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요사)] [목차] == 개요 == 耶律羽之 (890 ~ 941) [[요나라]]의 인물. 자는 인저신(寅底哂)이고 어릴 적 자는 올리(兀里)이다. [[태조(요)|태조]](太祖)가 처음 기초를 다질 때 많은 군사 전략에 참여하였다. == 생애 == [[태조(요)|천현]](天顯) 원년, 태조가 [[발해]](渤海)를 평정하자 황태자(皇太子) [[의종(요)|야율돌욕]](耶律突欲)을 [[동란국|동란왕]](東丹王)으로 봉하고 야율우지를 중대성(中臺省)의 우차상(右次相)으로 삼았다. 그때 아직 민심이 안정되지 않았는데 좌대상(左大相) 야율질라(耶律迭剌)가 한 달이 채 안되어 사망하자 야율우지가 민심 안정에 힘썼다. [[태종(요)|태종]](太宗)이 즉위하자 표문을 올려 발해인들을 양수(梁水) 땅으로 옮길 것을 간하였다. 후에 [[의종(요)|인황왕]](人皇王)이 [[후당]](後唐)으로 달아나자 야율우지가 사람들을 통치하고 보살폈는데 일체 그전처럼 하였다. 그 공으로 태부(太傅)를 더하고 중대성 좌상(左相)으로 옮겼다. [[태종(요)|회동]](會同) 초, 책례(冊禮)에 참여하기 위하여 궁궐에 나아오자 특진(特進)을 더하여 주었다. 표문을 올려 좌차상(左次相) [[대소현|발해소]](渤海蘇)의 탐욕과 불법한 일을 아룄고 그 후 죽었다. == 여담 == 어려서부터 호탕하였고 자라서는 학문을 좋아하여 여러 부족의 언어에 통달하였다. 형제 관계로 [[야율갈로]](耶律曷魯)와 [[야율적렬]](耶律覿烈)이 있다. 아들 야율화리(耶律和里)는 동경유수(東京留守)를 지냈다. [[분류:요나라의 인물]] [[분류:840년 출생]] [[분류:941년 사망]]