츠키상 우승 때와 같은 도쿄 2000m 경주인 천황상 가을이 최고의 기회라 판단했다. 이에 기성이 거칠어 지금까지 강한 조교를 하지 않았던 야에노 무테키에 타협하지 않고 엄격한 조교를 실시했으며 미호로 이동할 때 말 수송차에는 본인과 조교조수인 아들, 구무원까지 3명이 함께 타며 기합을 다졌다. [[천황상 가을]]은 슈퍼 크릭과 이나리 원이 이미 은퇴한 가운데 남은 [[오구리 캡]]에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되었으나 이 때 오구리 캡의 몸 상태는 정상이 아니었다. 1000m 58.2초의 하이페이스에 중단 후방에서 대기하던 야에노 무테키는 직선 주로에서 진로가 막힐 것을 우려해 빠른 스퍼트를 걸고 가장 안쪽 코스를 공략해 선두에 섰다. 먼저 [[뱀부 메모리]]가 쫓아오고 [[메지로 아르당]]이 무서운 스퍼트로 맹추격했지만 속도가 떨어진 가운데에도 버텨내며 레코드를 세우고 목 차이로 승리, 1년 반만의 승리를 G1 2승으로 달성해냈다. 이어진 [[재팬 컵]]에서는 일본 조교마 중에서 4착 [[화이트 스톤]]에 이은 2번째 6착을 기록했고 [[아리마 기념]]에서 은퇴 경기를 치르기로 결정했다. 오기노 조교사가 기성이 거친 야에노 무테키는 은퇴식을 치르지 못할 거 같아 팬들에게 아리마 기념에서 마지막 인사를 하는 것으로 선택했다고 한다. 본마장 입장에서 역시 이 경기가 은퇴전인 오구리 캡이 나오자 17만의 대관중이 함성을 올렸고 이에 놀란 야에노 무테키가 놀라 오카베 기수를 떨구고 방마했다. 야에노 무테키를 겨우 잡은 후에 다친 곳이 없어 그대로 나왔지만 체력을 뺀 영향도 있어서 7착으로 커리어를 마쳤다. 오카베 유키오는 방마하지만 않았어도 가능성이 있었다며 못내 아쉬워 했다. 실제로 야에노 무테키의 경기 스타일은 선두집단 중에서도 중단쯤에 대기하다 마지막에 선두를 제낀 후 힘으로 버티는 정석적인 선행 타입이었기 때문에 적당한 슬로우 페이스 경기라면 충분히 선입이나 추입으로 쫓아오는 상대를 막아낼 능력이 있었는데 당해년도 아리마 기념은 도주를 잘 하는 미스터 시클레논이란 말이 스타트 미스로 뒤쳐지는 바람에 선행 타입의 [[오사이치 조지]]가 얼렁뚱땅 앞으로 나선지라 꽤 슬로우 페이스로 이루어 졌었다. 게다가 우승 유력마로 꼽혔던 말들 중 [[메지로 라이언]], [[화이트 스톤]]에 승리한 오구리 캡도 선입 타입이었기에 만약 야에노 무테키가 정상 컨디션이었다면 진짜로 승부가 어떻게 되었을지 예측하기 힘들만한 상황이 되었을테니 오카베 유키오가 충분히 아쉬워 할 만한 상황이었다. 이 해 JRA상 최우수 부내 국산마 투표에서 180표 중 82표로 과반수를 넘지 못해 바로 선출되지는 않았지만 전형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수상이 결정되었다. 지명도나 실력에서나 헤이세이 3강에 밀리는 입장이었지만, 이긴 G1은 모두 후추 경마장의 2000미터 레이스[* 원래 사츠키상은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시행되지만 88년에는 경주로 개수로 인해 도쿄에서 개최되었다.], 호락호락하지 않은 기성이나 동기 [[시요노 로망]]에 대한 짝사랑[* 시요노 로망은 오카상과 엘리자베스 여왕배에서 2착을 달성했고 통산 15전 6승 중 중상은 GII 2승으로 상당히 괜찮은 성적을 올린 말이다. 그런데 상당히 사나워서 [[사커 보이]]와 함께 사나운 말이라면 하나로 꼽힐 정도였는데, 이상하게 시요노 로망만 지나가면 그냥 멈춰서 쭉 시요노 로망만 바라봤다고. 하지만 정작 시요노 로망은 아예 야에노 무테키는 쳐다보지도 않는 무반응이었던데다 5살(현 4살) 시즌을 끝내고 은퇴했기 때문에 허망한 짝사랑으로 끝나버렸다고(...)] 등의 캐릭터성으로 인해 3강 시대의 인상적인 조연 중 하나로 불린다. === 은퇴 이 후 === [[파일:Yaeno Muteki.jpg|width=70%]] 은퇴 후에는 총액 5억엔의 신디케이트가 만들어져서 니캇푸초 농협축산센터에서 종마로 데뷔해 첫 5년간은 50여 회의 종부를 실시했지만 성적이 나오지 않아 신디케이트는 6년만에 소멸했다. 마주 중심으로 신디케이트를 재결성해 히다카 스탤리온 스테이션에서 종마 생활을 이어갔다. 4년 후 신디케이트가 소멸한 후엔 간간히 팬들의 후원으로 종마생활을 이어가다 2010년 은퇴한다. 지방 중상마 무테키 보이 하나를 배출하는데 그쳤고 그 후 공로마로 히다카 스탤리온 스테이션에서 여생을 보내다 2014년 장폐색으로 죽었다. == 여담 == * 성적과는 별개로 단정한 얼굴과 균형잡힌 마체를 갖춘 수려한 외모의 말로도 유명했으며[* 말의 외모를 논할 때 네 발이 모두 흰색이고 이마의 흰 무늬가 곧게 뻗은 모습을 '사백유성(四白流星)'이라고 하는데, 본 항목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야에노 무테키는 완벽한 사백유성이었다.], 경마 올드팬들 사이에선 아직도 잘 생긴 경주마를 꼽을 때 단골로 거론되는 말 중 하나이다. ~~하지만 정작 짝사랑 상대는 쳐다봐 주지도 않더라~~ * 당대에 인기가 높아 5번의 그랑프리 경주 팬 투표에서 모두 5위에 들었다.[* 1988년 아리마 기념 4위, 1989년 타카라즈카 기념 1위, 아리마 기념 5위, 1990년 타카라즈카 기념 4위, 아리마 기념 2위.] 특히 1989년 타카라즈카 기념 팬 투표에서는 장기 부상으로 출전이 불가했던 오구리 캡을 2위로 밀어내고 1위로 뽑혔다. * 어렸을 때부터 매우 거칠고 사나운 성격으로 유명했으며, 방목지에선 툭하면 다른 말들과 싸우거나 괴롭히는 일이 많아 아예 혼자만 방목시키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은퇴한 이후엔 과거의 기성난이 거짓말이었다는듯이 사라져서 매우 온순하고 사람을 잘 따르는 성격으로 변했다고 한다.[[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300821?headid=90&recommend=1|#]] * [[https://twitter.com/lunaticmonster/status/1547906075306823681|여담으로 당근은 손으로 건내줘서 먹여주는 걸 좋아했다고 한다.]] * 동기인 [[뱀부 메모리]]와는 피 한방울 안섞인 남남이지만 사람들로부터 '혹시 형제 아니냐'는 오해를 받을 정도로 외모가 닮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우마무스메에 나오는 두 캐릭터는 갈색의 단발머리라는 비슷한 스타일로 디자인되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88년 {{{-1 (4세, 현 3세)}}} || || 2.27 || [[한신 경마장|한신]] || 4세 신마 || || 더트 1700m || 2.8 || 2 || '''{{{#red 1착}}}''' ||<|10> 니시우라 카츠이치 || (메지로 마샤스) || || 3.19 || [[주쿄 경마장|주쿄]] || 진쵸하나(沈丁花)상 || 400만 || 더트 1700m || 1.3 || 1 || '''{{{#red 1착}}}''' || (아그네스 터프) || || 3.27 || 한신 || [[마이니치배]] || GIII || 잔디 2000m || 6.1 || 4 || 4착 || [[오구리 캡]] || || 4.17 || [[도쿄 경마장|도쿄]]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25.2 || 9 || '''{{{#red 1착}}}''' || (딕터 랜드) || || 5.29 || 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6.4 || 2 || 4착 || [[사쿠라 치요노 오]] || || 7.9 || 주쿄 || [[팔콘 스테이크스|주니치스포츠상 4세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1.8 || 1 || 2착 || [[사커 보이]] || || 9.11 || [[하코다테 경마장|하코다테]] || UHB배 || OP || 잔디 1800m || 1.4 || 1 || '''{{{#red 1착}}}''' || (패싱 파워) || || 10.16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신문배]] || GII || 잔디 2200m || 1.4 || 1 || '''{{{#red 1착}}}''' || (코에이 스퍼트) || || 11.6 || 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 || 2.1 || 1 || 10착 || [[슈퍼 크릭]] || || 12.4 || 한신 || [[나루오 기념]] || GII || 잔디 2500m || 2.1 || 1 || '''{{{#red 1착}}}''' || (하츠시바 에이스) || ||<-10> 1989년 {{{-1 (5세, 현 4세)}}} || || 1.22 || 교토 || [[닛케이 신춘배]] || GII || 잔디 2200m || 1.5 || 1 || 2착 ||<|5> 니시우라 카츠이치 || 랜드 히류 || || 4.2 || 한신 || [[오사카배]] || GII || 잔디 2000m || 1.8 || 1 || '''{{{#red 1착}}}''' || (랜드 히류) || || 6.11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2.5 || 1 || 7착 || [[이나리 원]] || || 10.29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22.8 || 6 || 4착 || 슈퍼 크릭 || || 12.2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34.0 || 8 || 6착 || 이나리 원 || ||<-10> 1990년 {{{-1 (6세, 현 5세)}}} || || 1.21 || 교토 || 닛케이 신춘배 || GII || 잔디 2200m || 2.9 || 1 || 2착 ||<|3> 니시우라 카츠이치 || 토와 트리플 || || 2.25 || 한신 || [[마일러즈 컵]] || GII || 잔디 1600m || 2.6 || 1 || 3착 || 메지로 워스 || || 4.1 || 한신 || 오사카배 || GII || 잔디 2000m || 4.2 || 4 || 3착 || 슈퍼 크릭 || || 5.13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0.4 || 4 || 2착 ||<|5> [[오카베 유키오]] || 오구리 캡 || || 6.10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11.7 || 4 || 3착 || [[오사이치 조지]] || || 10.28 || 도쿄 || '''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8.0 || 3 || '''{{{#red 1착}}}'''[*레코드] || ([[메지로 아르당]]) || || 11.25 || 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13.8 || 8 || 6착 || [[베터 루슨 업]][* 호주의 경주마. 1990년 콕스 플레이트, 1991년 오스트레일리안 컵을 비롯해 호주 G1 8승을 이뤘다. 1991년에는 호주 연도대표마를 수상.] || || 12.23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12.0 || 6 || 7착 || 오구리 캡 ||}}} [include(틀:사츠키상,grade=GI)] [include(틀:천황상 가을,grade=GI)] ---- [include(틀:오사카배,sankei=1,grade=GII)] [include(틀:교토신문배,grade=GII)]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version=26)]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85년 출생/경주마]][[분류:2014년 죽은 동물]][[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니진스키 2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